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간은 혼자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런 인간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주변 환경과 타인과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여기에 휴스턴대학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인 브레네 브라운 박사는 인간이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서로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한다. 그것은 우리 DNA 에 새겨진 본능이다. 갓난아기 때는 생존을 위해 관계를 맺어야 한다. 나이가 들면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감정적, 육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사랑받고, 어딘가에 속하고 소중한 존재로 대우받고 싶은 것은 인간의 본능이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관계를 무엇보다도 중요시한다.”   

 

   따라서 인간은 끊임없이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이런 관계를 깨어버리는 감정이 있습니다. 그 감정은 바로 수치심(shame)이라는 감정입니다.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 죄책감이라는 감정과는 다르게 수치심이라는 감정은 한 개인 존재 가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 죄책감은 내가 어떤 도덕적인 기준을 어겼을 때 나의 잘못된 행위에 느껴지는 내재적인 양심에 바탕을 두고 있다면, 수치심은 어떤 행위에 관계없이 나 자신 존재에게 초점을 두면서 느껴지는 감정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감정에 묶여버리게 되면 한 개인은 자신의 존재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평가하며, 무가치하다고 여기게 됩니다. 또한 이 수치심이라는 감정에 묶여 버리게 되면 한 존재의 가치는 타인이 바라보는 시선이 기준이 되어 판단되게 됩니다. 그때 내가 거절당하고, 무시당하고, 존중받지 못하고  거절감을 느끼게 되면 이는 개인의 내면적인 분리를 초래해타인과 내면의 말에 쉽게 휘둘리게 됩니다. 그리하여 관계적으로 불편함을 갖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회피하거나, 숨거나, 분노하거나, 합리화하거나, 투사하거나, 부정으로 자기방어적인 태세로 나타내어 결국 사람들과의 관계를 깨어버리게 됩니다.

   더욱이 이 감정은 동양 문화권에서 더욱 불편하게 작동을 하게 됩니다. 직선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개인주의 문화인 서구문화와는 다르게 순환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집단주의 문화인 동양 문화권에서는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한국문화는 유교문화, 한문화, 체면 문화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관계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하여 나보다 남을 더욱 의식하는 공동체 문화에 익숙합니다. 여기에 이 수치심이라는 감정이 한 개인에게 스며들어 마음속 감정으로 자리잡게 된다면 결국 이 감정을 키우다가 한 개인은 고통을 이기지 못해 자기 파괴적인 행동으로 자기 자신과 사람들과의 관계가 깨어지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이 수치심이라는 감정은 오늘도 소리없이 개인과 관계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비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감정을 방치하고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이 수치심이라는 감정을 객관화하여 내가 느끼는 감정을 올바로 구분하는 연습이 참 필요합니다. 그럴 때 개인은 타인의 평가와 시선에 휘둘리지 않고 나의 나 다움을 인정하며 나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수 있습니다. 그런 여러분 자신을 가치롭게 여기지 못하며 관계에 괴로워하는 감정 이 수치심의 감정은 아닐까요?<*>


  1. 하나님의 세 가지 언약 (Three Covenants of God) -오명찬 목사 <웨스트힐장로교회> 담임

    친애하는‘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의 가정과 일터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평안이 함께하기를 소망합니다. 일반적으로, 성경 66권은 구약(오래된 언약 / Old Testament)과 신약(새로운 언약 / New Testament)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2. 코로나 우울증(Blue)을 이겨냅시다 -박정환 목사 <예수인 교회> 담임

    코로나 사태가 오래 지속되자 일상에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뉴노멀) 문제는 이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감들이 사람들에게 심각한 우울증과 괴로움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입니다. 얼마 전 통계에 미국 국민의 3분1일이 매주 절반 이상 괴로움을 호소한다고...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3. 새해에 하나님을 만날 수 있는 방법 -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분들, 여러분들은 새해에 어떤 간절한 바램을 가지고 계십니까? 2021년 새해에 그 절박한 바램 위에 풍성한 하늘의 복이 부어지게 되기를 축복드립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하늘 복을 내려주시는 전능하신 여호와 하나님은...
    Date2021.01.04 ByValley_News
    Read More
  4. 듣는 마음 -<은혜와평강교회>곽덕근 목사 -

    사람들은 누구나 복되게 잘 사는 것을 원한다. 그리고 나름대로 자기의 방식대로 행복을 잡으려고 노력하지만, 무지개를 잡는 것처럼, 바람을 잡으려고 하는 것처럼 허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복되게 사는 진짜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성경을 ...
    Date2021.01.04 ByValley_News
    Read More
  5. 연약함, 눈물, 그리고 은혜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밸리 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들께,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평안이 함께하기를 소망합니다. 성경에 기록된 시편 150편 가운데, 이른바‘참회의 시’로 불리우는 시가 총 7편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시편 6, 32, 38, 51, 102, 130, 143편이 그것입...
    Date2021.02.01 ByValley_News
    Read More
  6. 툰베리와 플라스틱 - <만남의교회>이정현 목사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임기 첫날인 지난 1월 20일 파리기후협약 복귀를 지시하는 행정명령 등에 서명했다. 이는 전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을 뒤집어 놓은 첫 번째 일 중의 하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7년 6월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공식 발표...
    Date2021.02.01 ByValley_News
    Read More
  7. 내 삶에 고난의 홍수가 밀려올 때-<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들의 삶에, 예수님의 은혜와 평강이 임하기를 축복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나름 선하고 올바르게 살아가려고 애쓰고 있음에도, 때로는 원치 않으며 이해되지 않는 어려움과 고난이 우리의 삶의 장에 밀려올 때가...
    Date2021.02.25 ByValley_News
    Read More
  8. 저기 웃고 있는 사람!-<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

    코로나 펜데믹으로 보낸 지난 1년은 웃고 즐거운 시간이기보다는 우울하고 답답한 시간이었다. 절망에 빠진 수많은 사람들, 심지어는 갑작스런 질고와 죽음으로 이별을 하고 슬퍼해야 했던 이웃들... 마스크를 쓰고 거리를 두고 엉거주춤한 모습으로 보낸 시...
    Date2021.02.25 ByValley_News
    Read More
  9. 창동 할머니 토스트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담임목사-

    ‘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들께 하나님의 사랑과 기쁨이 마음에 부어지기를 축복합니다! 얼마 전, 지인이 보라고 보내준 ‘창동 할머니 토스트’라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우연히 보았습니다. 저도 한국에 있을 때 도봉구 창동에...
    Date2021.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0. 부활의 몸은 어떤 몸일까요? -<은혜와평강교회> 곽덕근 담임목사-

    어떤 분이 병원에 가서 건강 진단을 받았다. 며칠 후에 검사 결과를 보러 병원이 가서 자신의 기록 카드를 보고는 깜짝 놀랐다. 그 기록 카드에‘조근암’이라고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게 무슨 암이지? 지금까지 듣도 보도 못한 암...
    Date2021.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1. ‘팬데믹 바쁜 일상 속에 성경적 기도 생활하는 방법’-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밸리코리언뉴스’애독자 여러분들께 예수님이 하늘의 평안과 구원의 은혜 주시기를 원합니다! 일 년 넘게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터널을 지나며, 더욱 정금같이 정련되어 아름다운 신앙으로 나아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그런 반면, 거품이 ...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12. 배가 아프지 않아 행복합니다!-<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박재희의 <3분 고전>에 송나라 때(960-1279) 학자 ‘정이’의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정이’는 누구나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불행일 수 있다며 인간의 세 가지 불행을 지적합니다. 인용하면, 첫 번째 불행은“소...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13. 그렇게 살면 안 됩니다 -<예수인교회>박정환 목사 -

    어느 교회에 나온 지 얼마 안 된 성도가 상당한 금액을 헌금하겠다고 하며 그 액수의 몇 배나 되는 기부금 영수증을 요구했답니다. 그러면서 교회는 큰 헌금을 받아서 좋고 자기는 기부금 영수증으로 세금면제를 받아 좋고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것 아니냐고 ...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14. 수치심은 무엇이고,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나성북부교회>김석인 부목사-

    인간은 혼자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런 인간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주변 환경과 타인과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게 됩니다. 여기에 휴스턴대학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인 브레네 브라운 박사는 인간이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지 말하고 ...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15. 주님이 내게 말씀하시지 않으시는 3가지 이유

    여호와 하나님은 온 세상에 충만하십니다. 그 분은 우리와 대화하기를 원하시고, 우리에게 말씀하시기를 기뻐하십니다. 그러나 주님은 ‘누구’나 공평하게 말씀을 주시기 원하시지만, ‘아무’에게나 억지로 말씀을 주시지는 않으시는 인...
    Date2021.08.26 ByValley_News
    Read More
  16. 성찬 시 꼭 기억해야 할 세 가지 (고린도전서 11:17-26)-<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이래, 많은 교회가 ‘성찬’의 떡과 잔을 준비하고 떼는데 있어 물리적인 어려움이 있어왔습니다. 그러나 우리 크리스천들이 성찬과 같은 타협 없이 반드시 해야 할‘Essential Ministry’ (필수적 사역)에 관해 ...
    Date2022.01.06 ByValley_News
    Read More
  17. 가버린 친구 그리고 새로운 한 해-<남가주은혜로교회>이병현 목사-

    얼마 전에 고등학교 동창 중의 하나가 하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아직도 젊은 나이인데,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은데, 아직도 가야 할 길이 있었는데, 다시 오지 못할 곳으로 가버린 친구의 소식에 마음이 저려왔습니다. 사진 속에서 웃고 ...
    Date2022.01.06 ByValley_News
    Read More
  18. 2022년 새해가 되었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건강하시고요.”-<밸리연합감리교회>류재덕 목사 -

    새해이기에, 뜨뜻한 국밥 먹고 새해 힘차게 출발하자는 말씀을 나누고 싶습니다. 지난 새해 첫 주일, 교회 목회자 사모님들이 바쁘게 준비를 하셨습니다. 이미 이 주일 전부터 준비하였습니다. 새해 첫 주일 예배에 오신 성도님들을 위해, 예배 후 어떤 음식...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19. 이 세상 최후의 안식처 -<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

    지속적인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불안 지수가 올라가고, 다가올 위기에 대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합니다. 미래 인생의 위기를 대비하여 부동산, 주식, 현금, 지위 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기를 대비하는 데 있어 ...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20. 동양문화와 서양문화는 수치심을 어떻게 느낄까요?-<나성북부교회>김석인 목사 -

    21세기를 들어오면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있다면 그 단어는 아마도 지구촌이라는 단어일 것입니다. 이 단어는 커뮤니케이션 학자였던 마샬 맥루한 (Herbert Marshall Mcluhan)이 그의 책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라는 책에서 지구촌이라는 단어...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