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상황에 맞게 잘 표현해서 이득을 본다는 뜻이다. 바꾸어 말하면, 말을 잘하지 못해서 또는 어리석게 표현해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뜻에도 많이 쓰인다. 성경에도 ‘입술의 열매’라고 말씀하면서 무엇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가르치고 있다. 주택을 시장에 내놓는 집 주인뿐 아니라 리스팅 에이전트도 주택을 잘 팔기 위해 어떻게 하면 주택에 대해 잘 표현할 수 있을까를 항상 고민한다. 주택의 특징을 바이어에게 호소력 있게 잘 표현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팔림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요즘 부엌에 흰색 쿼츠 스톤 카운터 탑이 유행이다. 주택 특성을 표현할 때 비슷한 형태의 주택에서 ‘Quartz Stone Upgraded’란 표현을 한 집이 더 고급스럽게 다가와 집이 더 비싸게 팔린다. 그럼 주택 특성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좋을까? 

   주택의 장점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거기에 사는 집 주인이다. 그러므로 집주인은 리스팅 에이전트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주택의 특징을 알려주어 적절한 단어를 선택해서 집을 표현하도록 주문한다. 이때 집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헤드라인 즉 제목을 뽑아내야 한다. 바이어의 시선을 확 끌 수 있는 제목을 내어나야 그 다음 이어지는 주택의 특징을 바이어들이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Spacious, Charming, Beautiful, Quaint, Sweet 등과 같은 표현은 밋밋하다. 오히려 Sensational, Gorgeous, Stunning,  Phenomenal 같은 단어로 시작하는 헤드라인이 더 호소력이 있게 바이어를 끌어들일 수 있다. 

   하지만 피해야 할 표현들도 많이 있다. 주택의 특성을 잘못 파악하여 잘못된 표현을 하는 것인데, 가령 2000sf이 넘는 상당히 큰 주택을 Cute, Cozy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좋지 않다. 그리고 Totally Remodeled, Fully Renovated, Completely Upgraded와 같이 완벽하다는 표현은 나중에 소송을 당할 수 있다. 어떤 집도 100% 완전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런 표현은 제목으로서뿐만 아니라 주택의 특징을 표현하는 문구로 사용할 때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주방기구나 업그레이드된 설비의 상품명을 사용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가령 Pergo Wood, Jacuzzi, Sub-zero, Viking등은 상품 종류가 아닌 고급 브랜드 이름 즉 상품명이다. 만약 욕조가 자쿠지 상표가 아닌데 자쿠지라고 표현을 해서 나중에 욕조를 자쿠지 상표로 바꾸어 주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차별을 내포하는 표현을 쓰지 말아야 한다. 가령 Perfect for young couple, Good neighborhood for kids or families, 또는 Walking distance to schools등과 같은 표현은 삼가야 한다. 즉 젊은 커플을 위한 곳이란 표현은 나이 든 부부나 싱글에게는 차별을 하는 것이다. 또 학교가 가깝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걸어서 갈 수 있다는 표현은 걸을 수 없는 장애인에게 차별을 준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Close to school 또는 Convenient라는 표현으로 대체해야 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간결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모호한 표현을 하지 말아야 한다. 너무 길면 오히려 과장됐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결하지만 집을 꼭 눈으로 보는 것처럼 임팩트 있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부정적인 단어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고칠 것이 많다고 해서 Fixer, Perfect for Investment라는 표현을 쓰면 리스팅 가격보다 한참 낮은 가격으로 팔릴 수 있다. 오히려 고칠 것이 있다면 TLC (Tender Loving Care)라는 표현으로 그 정도를 누그러뜨리는 것이 좋다.  

   글보다 비디오 영상이 더 효과적이다. 유튜브를 통한 비디오 영상이 제공되면 무려 4배 가까이 바이어의 눈길을 끈다는 통계가 있다. 그 집이 갖고 있는 독특하고 특별한 장점을 잘 부각하고 정확히 묘사해서 표현한다면 좋은 가격으로 빨리 팔릴 것이다.<*>

   문의 (818)439-8949 


  1. 주택 수리 및 보수 요령 - <뉴스타부동산>이상규-

    작년 한 조사에 의하면 주택 수리 및 유지 보수 평균 비용이 년 $6,000 정도 들었다고 한다. 여기에는 세월이 지나서 수리나 교체를 해야 하는 일반적인 수리 비용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비상 수리 비용도 포함되어 있다. 가령 폭우나 무더위 같은 날씨로 인...
    Date2023.01.30 ByValley_News
    Read More
  2. 주택 구매 외곽 지역이 뜬다 - <뉴스타 부동산> 이상규 -

    한 달 전 지면을 통해 COVID-19으로 인해 라이프 스타일이 많이 바뀌고 주택 구매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기고를 한 적이 있다. 며칠 전 부동산 뉴스에 이를 뒷받침해주는 통계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부동산 포털 사이트인 레드핀에서 설문 조사한...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3. 은퇴후 주택 구입 -<뉴스타부동산>이 상 규-

    어렸을 때 할어버지의 회갑 잔치가 아주 크게 동네에서 벌어졌던 것을 기억한다. 그만큼 예전에는 60세 이상 사는 것을 장수라고 보았다. 그런데 요즘은 회갑 잔치를 하는 분들이 거의 없다. 왜냐하면 이제 주위에 100세를 넘기신 어르신들이 많으시고 건강하...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4. 새 집 구매 -<뉴스타부동산>이 상 규 명예부회장-

    작년 하반기 5개월 연속으로 주택 판매량이 줄어 들었다. 그런데 지난달 오랜만에 약간이지만 거래량이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자율이 8% 고점을 찍고 다시 내려가자, 바이어들이 다시 쇼핑에 나섰기 때문이다. 한편 곧 봄철이 다가오면 거래량이 더 늘어날 것...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5. 산불 위험 고지 -<뉴스타부동산> 이 상 규-

    기후 변화로 온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유럽은 사상 초유의 무더위와 가뭄으로 견디기 쉽지 않는 여름을 보내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캘리포니아의 가뭄도 기후 변화와 무관치 않다. 급기야 6월에 캘리포니아 당국은 긴급 가뭄 대책을 발표하였고 옥외 절수...
    Date2022.09.02 ByValley_News
    Read More
  6. 부동산 재산세 -<뉴스타부동산>이 상 규-

    지난 주부터 부동산 소유주들은 각 카운티로부터 재산세 고지서를 받기 시작했다.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면 월 모기지 외에도 매년 재산세와 보험 등을 내야 한다. 재산세는 카운티 택스 산정국에서 부동산 구입가를 산정 기준으로 해서 정해진다. 지역에 따라 ...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7. 리스팅을 잘 표현하는 방법-<뉴스타부동산>이 상 규-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상황에 맞게 잘 표현해서 이득을 본다는 뜻이다. 바꾸어 말하면, 말을 잘하지 못해서 또는 어리석게 표현해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뜻에도 많이 쓰인다. 성경에도 ‘입술의 열매’라고 ...
    Date2022.04.29 ByValley_News
    Read More
  8. 리버스 모기지 -<뉴스타부동산> 이상규 명예 부회장-

    미국 인구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연령이 30대 초반의 밀레니엄 세대이다. 그다음으로 60세가 넘으신 베이비 부머 세대이다. 이 인구가 약 6천9백만 정도이다. 이미 은퇴했거나 은퇴를 고려하는 세대이다. 베이비 부머 세대의 약 40%는 은퇴 자금이 준비되지...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9. 뉴 노멀(New Normal) 시대 -뉴스타 부동산 부사장 이상규-

    2020년 올해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무엇일까? 누구나 예상하듯이 코로나 관련 단어들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코비드, 팬데믹, 얼굴 마스크, 손 소독제, 백신, 락다운(Lockdown),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 재택 근무(Work- at-Home), 줌 미팅 ...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10. Pandemic 시대 상업용 부동산-<뉴스타 부동산>이상규 부사장-

    지난달 유수의 상업용 부동산 회사인 Washington Prime Group이 이자를 제때 내지 못해 뱅크럽시 일보 직전에 직면했다. 약 100개의 쇼핑몰을 소유한 거대 상업용 기업이 말이다. 사실 작년 말에도 두 개의 큰 쇼핑몰 전문 기업이 뱅크럽시를 신청했다. 팬데...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11. 2021 상반기 부동산 결산 -<뉴스타 부동산> 이상규-

    2020년 광풍처럼 전 세계에 들이닥친 팬데믹 이후 많은 각계각층의 리더쉽들이 포스트 팬데믹을 준비하고 있다. 향후 세상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촉각을 세우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도 마찬가지이다. 팬데믹 시대에 다른 경제 부문과 마찬...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 경제소식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