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효도 효(孝)자는 자식이 노인을 업고 있는 형상이다. 孝자를 접할 때마다 이웃집에 살던 맹노인이 떠올라 가슴이 아파진다. 그는 1980년대 초 여동생의 초청으로 미국에 이민오게 되었다. 그에게는 아들만 삼 형제가 있는데 큰아들은 중학교 2년생, 두 아들은 초등학교부터 미국 생활을 시작하였다. 다행히 그의 사업이 번창하여 아들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결혼하게 되었을 때는 집을 한 채씩 사 줄 수 있었다. 

   저택에서 미국에 이민 오길 잘했다고 만족해하며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주위의 지인들이 나중에 치매에 걸리면 재산을 상속해 주고 싶어도 못하게 되니 정신이 멀쩡할 때 집을 팔아서 자식들에게 나누어 주라는 그럴듯한 제의에 맹 노인은 동요하게 되었다. 

   어느 날, 그는 아들 삼 형제를 소집하였다. 이 집을 팔면 250만 불 정도 받는데 너희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고자 한다. 그리고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메디칼 혜택을 받고자 내 비자금도 똑같이 분배하겠노라고 선언하였다. 아들들은 좋은 생각이라며 효도할 것을 다짐하였다. 그는 전 재산을 삼 형제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고 큰 아들 집에서 부부가 생활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부인이 중풍으로 쓰러졌다. 부인은 대소변을 못 가려 맹 노인과 주 정부에서 지원하는 가사 도우미가 병간호를 하였다,

   그런 생활이 일 년도 못 되어 큰 아들 집에서 삼 형제가 모여 가족회의를 하였다. 회의는 맹 노인이 알아들을 수 없게끔 영어로 진행했는데 점점 고성이 오가더니 급기야는 형제간에 주먹다짐으로 번졌다. 그는 눈치가 빨라서 금방 알아차렸다. 큰아들이 나만 아들이냐? 너희들도 이제 부모님을 모시라는 것이었고 두 동생은 무슨 말이냐? 당연히 장남이 끝까지 모셔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자 큰 며느리가 부모를 택하든, 나를 택하든 둘 중 하나만 택하라고 폭탄선언을 해버렸다. 

   결국, 그의 아내는 양로병원으로 옮겨졌고 맹 노인은 큰 아들, 둘째, 셋째 아들네서 한 달씩 보내는 떠돌이 생활이 시작되었다. 그는 나를 볼 때마다 한숨으로 하소연을 시작하여 눈물로 매듭짓기를 계속하였다. 전 재산을 아들들에게 미리 준 것이 천추의 한이 된다고 하였다.

   그 돈만 있으면 두 부부가 헤어지지 않고 양로호텔 (실버타운) 생활을 할 수 있었을 텐데…. 후회막심하다고 했다. 평소 금슬이 좋았던 그는 부인과 떨어져 살아가는 것을 가장 가슴 아파했다. 큰아들 집 앞에 커다란 산이 있는데 그 산이 무너져내려 자신의 가슴을 덮치는 것 같다라며 눈물을 흘리곤 하였다. 부인이 생선회를 무척 좋아하는데 맹 노인이 문병 갈 때마다 광어회가 먹고 싶다고 부탁하는데 주 정부에서 한 달에 약 1,000달러 정도 생활보조금을 받는 맹 노인으로서는 그 청을 들어줄 수 없는 형편이었다.

   일주일에 한 번씩 면회하러 가는 데 왕복 택시비로 한 달이면 400달러를 써야 하고 운이 좋아 입주하게 된 노인 아파트 경비를 쓰고 나면 그럴만한 여윳돈이 없었다. 자식들은 일 년에 한 번 크리스마스 시즌 때 마지못해 어머니를 찾아오는데 빈손으로 왔다 간다고 한다. 나하고 친분이 있는 큰아들을 내가 설득해 보겠다고 하면 그는 펄쩍 뛰며 가정사를 남에게 말했다고 자신이 더 큰 곤란을 겪게 된다며 극구 만류했다.

   결국, 양로병원에 5년 넘게 입원해 있던 부인은 펜데믹 기간 동안 운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는 구십이 넘는 맹 노인이 삼 형제의 바람대로 양로병원 신세를 지게 되었다. 부모를 봉양하는 일이라면 자식이  의논해서 올바른 해법을 찾는 것이 타당한 일인데, 자식된 도리를 하지 못하고 

"나 몰라라 " 하는 이기적인 사고가 안타깝기만 했다.

   몇 년 전에 리서치 조사 기관에서 서울대 학부생에게 부모님이 몇 살까지 살기 원하느냐? 라는 질의에 응답자 86%가 63세라고 답했다고 한다. 부모는 논 팔고 소 팔아 자식을 대학 교육시키고 있건만, 자식의 바람은 부모가 재산을 물려주고 빨리 죽었으면 좋겠다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부모가 자식에게 해 준 것 1/10만 자식이 부모에게 하면 효자 소리를 듣는다는데……. 어떤 불효자라 하더라도 부모님 사후에는 자신이 했던 행동을 가슴 치며 후회하게 된다고 한다.

   부모님 살아 계실 때 잘하고,  돌아가시고 나서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부모부양이 문제가 된 이 시대. 재산을 미리 주지 않았다면 자식들이 그렇게 부모를 대우했을까?

   요즈음은 부모세대도 많이 변하고 있는 것 같다. 한국에서는 지금 ‘쓰죽회’란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단다.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말고‘다 쓰고 죽자’라는 모임이다.

   노인 문제 전문가들은 재산을 미리 물려주지 않아도 사후에는 자식들이 자동적으로 갖게 되니 절대로 미리 물려주지 말고 비오는 날을 대비하여 우산을 준비해 두라고 조언한다.

 

소속 : 재미수필 문학가협회 회원

leejiny0721@gmail.com

 

노인 뒷모습.jpg

 

 

  1. No Image

    “99%, 폐암입니다” -수필가 이진용 -

    내가 60대 중반이었던 2018년 8월 중순경이었다. 그때 나는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제대로 안 되었다. 직감적으로 내 몸에 이상이 있음을 느꼈다. 코리아타운에 있는 호흡기 전문의인 주치의를 찾아가 증세를 설명하고 CT 촬영을 할 수 있게 리퍼(refer) 해 ...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2. No Image

    태평양 예찬론 -이진용-

    나는 태평양을 좋아한다. 우리 한국인에게는‘은혜의 바다’이기 때문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이 하와이 진주만 미 해군 태평양 함대를 기습 공격하여 시작된 태평양 전쟁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으로서 종료된다. 미국의 핵폭탄 ...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지금, 나도 가고 너도 간다’ -수필가 이진용 -

    한국의 자살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42개국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자살 사망자의 80% 정도는 정신질환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그중에서 90%가 우울증의 결과로 추산된다니 인격장애가 자살 요인의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에서 인격장...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4. No Image

    ‘김샜다’ -수필가 이진용-

    내 외동딸 라영이는 1982년 5월생이다. 나는 8남매, 아내는 6남매의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기에 우리는 한 명만 낳아서 잘 기르기로 이미 결혼 전에 약속한 터였다. 아내가 출산 기미가 있어 화곡동 단골 산부인과에 입원했다. 나는 퇴근 후 곧장 병원으로 갔...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5. 맹노인의 눈물 -수필가 이진용-

    효도 효(孝)자는 자식이 노인을 업고 있는 형상이다. 孝자를 접할 때마다 이웃집에 살던 맹노인이 떠올라 가슴이 아파진다. 그는 1980년대 초 여동생의 초청으로 미국에 이민오게 되었다. 그에게는 아들만 삼 형제가 있는데 큰아들은 중학교 2년생, 두 아들은...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그리운 그 때 그 시절 - 수필가이진용 -

    쉬는 날이라 늦은 아침을 먹고 Sanjose길을 따라 산책 했다. 십 분쯤 걸었을까? 좌측으로 초등학교가 나타났다. 운동장에서 재잘거리며 뛰어 노는 어린 학생들을 보니 무척 부러웠다.‘참 좋은 때 다. 나도 저런 때 가 있었는데…’ 나는 그 ...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7. 간접 살인 -수필가 이진용-

    내가 60대 후반의 안씨를 알게 된 것은 Care Center (양로 병원)에서였다. 나는 천주교 레지오 봉사활동 일환으로서 그곳을 일주일에 한번씩 방문하여 한국인 환자들을 찾아 다니며 기도와 함께 위문하는 것이 내 임무였다. 때로는 신부님이나 수녀님을 모시...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8. 오렌지 - 수필가 이진용 -

    제17회재미수필 문학가협회 공모 장려상 수상작 내가 오렌지를 처음 접한 것은 충청도에서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으니 지금부터 꼭 60년 전 일이다. 도로를 통행하는 자동차라곤 하루 종일 3~4대가 고작인 작은 시골 마을이었다. 그날도 동네 또래 너덧 명이 어...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