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불법체류 신분이지만 소셜시큐리티 번호를 가지고 있는 한인들에 대한 메디케어 혜택 가능 여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 베니핏

   소셜시큐리티 베니핏(소셜연금)과 메디케어는 미국 시니어들을 위한 중요한 사회복지 정책이다. 이 복지프로그램을 받으려면 10년이상 일을 해 세금을 내고 40 크레딧(1년 4크레딧씩)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40 크레딧이 넘지 않으면 장애인 연금을 제외하고는 받을 수 없다. 하지만 배우자, 이혼 배우자, 사별 배우자는 크레딧이 없거나 부족해도 일정 결혼 연수 조건만 맞는다면 사회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불법체류의 경우

   불법체류 신분이라면 당연히 사회복지 혜택을 받지 못한다. 복지혜택을 받으려면 소셜시큐리티 번호를 가지고 이 번호를 이용해 IRS에 세금 보고를 해야 한다. 세금을 받은 IRS는 이 세금(FICA)을 소셜시큐리티국에 통보하고 세금은 관련 ‘신탁기금’에 입금된다. 

만약 소셜번호가 없다면 세금을 냈다고 해도 근거를 찾기 힘들다. 타인의 소셜번호를 사용해 세금을 냈다면 그것은 다른 사람을 위해 대신 내준 복지 세금과 같다. 

   최근 택스 ID로도 세금 보고를 한다면 받지 않느냐는 질문도 있었다. 

   소셜번호는 소셜시큐리티국에서만 발행하고 택스 ID는 세금 징수 목적으로 IRS가 발행하는 고유 번호로 소셜번호 9자리수와 동일하다. 

   소셜시큐리티국 국장은 최근 연방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IRS가 택스 ID로 받은 세금기록을 소셜시큐리티국에 통보해도 소셜번호가 없다면 누구의 세금인지 확인해 수입으로 기록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소셜번호 있는 불체자

   소셜번호가 있다면 소셜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미국에서는 받지 못한다. 연금을 받으려면 한국으로 귀국해 소셜시큐리티 세금 기록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미국에서 받으려면 노동허가를 가져야 한다. 

   그러면 메디케어도 받을 수 있느냐는 의문이 생긴다. 이부분에 관해서는 명확한 규정을 찾기 힘들다. 다만 “두드리는 사람에게 문의 열어준다”는 말이 있다. 매우 애매한 규정으로 잣대가 불분명한 경우는 직접 두드려보라는 것이다. 

   메디칼

   캘리포니아는 지난해 5월부터 50세 이상 저소득 불법체류자에게도 주정부 메디칼(메디케이드) 보험을 제공하고 있다. 또 2024년 부터는 나이와 신분에 관계없이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메디칼을 제공한다. 

   만약 소셜번호가 있는 불체 신분으로 메디케어를 받았다면 절대 메디케어 파트 C 어드밴티지를 가입하지 말 것을 적극 권한다. 다만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처방전 혜택이 없으므로 메디칼에 가입해 처방전 혜택을 받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메디케어.JPG

 


  1. 미국에 맞서 중국에 줄서는 나라들

    지난 몇 달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행보가 꽤 두드러졌다. 세계 갈등의 중재자를 자처하는가 하면 자국을 찾은 다른 나라 지도자들과 만나 미국을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돼 있는 신흥 경...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2. 우편 절도 막기 위한 보안 강화 우체통 신설, 3자 주소변경 불허

    미국 우체국(USPS)이 최근 급증하는 우편 절도, 우체부 상대 강도, 주소 변경 사기, 가짜 우표 등에 대한 단속과 방지대책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우체국은 미 전역에서 보안이 강화된 1만2,000개의 우체통을 신설하고 기존 우체통 교체 여부를 평가한다고 ...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3. 일부 주 정부, 리빙트러스트서도 메디케이드 비용 환수

    더 이상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면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가며 살아야 한다. 양로 시설이 이런 환자들을 돌봐 주는 곳이다. 그런데 양로원이나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살아야 한다면 비용이 만만치 않다. 그래서 많은 한인들이 재산을 정리하고 정부에서 가난...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4. CA, 올시즌 연어 조업과 연어 낚시 금지하기로 결정

    CA 주에서 연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더 이상 연어 조업과 낚시를 할 수없게 됐다. CA 주는 연어 주요 서식지로 꼽히는 클라매스 강과 Central Valley 지역 강들을 대상으로 연어 조업과 낚시를 금지하기로 결정했고 Smith 강과 Eel 강에서도 레크...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5. 미국인 69% 경제 비관적, 7년만에 최고치

    미국인 10명 중 7명은 경제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CNBC는지난 4월 전미 경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9%가 현재 경제 상황과 향후 1년간 전망에 대해 '모두 비관적'이라고 답했다. 이 여론조사를 진행한 지난 17년을 통틀어...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6. 미국 베이비 부머들의 27% ‘은퇴저축 한푼 없다’

    미국내 7700만명의 베이비 부머들 가운데 27%나 은퇴저축을 한푼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 생활 안정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에서 베이비 부머들은 59세에서 77세 사이로 수년째 은퇴하고 있으나 은퇴저축이 없어 사회보장 연금으로 빈곤층 생활을...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7. 파사데나서 코요테 수 급증, 사람 두려워 하지 않는다.

    파사데나 지역에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코요테 수가 급증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타이론 햄튼(Tyron Hampton) 파사데나 시의원은 위원회 회의에서 최근 파사데나 시의 코요테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8. CA주서 75~79세 되면 살고있던 '주택 처분'

    CA주에서 75~79세의 고령층이 되면 집을 처분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0대가 넘어 신체와 정신적으로 힘들어지면서 돌봄 시설로 들어가게돼 주택 소유 비율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미국내에서 세대별로 주택 소유 비율이 70대에 80%로 정점을 ...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9. 훔친 수표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사기 급증

    최근 대부분이 송금 앱 등 온라인을 통해 거래하고 있지만 여전히 종이 수표를 사용하는 주민들도 많은 가운데 우편 도난과 더불어 수표 사기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들은 수표를 우편으로 보내야 하는 경우 우체국 안에 있는 우편함을...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0. 2023-24 회계년도 예산안 공개한 캐런 배스 LA 시장

    캐런 배스 시장이 2023-24 회계년도 예산은 LA 시와 시 의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LA 시 2023-24 회계년도 예산안 핵심은 중요한 현안들을 처리해 LA 시 발전을 도모한다는 내용이다. LA 시 최대 현안인 노숙자 문제 위기를 극복하고, 갈...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1. 노숙자 문제 악화일로 CA주 정부 소유 집 115채 빈집

    CA주가 소유한 주택 가운데 LA카운티에 있는 주택 100채 이상이 수 십 년간 방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빈집 인근 순찰을 위해 2천 300만 달러 예산이 투입됐는데 현재 노숙자 밀집지로 변하는 등 슬럼화돼 혈세만 낭비됐다는 지적이다. 파사데나 인근 LA...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2. <재외동포청>빠르면 6월 공식출범 예정 732만 해외 한인 지원,정책 컨트롤 타워

    복수국적 등 각종 민원, 각 부처에 분산된 업무 원스탑 효율적으로 운영, 해외 정책 창구 단일화 <재외동포청>이 빠르면 6월께 신설돼 공식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미주 등 해외 한인들의 오랜 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LA를 비롯한 해외 한인사회는 1990년...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3. 소셜번호 있는 불체자 ‘메디케어’ 받아

    불법체류 신분이지만 소셜시큐리티 번호를 가지고 있는 한인들에 대한 메디케어 혜택 가능 여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메디케어, 소셜시큐리티 베니핏 소셜시큐리티 베니핏(소셜연금)과 메디케어는 미국 시니어들을 위한 중요한 사회복지 정책이다....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4. 좀비 마약 유통 비상, 팔다리 잘려도 해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자일라진 혼합 약물 과다복용 사례로 마약단속국 DEA에 비상이 걸렸다. 당국은 그동안 미국이 직면한 가장 치명적인 마약으로 펜타닐이 꼽혔지만 자일라진 혼합 약물이 그 심각한 수준을 넘어섰다고 우려했다. 자일라진은 지난 ...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5. 첨가물 들어간 스키틀스 등 캔디 판매 금지

    CA에서 Skittles 등 인기 캔디들이 사라질 전망이다. 첨가물 들어간 사탕들의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 AB 418을 CA 주 의회에 정식으로 발의했다. 이 법안에는 Skittles를 비롯해서 Sour Patch Kids, Pez, Jelly Bean 등의 사탕들이 금지 대상으로 기재돼 있다....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6. CA주 총기 규제법 폐지 요구하는 목소리 커져

    CA주는 전국에서 가장 강력한 총기규제법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에대한 총기 옹호자들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코맥 카니(Cormac Carney)연방 지방 법원 검사는 지난달 20일 성명을 통해 CA주법이 신형 총기 구매를 지나치게 규제하고 있으며 이는 무기 휴대 ...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7. 메디칼 갱신 안 하면 메디케어 불이익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종료되면서 메디칼 갱신 심사와 수혜자격이 다시 강화된다. 메디칼가입자의 주의와 이행 조치에 관한 질의응답을 정리한다. -메디칼은 왜 갱신해야 하나. 매년 한 번씩 갱신해야 메디칼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8. 나이 제한 없이 IRA에 세금 마감일까지 적립 가능

    2022 세금 보고 시즌이 돌아왔다. 연방 국세청은 팬더믹으로 인한 각종 크레딧이 대부분 종료됨에 따라 올해 세금 환급은 다소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따라서 올해는 특히 세금 보고 때 주의를 기울여야 세금을 덜 낼 수 있다. 이미 2022년이 끝났기 때문...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9. CA 내에서 도시 거주자 줄고, 외곽 지역 거주자 늘어나

    타 주로 이주하는 CA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CA 내에서도 이주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방우정국의 주소지 이전 Data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남가주 LA, Orange County에서 주소지 이전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구체적으로 지...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20. 개스비에 이어 전기비 폭탄 우려

    남가주 천연개스 가격 급등이 올여름 전기비 인상을 불러 올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남가주 에디슨사(SCE) 윌리엄 월쉬 사무국장은 SCE가 6월 1일 요금을 전체 5억 9천 560만 달러로 인상해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한 고객 평균 4.4% 전기비가 ...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 커뮤니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