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내가  60대 후반의 안씨를 알게 된 것은 Care Center (양로 병원)에서였다. 나는 천주교 레지오 봉사활동 일환으로서 그곳을 일주일에 한번씩 방문하여 한국인 환자들을 찾아 다니며 기도와 함께 위문하는 것이 내 임무였다. 때로는 신부님이나 수녀님을 모시고 가 임종이 다가 온 환우들에게 종부 성사(생전의 마지막 의식)를 부탁하기도 하였다. 

   “이곳에 한 번 들어오면 죽어서나 나가게 된다” 하여 노인들이 공포감을 갖는 곳이기도 하다. 주로 80대 이상 노인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병세가 호전되어 퇴원하는 경우도 가끔 있으나 결국 2~3개월 이내에 병세가 악화되어 다시 입원하게 된다. 

   안씨는 Stroke로 쓰러져 1년 넘게 입원하고 있었다. 대소변을 가리지도 못하고 그야말로 식물인간이 되어 실어증까지 있어 언어 구사 능력도 없었다. 하루 24시간 내내 누워 있다 보니 등은 욕창이 살을 깊게 파고 들어가 뼈가 드러날 지경이었다. 그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삶의 연속이었다. 그날도 나는 그의 병실로 들어가다가 그만 엉거주춤 서 있었다.

   “가- 이제 그만 가- 죽으란 말이야…”를 연발하며 그의 딸이 죽을 떠서 입에 넣어주며 연신 외치다가 엎드려 흐느끼고 있었다. 

   나는 머리를 둔기로 얻어맞은 듯“띵“하며 현기증을 느꼈다. 이런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은 누구의 잘못일까?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은 안 씨의 탓인가? 아니면, 직장에 다니랴… 두 명의 자식 뒷바라지하랴… 아버지 병간호하랴… 1인 3역의 고달픈 삶으로 마음과 몸이 지칠 대로 지친 딸의 탓인가? “병간호 3년에 효자 없다”고 하지 않던가? 

   문병 온 그의 매제에게 들은 바로는 안씨는 한국에 있을 때는 경찰 공무원이었다고 한다. 서울  강릉 간을 운행 중이던 고속버스를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적발하여 단속 도중 Sticker를 발부하려는데 안내양이 내려와 갖은 애교를 떨며 선처를 부탁하는데 그 미모에 홀딱 반해버리고 말았단다. 그래서“전화번호를 알려주면 눈 감아 주겠다”한 것이 인연이 되어 교제하다가 결혼까지 하게 되었단다. 1남 1녀를 낳고 나름대로 행복하게 살다가 누님의 초청으로 2000년대 초에 미국에 이민 오게 되었다. 

   이민 생활 초창기가 누구에게나 힘들었듯이 안씨는 수영장 청소를 하였고 부인은 식당에서 주방일을 거들며 생계를 꾸렸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이 행방을 감추었다. 사고가 난 것일까? 누군가에게 납치되어 살해된 것은 아닐까? 온갖 잡념에 안 씨는 미친 사람이 되어 갔다. 일도 집어치우고 실성한 사람이 되어 아내를 찾아 나섰다. 

   실종된 지 6개월이 지났을 무렵 딸에게로 타주에서 한 통의 편지가 날아들었다.“엄마를 더 이상 찾지 말라. 나에게는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여생을 그와 함께 할 테니 엄마는 이 세상에 없는 사람으로 여기거라…” 알고 보니, 엄마는 한국에서 살 때부터 바람이 났는데 그 남자가 미국에까지 쫓아와 같이 도망간 것이었다. 

   안씨는 반미치광이가 되고 말았다. 술, 담배를 모르던 성실한 사람이었는데 술과 마약을 하지 않고는 하루도 버틸 수 없었다. 이 무슨 청천벽력이란 말이냐? 주간 잡지에나 나올 만한 Gossip 거리가 나에게 닥쳐오다니? 실의에 빠진 안 씨는 자신을 학대하기 시작했다. 

 

   그런 절망적인  삶은 2년도 채 못 되어 안씨를 쓰러지게 만들었다. Pandemic으로 병원 측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켰기에 2년 넘게 봉사활동을 중지했다가 접한 소식은 이미 그가 이 세상 사람이 아니란 것이었다.

   그 여자는“어떠한 경우에도 남편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아내로서 도리를 다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룰 것을 맹세한다”고 혼인서약을 했을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남편과 자식을 버리고 사랑을 택한 도주극이 끝내는 남편을 죽음에 이르게 만든 원인이 된 것이 아니겠는가? <*>

 

시든꽃.jpg

 


  1. No Image

    “99%, 폐암입니다” -수필가 이진용 -

    내가 60대 중반이었던 2018년 8월 중순경이었다. 그때 나는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제대로 안 되었다. 직감적으로 내 몸에 이상이 있음을 느꼈다. 코리아타운에 있는 호흡기 전문의인 주치의를 찾아가 증세를 설명하고 CT 촬영을 할 수 있게 리퍼(refer) 해 ...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2. No Image

    태평양 예찬론 -이진용-

    나는 태평양을 좋아한다. 우리 한국인에게는‘은혜의 바다’이기 때문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이 하와이 진주만 미 해군 태평양 함대를 기습 공격하여 시작된 태평양 전쟁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으로서 종료된다. 미국의 핵폭탄 ...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지금, 나도 가고 너도 간다’ -수필가 이진용 -

    한국의 자살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42개국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자살 사망자의 80% 정도는 정신질환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그중에서 90%가 우울증의 결과로 추산된다니 인격장애가 자살 요인의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에서 인격장...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4. No Image

    ‘김샜다’ -수필가 이진용-

    내 외동딸 라영이는 1982년 5월생이다. 나는 8남매, 아내는 6남매의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기에 우리는 한 명만 낳아서 잘 기르기로 이미 결혼 전에 약속한 터였다. 아내가 출산 기미가 있어 화곡동 단골 산부인과에 입원했다. 나는 퇴근 후 곧장 병원으로 갔...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5. 맹노인의 눈물 -수필가 이진용-

    효도 효(孝)자는 자식이 노인을 업고 있는 형상이다. 孝자를 접할 때마다 이웃집에 살던 맹노인이 떠올라 가슴이 아파진다. 그는 1980년대 초 여동생의 초청으로 미국에 이민오게 되었다. 그에게는 아들만 삼 형제가 있는데 큰아들은 중학교 2년생, 두 아들은...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그리운 그 때 그 시절 - 수필가이진용 -

    쉬는 날이라 늦은 아침을 먹고 Sanjose길을 따라 산책 했다. 십 분쯤 걸었을까? 좌측으로 초등학교가 나타났다. 운동장에서 재잘거리며 뛰어 노는 어린 학생들을 보니 무척 부러웠다.‘참 좋은 때 다. 나도 저런 때 가 있었는데…’ 나는 그 ...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7. 간접 살인 -수필가 이진용-

    내가 60대 후반의 안씨를 알게 된 것은 Care Center (양로 병원)에서였다. 나는 천주교 레지오 봉사활동 일환으로서 그곳을 일주일에 한번씩 방문하여 한국인 환자들을 찾아 다니며 기도와 함께 위문하는 것이 내 임무였다. 때로는 신부님이나 수녀님을 모시...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8. 오렌지 - 수필가 이진용 -

    제17회재미수필 문학가협회 공모 장려상 수상작 내가 오렌지를 처음 접한 것은 충청도에서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으니 지금부터 꼭 60년 전 일이다. 도로를 통행하는 자동차라곤 하루 종일 3~4대가 고작인 작은 시골 마을이었다. 그날도 동네 또래 너덧 명이 어...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