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잡곡밥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음식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과도한 잡곡밥의 섭취는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올바른 잡곡밥 섭취와 함께 섭취에 주의해야 할 사람을 알아본다.

   ◇식이섬유 풍부해

   잡곡밥은 흰쌀밥보다 건강에 더 좋다.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가 2~3배 이상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서울대의대 연구팀에 따르면 흰 쌀밥을 많이 먹고 잡곡밥을 적게 먹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35% 더 높았고, 흰 쌀밥 식이 패턴이 잦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정제된 흰 쌀보다 통곡물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식이섬유 과다섭취 주의해야

   잡곡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으면 식이섬유를 과도하게 먹을 위험이 있다. 식이섬유는 잡곡 100g당 평균 5~8g 들어있는데, 잡곡의 비중이 너무 높으면 한 끼(평균 300g)에 15~20g의 식이섬유를 섭취하게 된다. 하루 권장량인 20~25g과 비슷한 수치다. 식이섬유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타민과 무기질 같은 미량 영양소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소화능력이 성인보다 떨어지는 어린이나 위장관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잡곡밥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잡곡밥을 먹으면 소화 속도가 더뎌지고, 소화 흡수율도 낮아져 위에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미를 섞으면 쌀의 가장 겉면인 과피층이 남아 있어 소화하기 어렵다. 그리고 잡곡밥에 풍부한 식이섬유가 소화되는 과정에서 생긴 수소, 탄산가스가 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 역시 오히려 흰 쌀밥을 먹는 게 낫다. 이들은 보리 등 잡곡에 풍부한 인 성분이 잘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신장에서 인이 잘 배출되지 않는 경우, 가려움증이나 관절통이 생기며 뼈가 약해질 수 있어 흰 쌀밥을 먹되 섭취량을 줄이는 방식을 택하는 게 좋다.

   ◇다섯 종류 이내로만

   잡곡밥은 다섯 가지 곡물을 넣어 조리하는 게 가장 좋다. 너무 많은 종류의 잡곡을 넣어 밥을 하면 오히려 영양 효과가 떨어지고 소화가 잘 안될 수 있다. 실제 한국우석대 연구팀이 5곡, 8곡, 16곡, 17곡, 20곡, 25곡의 혼합 잡곡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5곡의 단백질, 무기질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효과가 가장 우수했다.

   백미를 과도하게 줄이지 않는 것도 좋다. 잡곡과 흰쌀의 비율은 4대 6~3대 7 정도면 적당하다. 만약 잡곡밥을 섭취한 후 아이가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면 섭취를 중단하고 다른 곡식으로 대체하거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다. 잡곡밥이 소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잡곡밥.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31 이 음식, 탈모 유발하고, 남성은 성욕 감퇴까지 Valley_News 2025.03.31
230 고기에 무심코 뿌려먹는다는 "후추" 사실 건강에 치명적이다 file Valley_News 2025.03.31
» 좋다고 해서 먹었는데, 신장 망가지고 소화불량까지 file Valley_News 2025.03.31
228 냉동실에서 꺼낸 고기, 전자레인지에 돌리면‘세균 폭탄’ Valley_News 2025.03.04
227 암 위험 낮추는 식이섬유, 함량 높은 채소는 따로 있다? Valley_News 2025.03.04
226 아침에 양배추-브로콜리 꾸준히 먹었더니 몸에 변화가... file Valley_News 2025.03.04
225 봄철 환절기 건강관리법 Valley_News 2025.03.04
224 슬개골 탈구 -<브라이터 동물병원> 옥 창 민 원장- file Valley_News 2025.03.04
223 Platelet Rich Plasma(PRP) 시술 - 박해영 산부인과원장 - file Valley_News 2025.03.04
222 당뇨병 환자 45%, 몸에 꼭 필요한‘이 영양소’ 부족 Valley_News 2025.03.04
221 건조해진 피부, 피부 보습은 이렇게... file Valley_News 2025.01.31
220 다이어트 중 먹을 수 있는 디저트 식품 file Valley_News 2025.01.31
219 A형 독감 감염 억제, 따뜻한 꿀물의 효능 file Valley_News 2025.01.31
218 참기름과 들기름의 영양 차이는? file Valley_News 2025.01.31
217 독감 이기는 면역력 증진 식품 12가지 file Valley_News 2025.01.31
216 견과류‘이렇게’먹어야 좋다.? Valley_News 2024.12.31
215 세척하면 안 좋은 의외의 식품들 file Valley_News 2024.12.31
214 레스토랑 가더라도 살 덜 찌려면 식전 빵 꼭 이렇게 먹어야 file Valley_News 2024.12.01
213 추운 겨울, 고관절 지키는 필수 홈 트레이닝 4가지 file Valley_News 2024.12.01
212 내가 매일 피곤한 상태로 잠 깨는‘몰랐던’이유 Valley_News 2024.11.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