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08 16:11

여름철 시원한 국수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름철 시원한 국수                          

  박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수박국수.jpg

 우리나라는 사계가 뚜렷한 나라이다. 그리고 바뀌는 계절마다 자연을 통해 각기 다른 식재료를 구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계절에 따라 요리들이 많이 풍성하고 다양하게 발달되었다.  

   한반도의 땅이 남과 북으로 길게 이루어져 완연히 다른 기후의 영향으로 음식은 같은 음식인데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조리법으로 인해 맛과 식감이 다른 맛을 내고 있다.

   봄과 가을은 짧고 겨울과 여름은 길다. 특히 북쪽은 겨울이 길고 상당히 추은 관계로 추울 때 먹는 음식이 발달되었고 남쪽은 덥고 냉장시설이 없었던 때라 짜고 매운 음식이 발달되었다. 

   예부터 한 여름에는 국수로 만든 시원한 음식을 많이도 좋아했고 즐겨 먹었다. 국수는 3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인류와 함께한 음식이다. 

우리나라에는 송나라 때 중국으로 유학을 떠난 승려들에 의해 들어 온 것으로 본다. 밀가루가 귀한 우리나라에서는 메밀이 국수에 주재료였다. 남쪽에서는 주로 칼국수로 면을 만들었는데

북쪽에서는 눌려서 뽑는 착면법을 사용했다. 

   6.25 전쟁 후 실향민들에 의해 남쪽에도 전파되었다. 팔도국수를 보면 평양냉면, 함흥냉면, 강원도 막국수, 정선의 올챙이국수, 전라도 칼국수, 안동 건진국수, 부산 밀면, 진주 냉면, 제주 고기국수 등을 대표로 볼 수 있다.

   국수는 그렇게 면과 육수, 고명의 삼박자가 맞아야 맛있는 요리로 탄생한다. 그렇게 국수는 우리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함께한 힘든 시절, 서민들의 배를 채워준 고마운 음식이었다.

 

수박 국수 

▲ 재료 : 소면, 수박, 김치국물, 오이, 배, 김치, 식초, 설탕, 파, 마늘, 깨소금, 참기름

▲ 만들기 : 수박 가운데를 다 먹은 후 가장자리를 긁어서 믹서로 갈아 살짝 얼린다. 얼린 수박에 잘 익은 김치 국물, 식초 약간을 섞고 삶은 소면에 국물을 붓고 김치는 다져서 참기름, 파, 마늘, 깨소금으로 무친다. 오이 채, 배 채, 김치무침을 얹어 먹는다.

 

   명절음식, 파티음식, 각종모임, 교회모임, 결혼식, 생일음식, 폐백, 이바지음식, 선물용 한과, 떡케익, 전통떡, 주문받습니다.

   문의는 (818)709-7626, (818) 620-5118(Cell)


  1. 여름 음식 (콩국수)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여름... 덥다, 땀을 많이 흘린다, 몸이 약해진다. 우리나라는 옛 부터 여름나기란 말이 있다. 여름을 건강히 잘 보내야 가을 겨울을 무탈하게 지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삼복에 더위를 먹어 건강을 해치면 한해를 보내기가 힘이 든다. 그래서 복날에는 여러 가...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2. 여름철 시원한 국수

    여름철 시원한 국수 박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나라는 사계가 뚜렷한 나라이다. 그리고 바뀌는 계절마다 자연을 통해 각기 다른 식재료를 구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계절에 따라 요리들이 많이 풍성하고 다양하게 발달되었다. 한반도의 ...
    Date2018.09.08 ByValley_News
    Read More
  3. 엿-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 천년의 역사와 함께해온 엿! 고려 시대 전부터 엿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엿은 엿기름과 지역 특산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팔도의 특색 있는 지방색을 나타내고 있다. 예로부터 주전부리나 설탕이 귀한 우리나라는 단맛을 엿으로 만들어 설탕 대용으...
    Date2020.01.27 ByValley_News
    Read More
  4. 잔치음식 (돼지수육)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인륜지 대사, 관 ㅡ혼 ㅡ상 ㅡ제”를 뜻한다. 우리가 살면서 치르는 대사 중 하나로 혼인잔치가 첫 번째다. 어릴 적 동네가 시끄러운 잔치는 혼례. 환갑. 돌잔치 등이었다. 그리고 잔치는 아니지만 상을 당했을 때도 천막이 쳐지고 음식이 잔치 집처럼 만...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5. 잔칫날

    잔칫날 박정희 <앞치마쿠킹클래스> 요리 연구가 우리 민족은 집안의 대소사가 많은 민족 중 하나이다. 큰 잔치 중에서도 으뜸이 시집가는 날.... 청사초롱 밝히는 혼례라 할 수 있겠다. 예로부터 얼마나 크게 여겼으면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 했다. 그리고 ...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6. 진 달 래 (진달래 화전)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어린 시절 봄이 되면 제일 먼저 피었던 꽃, 진달래. 학교 가는 길, 예배당 가는 길. 아빠 따라 들에 가는 길. 봄이면 어디서든 말라 비틀어진 앙상한 가지사이로 연산홍 꽃이 피어난다. 그 빛이 곱디곱다. 은은한 연분홍색이 왠지 어머니의 미소가 숨어 있는 ...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7. 진달래화전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어린 시절 봄이 되면 제일 먼저 피었던 꽃, 진달래. 학교 가는 길, 예배당 가는 길. 아빠 따라 들에 가는 길. 봄이면 어디서든 말라 비틀어진 앙상한 가지사이로 연산홍 꽃이 피어난다. 그 빛이 곱디곱다. 은은한 연분홍색이 왠지 어머니의 미소가 숨어 있는 ...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8. 한국 가을 음식과 미국 Southern 음식

    한국 가을 음식과 미국 Southern 음식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나는 지금 미중동부 여행 중이다. 이곳은 그 옛날 흑인 아줌마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이 주를 이룬다. 부엌의 주인이었던 그들은 이곳 음식과 그들의 음식을 복합시켜 아...
    Date2018.11.02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