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의 천재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8월1일 할리웃보울에서 LA 필하모니와 협연을 한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LA 필의 지휘는 전 세계가 그녀의 지휘를 기다린다는 한국의 여성거장 마에스트라 성시연이 맡는다니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반갑다. 더구나 임윤찬이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보여주었던, 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콘체르토 3번의 무아지경의 경지를 다시 감상할 수 있다니, 이 무슨 축복의 비 같은 소식인가?

  “내가 죽기 전에 임윤찬의 연주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나 기뻐요!”

  요즘도 임윤찬의 연주를 들으며 그의 천재적인 예술성과 매력에 푹 빠져 임윤찬 예찬론을 끝없이 펼치고 있는 나의 지인들도 지금 임윤찬의 할리웃보울 소식에 잔뜩 부풀어 있다.

  사실, 임윤찬 신드롬은 그가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콩쿠르>란 세계적인 위상을 지닌 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머쥐었을 무렵부터 끝나지 않는 여진처럼 지속되며 임윤찬 팬덤 현상을 몰고왔다.

  십대의 앳되고 사랑스러운 임윤찬이 그 난이도 높은 대곡들을 전 세계 앞에서 성공적으로 연주해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아 모두들 어안이 벙벙했을 정도였다.

  임윤찬의 연주가 너무나도 완벽해서 청중들은 그의 연주가 인간의 연주가 아니라고도 했고, 항간엔 그를 천재 괴물이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었다고 했다.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주역인 반 클라이번 역시도 1958년 ‘미소냉전’시대에 모스크바에서 열렸던 <제1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머쥔 미국의 천재 피아니스트였다.

  피아니스트로서의 클라이번의 위상이 얼마나 대단했던지 그가 당시의 그 팽팽했던 소련과 자유세계의 냉전을 잠시 약화시키는 위력을 가져왔다고도 했고, 심지어 그 철의 장막 속의 소련 공산당의 수장 후루시초프마저 그의 연주에 그만 깊은 사랑에 빠져들었다는 후문도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런 대단한 연주자 피아니스트 반 클라이번 역시도 임윤찬의 연주를 들었다면 놀랐을 거라고들 했다.

 

  행동 교정을 주도하는 심리학자들은 한 인간의 삶을 성공으로 이끌어 가게 하는 건 결국 그 인간의 습관이라 했다. 

  그러나 임윤찬의 경우를 보면 한 인간의 삶을 성공으로 이끌고 가는 건 습관만이 아니라 바로 천재성인 것 같다. 아무리 똑같이 연습을 하는 습관을 가졌어도 보통 인간과 천재가 어떻게 같은 성과를 낼 수가 있단 말인가?

 

  나 역시도 임윤찬이 연주하는 대곡들과 쇼팽의 녹턴 같은 짧은 곡에 이르기까지 전혀 새로운 곡을 듣는 듯 그의 연주에 빠져들었고 그때마다 그의 <천재성>에 번번이 밤잠을 설쳐야만 했다. 때로는 밤늦도록 지인과 그에 대한 이야기를 끝없이 나눌 때도 있었다. 그저 평범한 음악 애호가들인 나와 나의 지인들조차 한동안 임윤찬의 연주를 들으며 밤잠을 설쳤으니,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콩쿠르의 현장에서 직접 지휘를 맡았던 또 한분의 천재인 지휘자 마린 알솝의 감동은 얼마나 대단했을까?

 

  임윤찬의 <반 클라이번 경연대회>의 또 다른 연주곡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콘체르토 제22번 E 플렛 장조>였다. 모차르트는 빈으로 옮겨온 지 1년 후부터 작곡가로서 뿐만 아니라 연주자로도 활동하기 시작했을 때 자신의 작품으로 연주회를 하게 된다 그래서 피아노 협주곡 22번은 1786년 봄의 사순절의 연주회를 위해 협주곡 23번과 함께 작곡된 곡이라고 했다. 모차르트의 협주곡 가운데 오보에 대신 클라리넷이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연주 시간도 긴 대곡이다.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을 따르고 있다. 그 시대의 천재였던 모차르트의 콘체르토가 이 시대의 독특한 임윤찬의 현란한 연주로 다시 태어나고 있었다. 

  나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콘체르토를 감상하며 모차르트의 일생을 떠올려 보았다. 모차르트 역시 일찍 음악의 신동의 삶을 살며 수없는 곡을 작곡하고 연주했듯이 임윤찬 역시 일찍부터 음악의 신동의 삶을 살고 있는 셈이다.

  임윤찬의 연주를 들은 후 밤을 꼬박 샐 정도로 잠들지 못했던 이유는 또 있다. 그것은 그의 진지하고 겸허하고 성숙한 예술관과 인생관 때문이다. 그는 그 나이에 너무나도 깊숙이 생의 본질을 꿰뚫고 있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천재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생각은 아주 소박했다.    

그는 말한다. 

  “나는 아직 학생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배우고 싶습니다.”

  정말 세계의 정상에 선 그가 더 배우고 싶은 게 무엇인지 궁금해지는 시점이다. 아무튼, 부디 임윤찬이 앞으로도 오래도록 더 많이 배워 이 세상에 좋은 연주를 들려주기를 희망하며, 나 역시 그처럼 앞으로도 이 세상의 진지한 학생이 되어 더 배우며 살아가고 싶다고 마음속으로 다짐해본다. <*>

 

임윤찬.jpg

 


  1. 아버님의 여자 -소설가 김영강-

    오늘이 아버님 장례식 날이다.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민지는 몸도 마음도 천근만근이다. 가슴 한복판에 커다란 돌멩이가 얹혀 있는 것 같다. 아버님이 돌아가신 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다. 법적으로 어엿한 아버님의 부인인 여자가 걸림돌이 된 것이다. ...
    Date2021.02.25 ByValley_News
    Read More
  2. No Image

    안다는 것은? - 곽설리 소설가

    오전이면 습관처럼 전화를 하곤 했다. 그날도 평소대로 그녀에게 전화를 했다. 이상하게도 전화가 더 이상 연결이 되지 않았다. 머릿속이 하얘지며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그녀가 전화를 바꾸었거나,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버린 게 분명했다. 더 이상 그녀...
    Date2020.02.22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알아두세요: 세계 각국 5월의 재미있는 기념일

    자료: Allison+Partners 세상에는 우리가 몰라서 그냥 지나치는 기념일이 참 많다. 단순히 재미로 만들어진 것도 있고, 상업적 냄새가 진하게 풍기는 기념일도 많다. 아무려나 하루하루를 기념하고 축하하며 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이런저런 기념일...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4. 어머니날 글- 아름다운 사람들

    5월은 가정의 달.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에 대한 사랑에 감사하는 계절. 코로나 때문에 길게 이어진 고립과 비대면 생활, 그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뉴노멀 시대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사회적 혼란 등을 겪으며 사람들의 심성이 많이 날카롭고 모질어져 갑...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5. No Image

    영어속담 한국속담 -김 순 진 교육학 박사-

    "티끌 모아 태산이라. " From small things a great heap is made. Light gains makes a heavy purse. 티끌 같이 작은 물체라도 꾸준히 모으면, 언젠가는 태산 같은 거대한 덩어리가 될 수 있다는, 초등학교 때 배웠던 친숙한 속담으로, 아무리 적은 푼돈이라...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영어속담 한국속담 -김 순 진 교육학 박사-

    <핑계 없는 무덤 없다> There's reason in all things. 세상에 태어난 사람은 반드시 죽고, 죽으면 무덤에 묻히는 것이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고, 관례였다. 하지만, 삶의 끝에서 죽는다 것은, 예외 없는 운명이지만, 죽음을 맞게 된 원인은 사람마다 다를...
    Date2021.08.26 ByValley_News
    Read More
  7. No Image

    영어속담 한국속담 -김 순 진 교육학 박사-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The sky may fall, but there is still a way to escape alive. Where there is life, there is hope. When misery is highest the help is nighest. As long as there is breath, there is hope. When all is lost, the ...
    Date2021.10.05 ByValley_News
    Read More
  8. No Image

    영어속담 한국속담: 초가삼간 다 타도... - 김 순 진 교육학 박사-

    초가삼간 다 타도 빈대 타 죽어서 시원하다. He got angry with the fleas and threw his fur coat into the oven. It's like burning one's house to get rid of the mice. Don't cut off your nose to spite your face. 빈대는 날지도, 뛰지도 ...
    Date2022.03.31 ByValley_News
    Read More
  9. No Image

    영어속담 한국속담; 평양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김순진 교육학박사-

    평양감사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There is no accounting for tastes. 수많은 한국속담을 읽어 내려가다가, 내가 처음으로 반가운 느낌을 받은 속담이다. 사회적 신분에서는 물론 모든 가치체계에서 위계질서가 굳게 자리 잡고 있던, 전통 한국 사회에서, 평...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10. 오렌지 - 수필가 이진용 -

    제17회재미수필 문학가협회 공모 장려상 수상작 내가 오렌지를 처음 접한 것은 충청도에서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으니 지금부터 꼭 60년 전 일이다. 도로를 통행하는 자동차라곤 하루 종일 3~4대가 고작인 작은 시골 마을이었다. 그날도 동네 또래 너덧 명이 어...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11. 오월이면 더 그리운 어머니 -소설가 윤 금 숙 -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 신록을 바라다보면 내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즐겁다. -피천득- 어떤 이는 봄을 좋아하고, 누군가는 낙엽 지는 가을을 좋아한다. 각자의 취향이지만 봄보다 가을을 좋아하는 것은 어쩐지 우수에...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12. No Image

    온 노멀 시대, 가을을 앓다 -조옥동 시인, 수필가-

    감사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아침 눈을 뜨면 밝은 햇살이 마치 내 기상을 기다리는 듯 침실 커튼 아래 앉아 있다. 제일 먼저 신선한 아침공기를 맞으려 발코니로 통하는 거실 문을 열면, 요즘 창문 밖에는 낯선 손님들이 찾아와 기다린다. 색깔도 모습...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3. 욕쟁이 할매 -노자규의 골목이야기-

    햇살의 사랑을 품은 들풀들 사이로 족히 40년도 더 되어 보이는 허름한 판잣집 앞 오래된 나무 간판에 <욕쟁이 할매 국밥>이라고 써놓은 가게 안에는 오늘도 손님들로 시끌벅쩍합니다. 구수한 시래기 국밥 한 그릇에 빨갛게 익은 깍두기를 얹어 먹으며 얼기설...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14. 이 사람의 말-전세계 사로잡은 젤렌스키 연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연설이“푸틴의 총보다 강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 세계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외신은 그가 자국민을 비롯해 전 세계로 보낸 메시지를 두고“이 시대의 게티즈버그 연설”&ldquo...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갖는 의미 -<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 류모니카-

    어렸을 때, 나는 이름 때문에 놀림을 많이 받았다. 중학교 때부터이었던 것 같다. 내 코앞에서 선생님들이 나의 이름에 대한 일가견을 스스럼없이 펼쳤다. 기생 이름이라는 것이었다. 기생이란 조선시대 법적으로는 양민, 사회적으로는 천민대우를 받던 여성...
    Date2021.02.01 ByValley_News
    Read More
  16. No Image

    이매진 (Imagine)-곽 설 리 소설가-

    눈을 뜨자 새벽하늘이 스르르 하루의 창문을 열고 있다. 새벽은 아직 어스름했고 쥐죽은 듯 고요했다. 아직 아침 새들이 찾아와 수다를 떨기 전. 하얀 백지 같은 공백의 시간이었다. 공백의 시간 뒤엔 적막이 검은 벨벳 휘장처럼 깔려 있다. 아직 도시가 잠이...
    Date2022.04.29 ByValley_News
    Read More
  17. 이어령 <눈물 한 방울>

    시대의 지성 이어령 선생이 세상을 떠나고 난 뒤 많은 저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많은 책 중에서 유독 눈길을 끄는 책이 <눈물 한 방울>이다. “나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말은 무엇인가? 그것은‘눈물 한 방울’이었다.” 이 책은...
    Date2022.09.27 ByValley_News
    Read More
  18. 임윤찬이 할리웃보울에 온다 -소설가 곽설리 -

    한국의 천재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8월1일 할리웃보울에서 LA 필하모니와 협연을 한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LA 필의 지휘는 전 세계가 그녀의 지휘를 기다린다는 한국의 여성거장 마에스트라 성시연이 맡는다니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반갑다. 더구나 임...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9. No Image

    자화상(自畵像) - 수필가 국화 리/ 이정숙-

    장소현 작가의 신작 소설집 『그림 그림자』를 탐독하며 내 마음에 담은 구절이 있다. “나는 요즈음 자화상을 그리려고 발버둥 치고 있네. 지나온 자취들을 되돌아보고 나는 도대체 어떤 중생인가 묻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 나 때문에 아팠던...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20. No Image

    작은 천사의 선물_감동의 글

    어린 소년이 추위에 대비한 옷을 입고 아버지에게 말했습니다. “아빠 준비됐어요.” 목사인 그의 아버지가 묻습니다. “아들, 무슨 준비냐?” “아빠, 밖에 나가서 전도지를 나눠 줄 시간이에요.” “오늘은 매우 춥고 ...
    Date2021.12.0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