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의 추억>100살 된 첫 창작동요 <반달>

by Valley_News posted Jul 0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반 달

윤극영 작사, 작곡

   푸른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그루 토끼 한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은하수를 건너서 구름나라로

   구름 나라 지나선 어디로 가나

   멀리서 반짝반짝 비추이는건

   새별이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 

 

    어린 시절에 배우고 익힌 동요의 추억은 평생을 간다. 

  “푸른 하늘 은하수…”로 시작되는 <반달>도 그런 동요 중의 하나다. 그 <반달>이 100살을 맞았다. 반달, 계수나무, 토끼가 어느새 100살이 되신 거다.

  윤극영(1903년-1988년) 선생이 노랫말을 쓰고 곡을 지은 <반달>은 1924년에 발표된 조선 최초의 창작 동요다. 21세 청년 윤극영이 지은 이 노래는 일제강점기 나라를 잃고‘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방황하는 민족의 애달픈 운명을 달래주었다. 

  “…샛별이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는 2절 끝부분 노랫말에서 알 수 있듯 일제강점기 어린이들에게 꿈과 용기와 희망을 주는 항일 동요다.

  이 노래는 발표되자마자 전국 방방곡곡에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모두에게 애창됐다. 당시 학교에서 우리말 노래를 부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반달>은 워낙 호응이 컸던데다가, 일본인들까지 따라 부르는 바람에 당국은 금지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한다. 

  한반도는 물론 일본과 중국에 있는 조선인들에게도 빠르게 보급되었다. 윤극영 선생조차도 그렇듯 짧은 세월에 그렇게까지 널리 퍼질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고 훗날 회상했을 정도였다.

  이 노래가 오늘날까지도 애창되는 ‘겨레의 노래’로 남은 이유를 살펴보면,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가령 <반달> 작곡에 얽힌 사연도 그렇다.

  윤극영 선생에게는 10년 위의 누님 한 분이 있었는데, 경기도 가평으로 시집을 갔다. 그런데, 그 누님의 시집이 가세가 기울어 늘 가난 속에서 힘든 시집살이를 하느라 10년이 퍽 넘도록 한 번도 집에 오지 못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 갑자기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토록 보고 싶던 누님의 죽음 소식을 들은 윤극영은 집 근처 공원으로 가서 밤새도록 울고 또 울었다. 그 새벽에 그가 하늘에서 본 것이 반달이었다. 은하수 같은 엷은 구름 너머로 하얀 반달이 비스듬히 걸려있고, 그 멀리로 샛별이 반짝이고 있었다. 외롭게 뜬 달을 보니 누이 잃은 슬픔에, 우리 민족의 서글픈 운명까지 겹쳐서 눈물이 핑 돌았다. 그 순간 노랫말과 곡조가 떠올랐다고 한다. 나라 잃고 방황하는 민족적 비운을 그린 동요 <반달>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동요'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쓰인 것도 이때부터라고 한다.

  윤극영은 일본 도쿄음악학교에서 성악과 바이올린을 공부하는 한편 1923년부터는 방정환, 정순철 등 동료들과 함께 어린이 문화재단 <색동회>를 조직하고 동요를 작곡하면서 어린이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어린이’라는 낱말을 만들고 어린이날 제정에 앞장선 방정환 선생은 일본에서 공부하고 있는 윤극영에게 당부했다고 한다.

  “자신만을 위한 음악 공부가 무슨 소용이 있는가, 장차 나라를 이끌어갈 어린이들이 부를 노래를 만들어라.” 

  윤극영은 평생토록 뜻을 함께했다. 자신의 이상을 펼치느라 유랑생활도 많이 했고, 죽을 고비도 여러 번 넘겼다. 그러면서도 어린이들의 꿈을 위해 동요를 만들어냈다. 

  ‘반달 할아버지’윤극영 선생은 <반달>을 비롯하여 <설날> <고기잡이> <고드름> <따오기> 등 400여곡을 작곡하였고, 조선 최초의 노래단체인 <다리아회>를 조직하고 활동했다. 

  앞에서 말한 대로, 어린 시절 배운 동요의 기억은 늙지 않고 평생을 간다. 우리 미주한인사회에도 우리 아이들이 신나게 부르고 평생 기억할 좋은 동요가 많았으면 좋겠다. 

  <반달>을 흥얼거리다 보니, 문득 권길상 선생이 떠오른다. 디아스포라의 쓸쓸한 마음을 포근하게 감싸줄 우리 노래 짓는 일에 힘쓰던 모습이 그립다. 

  내년 2025년이 권길상 선생 10주기다. 뜻깊은 행사들이 많이 열리기를 바란다. 

  자료정리: 장소현 (시인, 극작가)

 

윤극영 반달.jpg

 

윤극영선생.JPG

윤극영 작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