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매주 토요일 아침 6시면 <SBRT 마라톤> 회원들은 토런스에 있는 엘레티로(El Retiro) 공원에 모여 준비운동을 하고 레돈도비치 바닷가 옆으로 뛰며, 걸으며 10여년 넘게 운동을 하고 있다. 나는 이제는 나이가 많아 뛰지는 못하고, 굽이치는 바다 파도와 멀리 지평선을 바라보며 1시간 넘게 걷는 것이 토요일의 커다란 즐거움이 되고 있다.

  바닷가를 걸으며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데 오늘따라 남은 여생을“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가?”라는 생각이 머리 속에서 맴돈다. 우리는 앞으로 얼마나 살지는 아무도 모른다. 할 수 있는 것은“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나?”라는 명제다. 나이 든 사람이면 그 누구나 생각해 보는 과제일 것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그의 아들인 에두아르트(Eduard)에게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다. 균형을 유지하려면 계속 움직여야 한다.(Life is like riding a bicycle. To keep your balance, you must keep moving.)”  

  이처럼 삶에서 균형을 잃지 않고 계속 움직이기 위해서는 균형된 삶 (Balanced Life)을 살아야 한다고 한다. 균형된 삶이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외적인 삶과 내적인 삶을 잘 조화하는 삶이라고 심리학자들은 이야기한다.

  외적인 삶이란 자기의 목표와 가치관에 맞게 외부의 환경 및 사회적 요소, 즉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생활 속에서 경제적 성공, 사회적 인정, 물질적 안정 등 외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삶을 말한다.

  반면 내적인 삶이란 경험, 감정, 정서, 가치관 및 목표 등 개인의 내부적인 만족에 중점을 둔 삶을 말한다. 이러한 삶은 자아 발견, 정서적 안녕, 마음의 평화, 정신적인 성장 등과 관련이 있으며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자기계발, 스스로의 가치관 발견하는 등 내적인 성장과 개발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삶을 말한다.

  젊은 사람들과는 달리 나이 든 사람에게는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를 가지고 어떠한 삶을 보내야 좋은지 생각해 볼 과제다. 우리는 각자 본인에 맞게 가치관과 우선순위를 가지며 그에 따라 삶을 설계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긍정적인 생각과 사회생활을 즐기며,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내적 발전과 자기가 원하는 일에 몰입하는 것이 남은 여생을 잘 보내는 행복의 열쇠라고 생각된다.

  자기의 가족, 친구, 개인적 발전 및 취미, 건강 등의 다양한 영역 속에서 각기 균형과 조화가 이루어지는 삶을 영위함으로써 우리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행복하게 영위한다고 볼 수 있다. 바쁘고 때로는 힘든 이곳 생활 속에서, 자신을 찾고 또한 자신을 위한 시간을 만들기 위해, 취미활동 한다는 것은 우리 삶에 커다란 만족을 줄 것이다.

  오늘따라“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 삶”에 대해 생각하면서 바닷가를 걷고 있는지도 한 시간이 지나고 있다. 

  문득 얼마 전에 읽은 문구들이 생각난다.

 

  인생은 노트북과 같습니다.

  하느님은 이미 두 페이지를 기록하셨습니다.

  첫 번째 페이지는 출생,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는 죽음입니다.

 

  가운데 페이지가 비어 있습니다.

  그러니 미소와 사랑으로 채우십시오.

 

  Life is like a Notebook.

  Two pages are already written by God.

  The first page is Birth. The last page is Death.

 

  The center pages are empty.

  So, fill them with Smile and Love.

 

  삶을 다하는 날까지 노트북의 비어 있는 공간에 웃음과 사랑을 가지고 아름다운 삶을 채우고 싶다. <*>

 
 
   <글쓴이 소개>
  이명렬 작가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상업은행 본점에서 근무하다 1970년대 미국으로 유학 와 보잉사에서 37년 근무 후 은퇴했다. 산문집 <태평양 건너 언덕 위에서>를 발간했다. 

  1. No Image

    [생활수필] 코로나 단상 - 서동성<변호사>

    매일 아침 새로운 Good Morning과 더불어 보내신 부활절 카드 감사히 받았습니다. 우리 교인들에게 가장 성스러운 부활절을 여기서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예배처소에서 맞이하지 못하고 집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좁은 공간에서 영상으로 다른 교우들 없이...
    Date2020.04.24 ByValley_News
    Read More
  2. 빨간 코트 -김 영강 소설가-

    아주 오래전이었다. 서울에 사는 손위 시누가 이곳을 방문해, 남편과 함께 백화점에 갔었다. 삼층으로 막 들어서는데 코트 하나가 유난히 눈에 띄었다. 늘씬한 마네킹이 입고 있는 빨간 코트였다. 그녀도 시선이 끌렸는지 얼른 다가가서는 손으로 코트 자락을...
    Date2020.04.09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안다는 것은? - 곽설리 소설가

    오전이면 습관처럼 전화를 하곤 했다. 그날도 평소대로 그녀에게 전화를 했다. 이상하게도 전화가 더 이상 연결이 되지 않았다. 머릿속이 하얘지며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그녀가 전화를 바꾸었거나,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버린 게 분명했다. 더 이상 그녀...
    Date2020.02.22 ByValley_News
    Read More
  4. No Image

    산책길의 풍경- 윤금숙 소설가, 포터랜치 거주

    사계절 중에 봄을 가장 좋아하는 나는 이월로 접어들자 가슴이 설레기 시작했다. 지난번에 비도 며칠 왔으니 이제 산책로에도 이름 모를 야생화가 필 것이며, 나무들도 더 싱싱해지겠지… 우리 동네에는 요샛말로‘백만 불짜리 산책로’가 있...
    Date2020.01.27 ByValley_News
    Read More
  5. No Image

    「나무는 꿈꾸네」 - 조 옥 동 문학평론가, 시인

    며칠 전 아주 아담한 시집「나무는 꿈꾸네」를 받았다. 장소현 시인의 7번째 시집으로 겉표지엔 그의 부인 김인경 사진가의 작품, 나무로 장정(裝幀)되어 무게가 실려 있다. 이 시집에는 나무에 관한 생각을 담은 시, 이야기 시 등 몇 년 전 세상 떠난 동생을...
    Date2019.06.13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그리움 - 고성민 베스트 부동산 에이전트

    미국 생활을 시작하면서 나에겐 조국을 떠나 쉽지 않은 이민생활에 동고동락하면서 같이 지낸 형님이 있었습니다. 집안 내력이 있어 건강에 특별히 신경 쓰시던 형님이 2년 전에 모든 것을 뒤로하시고 돌아가셨습니다. 항상 건강하셨었기에 상상도 못 한 일이...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7. No Image

    5월은 가정의 달, 사랑과 감사의 달-조옥동(문학평론가, 시인)

    봄이 떠난 자리에 초여름이 펼쳐 있다. 우리의 마음은 마치 온 집안을 꽉 채웠던 초대 손님들이 다 떠났어도 잔치마당의 흥겨움이 여전히 남은 듯 모처럼 가뭄을 이긴 남가주 땅, 동서남북으로 산과 들을 풍성하게 장식했던 수퍼볼룸, 꽃잔치의 화려함을 쉽게...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8. No Image

    4월의 푸른 하늘, 푸른 들을 바라보며-조옥동 문학평론가, 시인

    어김없이 찾아 온 4월은 꽃길을 열고 푸른빛을 펼치고 있다. 4계절의 모습이 분명치 않은 남가주에 겨울부터 비가 많이 내려 7년 만에 가뭄을 완전히 벗어났다. 밸리 북쪽 랭캐스터의 앤틸롭 파피꽃 단지를 비롯 수퍼볼룸의 장관을 이루고 사방으로 달리는 프...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9. No Image

    100년 전 삼일절, 그날의 절절한 외침을 기억하며...

    100년 전 삼일절, 그날의 절절한 외침을 기억하며... 3월입니다. 봄이 성큼 다가왔다는 기쁨도 잠시, 3월의 첫날은 3· 1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삼일절인 만큼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할 때이기도 합니다. 1919년 3월 1일,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그날, 대한 ...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