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진용 수필가-

by Valley_News posted Mar 31,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 금언은 내가 젊었던 시절에 내 처지가 힘들고 고달플 때마다 작고하신 어머니가 자주 해 주셨던 말씀이었다. 그때는 거의 모든 집이 도토리 키재기나 마찬가지로 빈곤에 허덕였지만, 우리 집은 유독 더 가난했다. 

   8남매를 거느리고 36세에 청춘과부가 된 어머니는 자식들 입에 풀칠하기에 바빠 공부시키는 것은 엄두도 못 냈다. 그래서 나는 중학교만 간신히 졸업하고 가구 공장에 다니며 가계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어야만 했다. 이른 아침에 공장으로 향하던 길은 소가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것과도 같은 기분이었다.

   그 시절 가장 고통스러웠던 일은 중학교 다닐 때 내가 좋아했던 여자애가 여고생이 되어 등교하던 차가 공장으로 향하던 나와 중간에서 마주치는 것이었다. 단정한 교복 차림에 자주색 책가방을 든 여고생과 도시락 가방을 든 남루한 공돌이의 내 모습은 정말 창피해서 피하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래서 또바기 다니던 길을 포기하고 20분 정도 더 걸리는 우회로를 택하였다. 

   그러던 중 자신의 동생보다도 나를 더 끔찍스레 여겼던 친구 누나가 “남자라면 최소한 고등학교 졸업장은 있어야 한다”고 나를 설득하고 야간 고등학교에 등록금을 대주며 입학시켰다. 동창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나는 고등학교 1년생이 되었다.  

   이때부터 인생 밑바닥 직업이라 할 수 있는 구두닦이, 신문팔이 등 닥치는 대로 일했는데 혼담이 오가던 둘째 누나가 나를 불러 앉히고 “너 때문에 시집 못 가게 될 것 같다”고 나를 부둥켜안고 울먹거렸다. 나는 식겁했다. 내가 신문 사라고 외치며 명동 일대를 누비고 돌아다니는 것을 매형 될 사람이 본 것이었다. 

   그 후 소규모 무역회사에서 사환으로 일하며 고교 졸업 시험을 3과목이나 치르지 못하고 군입대 날짜에 맞춰 육군에 입대했다. 대학생은 군입대 연기가 가능했지만, 고등학생은 연기가 허락되지 않던 때였다. 

   군제대 후 운 좋게 손해보험회사에 입사하였지만 고졸 출신은 진급이 늦었다. 나보다 훨씬 늦게 입사한 대졸 출신 후배가 내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 어떤 고졸 출신 사원은 만년 과장으로 진급을 포기한 채 괴로워하는 것을 목도하기도 했다. 그때의 좌절감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으랴? 학벌과 학위만 중요하게 취급하는 회사 시스템에 실망했다. 그래서 늦깎이 공부가 또 시작되었다. 주경야독으로 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하는 데 10년 이상이 소요되었다.  

   손해보험회사에서 24년을 근무하다가‘아메리칸드림’ 바람에 솔깃하여 도미하였다. 고등학교 시절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면 밤 11시가 훨씬 넘었다. 늦은 밤에 저녁을 허겁지겁 먹고 새벽 5시에 기상해야만 하는 생활을 하는 동안 위장병이 생겼는데 지금까지도 위장에 탈이 남아 있어 고생하고 있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이 격언은 어머니가 나보고 고생하라고 하신 말씀은 아니었을 것이다. 젊은 시절의 고생은 훗날의 발전을 위해 좋은 경험이 될 터이니 달갑게 여기라는 뜻이었고 고진감래의 세월을 맛볼 테니 참으라는 의미로 하신 말씀이었다.   

   그러나 나는 어머니로부터 이 격언을 자주 듣는 것이 싫었다. 맹자는 ‘걱정과 어려움이 나를 살게 하고 안락함이 나를 죽음으로 이끈다’고 말했다. 고난에도 좌절하지 말고, 안락할 때 방탕하지 말라는 경계의 말이 아닌가 싶다. 

   독일의 어느 연구소에서 지혜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역경이나 고난을 극복한 사람과 가난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일수록 더 지혜롭고, 특히 지혜로운 사람이 인생의 어두운 단면을 일찍부터 더 많이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하였다. 이것은 젊었을 때 힘들고 어려운 경험이 자신을 성장시키고 발전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겠는가?

   나를 아는 사람들은 나보고 집념이 강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내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한 것뿐이다. 지금 내가 이 정도로 미국에서 살아 가는 것도 그때의 경험이 밑거름이 되었다고 여기기에 그 고생이 감사할 따름이다. 

   오늘날, 이 세상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여! 지금 당장은 고생이 되더라도 젊은 시절의 고생이 성공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잊지 말라.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