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는 카탈로니아 사람입니다. 오늘날은 스페인의 한 지방입니다만, 카탈로니아는 이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였습니다. 

  나는 카탈로니아의 짤막한 민요 한 곡을 연주하겠습니다. 나는 이 곡을 14년간 연주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은 꼭 연주해야 합니다. 이 민요는 <새의 노래>라고 불려지는 것인데, 이 새들은 하늘로 날아올라 평화(Peace)! 평화(Peace)! 평화(Peace)! 하는 소리를 내며 노래합니다. 

  이 노래는 바흐나 베토벤의 음악보다도 아름답습니다. 이 곡은 나의 조국 카탈로니아의 영혼(靈魂)입니다.”

 

  첼로의 거장 파블로 카잘스(1876-1973)가 1971년 10월24일, 유엔이 주는 <평화상>을 받는 자리에서 한 짧은 연설입니다. 당시 카잘스는 95세였습니다. 

  유엔 사무총장이 그에게 평화상을 수여하면서“돈 파블로, 귀하는 전 생애를 진실과 아름다움과 평화를 위해 헌신하셨습니다”라는 수상 이유를 밝히자, 유엔 총회에 참석한 전세계의 대표들을 향하여 이같은 인상적인 메시지를 울먹이는 음성으로 전한 겁니다. 

  그리고는 운신(運身)마저 어려운 노구(老軀)를 움직여서, 그러나 어느 때보다도 힘있게 첼로를 부둥켜안고 카탈로니아의 민요 <새의 노래>를 연주했습니다. 

  일찍이 음악가가 유엔 평화상을 받는 예도 드문 일이었거니와, 그처럼 투철한 애국심으로 전 생애를 일관했던 예인(藝人)도 흔치 않았기에 유엔(UN) 본부 단상에서 토해낸 그의 수상연설은 어느 정치가의 연설보다도 강렬한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카잘스가 20세기 전반의 가장 뛰어난 첼리스트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첼리스트 중 한 명으로 칭송 받는 데는 이런 애국심도 작용한 셈이지요. 

  카잘스는 연주회 때마다 마지막 곡으로 <새의 노래>를 연주하며, 조국 카탈로니아의 독립을 호소했다고 합니다. 

  카잘스가 연주하는 <새의 노래>를 들으며, 가령 한국의 유명한 연주자가 세계적 공연 무대에서 조국의 통일을 염원하면서 마지막 곡으로 <아리랑>을 연주하는 장면을 상상해봅니다. 터무니없는 꿈일까요?  

  <글: 장소현>  

 

카잘스.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84 <우산> -김수환 추기경- Valley_News 2023.03.29
83 <이 사람의 말> "이게 뭡니까?" 김동길 교수가 남긴 말들 file Valley_News 2022.12.01
82 <이 사람의 말> 가수 양희은의 말 “그럴 수 있어!” file Valley_News 2023.08.31
81 <이 사람의 말>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 손흥민 아버지 손웅정 감독의 말 file Valley_News 2024.04.03
80 <이 사람의 말> 얼마나 사랑했는가, 얼마나 사랑받았는가 -60년 연기 인생, 배우 김혜자의 말말말 file Valley_News 2023.01.30
79 <이 사람의 말> 완성을 향한 열정 멈출 수 없다 -원로배우 이순재의 말씀들 file Valley_News 2023.07.28
78 <지혜의 글> 개코도 모르면 가만히나 있지! Valley_News 2023.06.29
77 <한글날 특집> 구품사의 눈물 -소설가 김영강- file Valley_News 2023.10.02
76 100년 전 삼일절, 그날의 절절한 외침을 기억하며... Valley_News 2019.06.04
75 4월의 푸른 하늘, 푸른 들을 바라보며-조옥동 문학평론가, 시인 Valley_News 2019.06.04
74 5월은 가정의 달, 사랑과 감사의 달-조옥동(문학평론가, 시인) Valley_News 2019.06.04
73 ‘김샜다’ -수필가 이진용- Valley_News 2023.11.30
72 ‘지금, 나도 가고 너도 간다’ -수필가 이진용 - Valley_News 2023.12.29
71 “99%, 폐암입니다” -수필가 이진용 - Valley_News 2024.04.03
70 「나무는 꿈꾸네」 - 조 옥 동 문학평론가, 시인 Valley_News 2019.06.13
69 가물가물 깜빡깜빡 -<소설가>김영강- file Valley_News 2021.07.24
68 가수 나훈아의 말 말 말 file Valley_News 2022.09.02
67 간접 살인 -수필가 이진용- file Valley_News 2023.03.29
66 감동의 글 : 아버지의 생일 file Valley_News 2022.10.31
65 감동의 글 :얼마나 추우셨어요? Valley_News 2022.10.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