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장 난 해독공장 바꿔라, 

간이식 수술 각광

간암 재발 줄이고 간경화 동시 치료 ‘일석이조’ 효과

 
간암, 간경화로 인한 간부전 등 말기 간질환자에게 간이식은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다. 간암 부위를 잘라내는 간절제술보다 완치율이 높고 재발률이 낮아서다.     
   이광웅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교수는“간암 환자가 병든 간 전체를 제거하고 건강한 간을 이식받으면 간암을 일으킨 직접적 원인의 90%가량을 차지하는 간경화도 동시에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간암 환자 대부분은 B형간염(72%), C형간염(12%), 알코올성 간염(9%)의 만성화·악화에 따른 간경화를 동반한다. 그래서 간암 부위만 제거할 경우 50~60%가 재발해 간경화에 따른 간부전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말기 간질환의 원인으로는 만성 B형·C형간염, 자가면역성, 약물, 알코올성 간염 등이 꼽힌다. 지방간, 월슨병, 선천성 담도폐쇄증을 포함한 담도계 질환, 간정맥폐쇄 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간암에 많이 걸리는 이유는 백신 접종 혜택을 받지 못한 국내 중장년층 이상에서 B형간염 환자가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 적절한 진단·치료를 받지 않으면 간암 발생위험이 30~200배까지 높아진다 
   간이식은 뇌사자나 건강한 가족 등의 간을 떼내 환자에게 이식하는 수술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복잡한 혈관들을 연결해야 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말기 간질환자의 경우 복수(腹水)가 차있고 간에서 만들어지는 혈액응고인자 부족 등으로 인해 출혈도 많다. 
   그래서 1990년대 초반만 해도 간이식을 받은 간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이 30∼40%에 머물렀지만 지금은 3년 생존율 90%, 5년 생존율 80% 이상으로 상승했다. 세계 최고 수준이다.
   다만 지속적인 알코올중독, 약물남용, 심한 심폐질환이나 폐동맥 고혈압이 있는 환자, 활동성 감염자, 간 이외에도 암이 있는 환자, 면역억제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는 간이식을 받을 수 없다.
   간암은 초기·중기까지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따라서 B형·C형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와 환자,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화 환자 등 고위험군은 6개월에 한 번씩 초음파검사를 받는 등 정기적으로 경과관찰을 받는 게 좋다. 
   우리나라는 장기이식을 서약한 뇌사자가 적은 편이어서 건강한 가족 등의 간을 이식받는‘생체 간이식’이 발달했다. 간 공여자인 가족 등으로부터 간 일부를 떼어낼 때 합병증과 수술로 인한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복수술 대신 복강경 수술을 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0.5~1.5㎝ 크기 구멍을 4~5개 또는 배꼽 부위에 1∼2㎝ 정도의 구멍 1개를 뜷고 수술기구 등을 넣어 간을 떼어낸 뒤 배꼽 아래 피부를 작게 절개해 꺼낸다. 개복수술에 비해 통증이 훨씬 적고 회복이 빠르며 상처·흉터·후유증도 적다. 생체 간이식 수술의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2%를 밑돈다.
     간이식 수술을 받았다고 모든 게 해결되는 건 아니다. 우선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면역억제제 복용은 위장암·대장암 등 다른 암 발생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간 초음파, 위장·대장내시경 검사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술을 많이 마셔 간경화·간암에 걸린 뒤 건강한 간을 이식받아 건강을 되찾았더라도 술을 멀리 해야 한다.<*> 

  1. 29Dec
    by Valley_News
    2023/12/29 by Valley_News

    팥죽… 다이어트에도 도움된다고?

  2. 29Jan
    by Valley_News
    2024/01/29 by Valley_News

    매일 아침 빈속에 '카페인 수혈'하는 사람들… 괜찮은 걸까?

  3. 29Apr
    by Valley_News
    2022/04/29 by Valley_News

    나도 모르게 '암' 위험 높이는 습관 4가지

  4. 05Oct
    by Valley_News
    2021/10/05 by Valley_News

    가을 환절기 가려움증에 좋은 음료

  5. 06Jan
    by Valley_News
    2022/01/06 by Valley_News

    주름 만드는 나쁜 습관 3가지

  6. No Image 04Feb
    by Valley_News
    2019/02/04 by Valley_News

    시끄러운 소음에 많이 노출될수록 심뇌혈관질환 위험 높아진다

  7. 31Mar
    by Valley_News
    2022/03/31 by Valley_News

    운동하는 여성‘가장 행복’다른 행복감 충전 방법 5

  8. 29Apr
    by Valley_News
    2022/04/29 by Valley_News

    칼로리만 줄이면 무조건 체중 감소?

  9. No Image 28Jul
    by Valley_News
    2023/07/28 by Valley_News

    고혈압 환자, 운동 후엔 '이것'하면 혈압 더 낮춰

  10. 31Oct
    by Valley_News
    2022/10/31 by Valley_News

    가을 타는 당신을 위해 계절성 우울증 대처법

  11. 26Feb
    by Valley_News
    2023/02/26 by Valley_News

    냉장고, 찬장에서 당장 버릴 것과  먹어도 좋은 것

  12. 26Aug
    by Valley_News
    2021/08/26 by Valley_News

    중년들이 먹는 깻잎, 고추

  13. 26Feb
    by Valley_News
    2023/02/26 by Valley_News

    아침식사, 줄여야 할 음식 vs 건강에 좋은 음식

  14. No Image 02Nov
    by Valley_News
    2018/11/02 by Valley_News

    치아 건강 상식 6가지

  15. No Image 31Oct
    by Valley_News
    2020/10/31 by Valley_News

    코로나19 시대 집에서 운동할 때 가장 쉽게 저지르는 15가지 실수

  16. 04Feb
    by Valley_News
    2019/02/04 by Valley_News

    저염식이‘필요한’ 사람 vs 저염식이‘위험한’ 사람

  17. No Image 29Jun
    by Valley_News
    2023/06/29 by Valley_News

    일단 끊으면 몸에 생기는 변화 총정리!!

  18.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발꿈치 각질 관리 이렇게 하세요

  19. No Image 23Nov
    by Valley_News
    2019/11/23 by Valley_News

    심혈관질환 의심 증상 5가지 감기 아닌데도 기침?

  20. No Image 02Oct
    by Valley_News
    2020/10/02 by Valley_News

    나도 모르게 탈모를 유발하는 나쁜 생활습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