한국과 일본 문화교류의 어제와 오늘

by Valley_News posted Jul 2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편집자의 말> 

  8월15일은 광복절, 빛(光明)을 되찾은(復)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36년에 걸친 일본 식민지의 어둠에서 빛을 다시 찾았다는 날…

  그리고 78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대한민국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일본을 따라잡고 드디어는 추월했다고 합니다. 자랑스럽습니다. 

  하지만, 잘 아는 대로, 지금 한국과 일본은 사이가 아주 좋지 않습니다. 당장 눈앞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문제로부터 독도, 위안부, 강제징용 등 갈등이 가로막혀 있지요. 

  정치 외교적으로는 이렇게 갈등이 심하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민간의 문화교류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코로나가 지나지면서, 양국의 관광, 특히 젊은이들의 인적 교류가 활성화 되고 있는 것도 반가운 현상이다. 미래에 희망을 걸게 한다. 

  건전한 한일관계를 위해서 두 나라 사이 문화교류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봅니다.  

 

한일 문화교류의 역사

  올해는 <김대중-오부치 대중문화 개방> 25주년이자, 한류(韓流)의 시발점이 된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의 국영방송 NHK를 통해 방영된지 20주년을 맞는 해이다.

  김대중 대통령의 결단에 따라 1999년부터 일본 대중문화가 개방되었고, 그 외에 학술세미나, 문화예술 공연 등을 통해 한일 간 문화교류 확대가 이어졌다. 우리의 경제, 문화 수준 모두 높아졌기 때문에 일본 문화에 겁낼 필요가 없다는 자신감에 의한 것이었다.

  달리 말하면, 1945년 해방 이후, 반세기 이상 한국과 일본 간의 문화교류는 공식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던 것이다. 당시 국내 여론은 반대 일색이었다. 이유는 개방을 하면 일본의 저질 왜색문화가 들어오므로 위험하다는 것.

  문화개방 이전에는 한국의 유명 가수 나훈아, 조용필 등이 일본에 가서 공연하는 게 전부였고, 반대로 일본 문화예술인이 한국에서 공연하는 것은 전무하다시피했다. 이렇게 서로 차단되어 있다 보니, 오해도 생기고 갈등이 커지기도 했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개방한지 25년 사이에 여러 분야에서 한국 문화가 일본 문화를 넘어서는 반전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일본을 대하는 인식과 자세에서도, 나이든 세대와 젊은 세대는 크게 다르다고 한다.

 

<영화 한일 교류>

  1999년 대중문화 개방을 통해 일본의 대중예술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제일 먼저 들어온 것이 영화였다. 단,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에 한하는 조건이었다. 매우 조심스럽게 시작한 것이다. 

  그렇게 한국에서 상영되어 크게 히트한 작품이 <철도원> <러브레터> 같은 일본영화였다. 이와이 순지 감독의 애정영화 <러브레터>(1995년)는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어서“오겡끼데스까?”라는 영화 대사가 유행어가 될 정도였다. 

  반대로 <JSA>, <쉬리>, <태극기 휘날리며> 같은 한국영화가 일본에서 상영되어 히트를 쳤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는 일본에서는 <Brotherhood>라는 이름으로 상영되어 인기를 끌었다. 

  이렇게 두 나라 사이의 영화 교류부터 이어졌고, 일본 문화를 직접 접해본  한국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지금은 한국영화가 일본영화를 넘어서 버렸다. 

  한일 간의 합작영화도 제작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영화 <브로커>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처음으로 한국에서 촬영하고 연출한 한국 영화로, 송강호, 강동원, 배두나, 이지은, 이주영 등 한국의 유명 배우들이 출연했다.

  이 작품은 2022년 제75회 칸 영화제의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으며, 배우 송강호에게 그해 남우주연상의 영광을 안겨주었다.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동양인으로서는 3번째로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이다.

  최근의 한일 합작영화는 <See Hear Love, 보이지 않아도 들리지 않아도 사랑하고 있다.>라는 작품이다. 한국 출신 만화가 Nasty Cat 원작, 이재한 감독 연출에, 일본 유명 배우들이 출연한 한일합작이다.

  영화 <당신은 믿지 않겠지만>은 일본 영화사에서 제작했고, 일본 감독 이시이 유야가 감독했지만, 한일 양국 배우가 출연했고, 한국에서 모든 촬영을 마친 2021년 작품이다. 일본 배우 오다기리 조, 이케마쓰 소스케, 한국 배우 최희서 등이 주연을 맡았다. 일본어 제목은 <아시아의 천사>.

  일본 영화 <101번째 프로포즈> <리틀 포레스트> 등은 한국판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배우나 감독 개인적으로 한국과 일본을 넘나들며 활동하는 예는 매우 많다.

  배두나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공기인형>(2009년), 이와이 순지 감독의 단편영화 <장옥의 편지>(2017년) 등의 일본영화에 출연했다.

  오다기리 조는 <마이웨이> <비몽> 같은 한국 영화에 단골 출연한 친한파 배우다. 나홍진 감독의 <곡성>(2016년)에서 강렬한 연기를 보인 쿠니무라 준도 기억할 일본 배우다.

  배우 최희서는 영화 <박열>(2017)에서 독립투사 박열을 사랑한 일본인 후미코 역으로 능숙한 일어 연기를 선보였다. 

  배우 심은경은 일본영화 <신문기자>로 2020년 일본 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받는 등 일본에서 활약 중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한일 문화교류의 본격적 불을 댕긴 것은 <겨울연가> <대장금> 같은 한류(韓流) 드라마였다. K-드라마의 원조다. 

  2003년 일본의 국립방송 NHK에서 배용준, 최지우 주연의 <겨울연가>를 방영해서 그야말로 일본 전역에서 공전의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일본의 아줌마들에게 대단한 인기였다. 이른바‘욘사마’붐이 일었고, 많은 일본인들이 한국에까지 찾아왔다. 드라마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한일 간의 거리는 급격히 줄어들게 된 것이다. 올해가 일본에서‘욘사마’붐이 일어난지 20년째 되는 해인 것이다. 

  그 배경에는 2002년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도 큰 역할을 했다.

  한류 열풍 가운데 동원력이 가장 컸던 것이 K-드라마였다. 일본 아줌마들한테는 <겨울연가>, 아저씨들한테는 <대장금>이 큰 인기를 끌면서, 드라마를 통해 한일 양국 대중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한국의 드라마, 소프트파워가 한국과 일본을 가깝게 연결해준 것이다. 

  마찬가지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의 일본 작품이 한국 국민들에게 준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일본의 인기 드라마가 한국에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의학 드라마 <하얀 거탑>, 음악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최근에 일본에서 방영되어 대단한 인기를 모은 <사랑의 불시착>도 4차 한류붐으로 평가된다.

 

<대중음악의 한일교류>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가장 강력하고 폭넓게 작용한 것은 역시 대중음악이다. 

  두 나라 사이의 대중음악 교류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60년대에는 왜색가요 시비가 요란했고, <돌아와요 부산항> <가슴 아프게> 같은 한국 노래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어 미소라 히바리를 비롯한 유명 가수들이 다투어 불렀다. 그런 인기에 힘입어 김연자, 계은숙 등이 일본에서 큰 인기를 모으며 활동했다.

  그런가 하면 일본노래 <슬픈 인연>이 한국에서 인기를 모으기도 했고, 한국 가수 양희은과 일본의 싱어송 라이터 사다 마사시가 함께 부른 <인생의 선물>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금은 그런 차원을 훨씬 넘어서 있다. 한국 걸그룹의 공연이 일본에서도 큰 인기를 끄는 등 K-POP, J-POP이 양국 젊은 세대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소녀시대가 등장하고, BTS가 나오면서, 이제는 한일 간의 교류 차원을 넘어 세계적인 문화공연 콘텐츠가 된 것이다. 

 

젊은 세대에게 거는 기대

  전문가들은 일본 내 K-컬처 저변을 넓히고 한일 MZ세대 간 교류 협력 사업을 강화하고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넷플릭스 등에서 보는 <오징어게임> 같은 영상매체의 위력은 대단합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은 한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런 문화교류가 한일 양국민이 공동의 관심사가 되면서 서로간의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보다 친밀하게 이어지게 됩니다.” 

  젊은 세대들의 건전한 교류와 상호협력에 희망을 걸 수밖에 없다. 사사건건 싸우고 대립하기만 하는 기성세대에게 기대를 걸 수는 없다.

  짧은 기간에 일본을 넘어선 K-컬쳐의 저력을 믿는다. 

  일본 작가 아라이 만(1946-2021)의 지적은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분쟁의 원인은 서로 잘 모르는 것이다. 서로를 알게 되면서 서로에 대해 친근감이 생기고, 친근감이 생기면 분쟁의 소지가 없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서로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가 중요하고 구체적인 방향으로 문화교류가 중요하다.” <*>

 

겨울연가.jpg

 


Article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