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의 자살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42개국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자살 사망자의 80% 정도는 정신질환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그중에서 90%가 우울증의 결과로 추산된다니 인격장애가 자살 요인의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에서 인격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많지만, 정확한 상황 파악이나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예방이나 치료도 매우 허술해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정신과 의사가 주장하는 것을 TV에서 본 적이 있다.

   빈민구호단체‘엠마우스’ 창시자 아베 삐에르 신부님이 쓴 <단순한 기쁨>이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다.

   어느 중년 남자가 신부님을 찾아와 꼬일대로 꼬인 가정사와 금전 문제 등 괴로운 상황으로 인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하였다. 신부님은 그의 이야기를 다 듣고 나서 깊은 동정과 함께 이렇게 말했다.

   “자살할 이유가 충분히 있습니다. 일이 그렇게 되었으면 살 수가 없지요. 자살해야 하겠습니다”라고 말하고“그렇지만 죽기 전에 나를 좀 도와주고 죽으면 안 되겠소?” 물었다. 그는“뭐, 어차피 죽을 건데 제가 필요하다면 당분간 신부님을 돕도록 하지요”라고 수락하였다. 그리고 홈리스와 불쌍한 사람들이 거처할 수 있는 집을 짓는 그 신부님이 하는 일을 옆에서 돕게 되었다. 

   얼마 후 그는 신부님께서 자신에게 돈을 주었다든지 자신이 살 수 있는 집을 지어 주는 등 자선을 베풀었다면 자신은 자살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신부님은 자신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고 오히려 도움을 요청했다. 그래서 신부님과 같이 일을 하고 불우한 사람들을 도와주면서 이제 살아야 되겠다는 이유를 충분히 찾았고 이제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인지 알게 되었다며 자살을 포기하였다고 한다.

   그는 자신도 이 세상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내가 중학생이었을 때 교장 선생님께서 전교생이 모인 조회 시간 중 “이 세상에는 꼭 있어야 될 사람, 있으나 마나 한 사람, 있어서는 안 될 사람 등 3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 여러분은 이 세상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 되라”고 당부하셨다. 그래서 교훈도‘쓸모 있는 일꾼이 되자’였다. 그렇다. 우리는 쓸모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의사이자 선배 작가로부터 “당신은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니 글을 쓰는 수필가가 되어 보라”는 권유를 받고 며칠을 고민하다가‘내가 쓴 글이 한 사람이라도 교화시킬 수 있다면 그 길을 택하리라’ 마음먹고 글을 쓰기 시작하여 수필가의 길을 가고 있다.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어찌 좋은 일만 있겠는가? 때때로 괴롭고 힘든 역경이 닥쳐오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그 고통과 괴로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현실을 도피하고자 스스로 죽음을 택하기도 하는데 자살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절대 아니다.

   십계명에도‘살인 하지 말라’는 율법이 있다. 자살은 자기 자신을 죽이는 것이니 엄밀히 따지면 살인이고 죄악인 것이다. 인생에 아픔과 상처가 닥쳐오더라도 참고 견디며 그 고통과 괴로움을 힘과 용기로 버텨 보자.

   내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평생 가슴 아파하며 살아 갈 사람들도 있음을 명심하고 그들도 배려해 주어야 한다. 고난을 극복하는 길은 그 좌절감을 떨쳐 버리고 자신에게‘절망은 없다’고 되새기며‘이 세상에서 무엇을 받을까 바라기보다는 무엇을 베풀까?’라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간다면 자살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창피스럽게 여기거나 부끄러워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가 상담하여 조언을 구하고 치료 받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굳이, 스스로 목숨을 끊지 않더라도 태어나서 살다가 죽는 인생길을 ‘지금, 나도 가고 너도 간다’ 

   가는 세월, 그 누가 막을 수 있으랴?<*>


  1. No Image

    “99%, 폐암입니다” -수필가 이진용 -

    내가 60대 중반이었던 2018년 8월 중순경이었다. 그때 나는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제대로 안 되었다. 직감적으로 내 몸에 이상이 있음을 느꼈다. 코리아타운에 있는 호흡기 전문의인 주치의를 찾아가 증세를 설명하고 CT 촬영을 할 수 있게 리퍼(refer) 해 ...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2. No Image

    태평양 예찬론 -이진용-

    나는 태평양을 좋아한다. 우리 한국인에게는‘은혜의 바다’이기 때문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이 하와이 진주만 미 해군 태평양 함대를 기습 공격하여 시작된 태평양 전쟁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으로서 종료된다. 미국의 핵폭탄 ...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지금, 나도 가고 너도 간다’ -수필가 이진용 -

    한국의 자살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42개국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자살 사망자의 80% 정도는 정신질환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그중에서 90%가 우울증의 결과로 추산된다니 인격장애가 자살 요인의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에서 인격장...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4. No Image

    ‘김샜다’ -수필가 이진용-

    내 외동딸 라영이는 1982년 5월생이다. 나는 8남매, 아내는 6남매의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기에 우리는 한 명만 낳아서 잘 기르기로 이미 결혼 전에 약속한 터였다. 아내가 출산 기미가 있어 화곡동 단골 산부인과에 입원했다. 나는 퇴근 후 곧장 병원으로 갔...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5. 맹노인의 눈물 -수필가 이진용-

    효도 효(孝)자는 자식이 노인을 업고 있는 형상이다. 孝자를 접할 때마다 이웃집에 살던 맹노인이 떠올라 가슴이 아파진다. 그는 1980년대 초 여동생의 초청으로 미국에 이민오게 되었다. 그에게는 아들만 삼 형제가 있는데 큰아들은 중학교 2년생, 두 아들은...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그리운 그 때 그 시절 - 수필가이진용 -

    쉬는 날이라 늦은 아침을 먹고 Sanjose길을 따라 산책 했다. 십 분쯤 걸었을까? 좌측으로 초등학교가 나타났다. 운동장에서 재잘거리며 뛰어 노는 어린 학생들을 보니 무척 부러웠다.‘참 좋은 때 다. 나도 저런 때 가 있었는데…’ 나는 그 ...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7. 간접 살인 -수필가 이진용-

    내가 60대 후반의 안씨를 알게 된 것은 Care Center (양로 병원)에서였다. 나는 천주교 레지오 봉사활동 일환으로서 그곳을 일주일에 한번씩 방문하여 한국인 환자들을 찾아 다니며 기도와 함께 위문하는 것이 내 임무였다. 때로는 신부님이나 수녀님을 모시...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8. 오렌지 - 수필가 이진용 -

    제17회재미수필 문학가협회 공모 장려상 수상작 내가 오렌지를 처음 접한 것은 충청도에서 초등학교에 다닐 때였으니 지금부터 꼭 60년 전 일이다. 도로를 통행하는 자동차라곤 하루 종일 3~4대가 고작인 작은 시골 마을이었다. 그날도 동네 또래 너덧 명이 어...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