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 가을 음식과 

미국 Southern 음식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나는 지금 미중동부 여행 중이다. 이곳은 그 옛날 흑인 아줌마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이 주를 이룬다. 부엌의 주인이었던 그들은 이곳 음식과 그들의 음식을 복합시켜 아주 유익한 음식을 만들어낸 것이 지금의 미국 남부 음식의 주를 이른다.

   하와이의 농장 일꾼들이 여러 재료를 혼합해 먹던 음식이 지금의 하와이 대표음식이 된 것처럼 이곳도 많이 비슷하다

   나는 이곳에서 우리의 가을 들녘을 비교해 보았다. 그들도 어려운 환경에 들에서 산에서 먹거리를 구하고 감히 먹을수도 없었던 꿀 대신 Sorghum이라는 사탕수수에서 꿀을 만들어 지금까지 유명한 소스로 사용하고 있다. 주인들의 음식을 만들고 남은 재료에 그들의 음식을 힘들게 만들어 먹었으리라.

   일제 강점기 시절을 겪은 우리 엄마는 늘 말씀하셨다. 곡식을 모두 빼앗겨 나물, 우거지, 묵,감자... 그런 것으로 끼니를 때우는 날이 허다했다 한다. 우리나라에서 그들이 행한 일들은 결코 잊지 못할 설음과 내 땅에서 내 것을 빼앗기는 통탄할 아픔을 겪어야했던 우리들....  

그러나 모든 것을 이겨내고 이제는 세계를 주름잡는 나라로 거듭나고 있는  우라니라가  너무도 자랑스럽다.

   음식을 보면 돼지고기 음식이 많고 질긴 야채를 우리 우거지 하듯이 돼지고기기름으로 푹푹 익혀서 만든 것과 감자에 여러 가지 섞어서 먹는 것 그리고 버려진 사탕수수대로 꿀도 만들고 쓸 수 없어서 버려진 재료에서 그들은 기막힌 먹거리를 만들어 지금의 미국의 대표적인 남부 음식으로 한 획을 그었다.<*>    

 

옛날 흑인아줌마들에 의해 탄생한 요리 

Collard Greens 

 

앞치마.jpg

▲ 재료 : 

칼러그린 1단, 양파 1개, 돼지고기(기름있는 것) 1파운드, 고춧가루 조금, 마늘 조금, 된장 1숟갈

 

▲ 만들기 :

먼저 냄비에 기름을 조금 두르고 양파를 넣는다.

조금 볶다가 칼러그린을 먹기 좋게 썰어 넣고 아무 육수나

자작하게 넣고 고기도 잘게 썰어 넣고 마늘. 고춧가루, 된장을 모두 넣고 중불에 30분 푹 익힌다. 간은 간장을 조금 넣어서 맞춘다.

 

 

각종 파티음식, 각종모임, 교회모임, 결혼식, 생일음식, 선물용 한과, 

떡케익, 전통떡 주문받습니다.

 문의는 (818) 709-7626, (818) 620-5118(Cell)

 

 


  1. 설날. 설 음식

    설날. 설 음식 박정희 <앞치마 쿠킹클래스> 요리연구가 설, 우리의 최고의 명절이다. 우리는 음력 1일부터 대보름 15일까지를 정초라 한다. 그믐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못 자게하고, 자면 눈썹에 밀가루를 발라놓고 아침에 일어나 대성통곡을 한 ...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2. 면역을 키워주는 양파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요즘은 코로나로 인해 주위 사람들이 면역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우리 몸의 면역력에 좋은 식재료들 중에 우리가 흔하게 먹는 양파가 면역력에 큰 도움이 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양파를 음식 재료로 사용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우리 식단에 음식 재...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3. 잔치음식 (돼지수육)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인륜지 대사, 관 ㅡ혼 ㅡ상 ㅡ제”를 뜻한다. 우리가 살면서 치르는 대사 중 하나로 혼인잔치가 첫 번째다. 어릴 적 동네가 시끄러운 잔치는 혼례. 환갑. 돌잔치 등이었다. 그리고 잔치는 아니지만 상을 당했을 때도 천막이 쳐지고 음식이 잔치 집처럼 만...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4. 진 달 래 (진달래 화전)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어린 시절 봄이 되면 제일 먼저 피었던 꽃, 진달래. 학교 가는 길, 예배당 가는 길. 아빠 따라 들에 가는 길. 봄이면 어디서든 말라 비틀어진 앙상한 가지사이로 연산홍 꽃이 피어난다. 그 빛이 곱디곱다. 은은한 연분홍색이 왠지 어머니의 미소가 숨어 있는 ...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5. 들나물, 산나물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나물하면 김치와 함께 우리밥상에 빠지지 않는 반찬이다. 나물은 들에서 나는 들나물과 산에서 나는 산나물 둘로 나눌 수 있다. 봄이 오면 먼저 나오는 것이 들나물이다. 산은 들나물이 나오면서 싹이 트기 시작한다. 밭에는 겨울을 그대로 견뎌 낸 시금치, ...
    Date2020.02.22 ByValley_News
    Read More
  6. 양파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동서양을 세계 어느 곳을 막론하고 양파를 음식 식재료로 사용하지 않는 곳은 없다. 양파는 모든 요리의 기본 재료로 제일 친근하면서도 흔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산지는 서남아시아 지중해이며, 유럽에서 재배를 시작한 지는 1000년 된 것으로 알려...
    Date2019.09.06 ByValley_News
    Read More
  7. 꽃게의 계절

    꽃게의 계절 박정희 <앞치마 쿠킹클래스> 요리연구가 우리나라에서는 꽃게의 제철을 5~6월, 10~11월로 분류하지만 거의 1년 내내 게를 먹을 수 있다. 게는 종류에 따라 바다, 갯벌, 강 하류, 민물, 논 등에서 서식한다. 식용이 가능하지 않은 땅이나 장소에서 ...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8. 엿-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 천년의 역사와 함께해온 엿! 고려 시대 전부터 엿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엿은 엿기름과 지역 특산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팔도의 특색 있는 지방색을 나타내고 있다. 예로부터 주전부리나 설탕이 귀한 우리나라는 단맛을 엿으로 만들어 설탕 대용으...
    Date2020.01.27 ByValley_News
    Read More
  9. 몸에 약이 되는 우리밥상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요즘 저에게 많은 질문을 해 온다. "어떤 음식을 먹어야 면역을 키울 수 있을 까요?" 우리 몸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답이다. 편식하는 습관으로 인해 영양분이 섭취되지 못하면 그 영양분이 필요한 곳이 약해진다. 우리나라는 산과 들...
    Date2020.04.24 ByValley_News
    Read More
  10. Pumpkin pie

    10, 11월 이곳은 온 세상이 Pumpkin으로 주황 물결이 된다. 이쁘기도 하고 못생기고 희한하기도한 미국 호박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많이도 신기했었다. 우리가 본 호박은 반찬에 쓰는 애호박 또는 늙은 호박으로 우리가 자라면서 본 호박의 종류는 이것이 ...
    Date2019.10.24 ByValley_News
    Read More
  11. 한국 가을 음식과 미국 Southern 음식

    한국 가을 음식과 미국 Southern 음식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나는 지금 미중동부 여행 중이다. 이곳은 그 옛날 흑인 아줌마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오는 음식이 주를 이룬다. 부엌의 주인이었던 그들은 이곳 음식과 그들의 음식을 복합시켜 아...
    Date2018.11.02 ByValley_News
    Read More
  12. 진달래화전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어린 시절 봄이 되면 제일 먼저 피었던 꽃, 진달래. 학교 가는 길, 예배당 가는 길. 아빠 따라 들에 가는 길. 봄이면 어디서든 말라 비틀어진 앙상한 가지사이로 연산홍 꽃이 피어난다. 그 빛이 곱디곱다. 은은한 연분홍색이 왠지 어머니의 미소가 숨어 있는 ...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13. 꽃과 음식 (꽃 비빔밥)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나라는 사계가 뚜렷한 나라이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이곳 LA는 사계절이 뚜렷하지 않아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오고 가는 변화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겨우내 민둥산이 겨울비를 대지에 담아 봄이 되면 초록으로 바뀌고 노란 꽃이 진천에 흩날리고 ...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14. 김치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 민족을 음식으로 표현하라면 당연히 김치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태어나 입맛을 기억할 수 있을 때 즈음부터 우리는 김치를 기억한다. 어릴 적 밥을 먹을 때면 김치는 항상 밥상에 놓여 있었다. 그리고 추운 겨울이 오기 전에 엄청난 양의 배추로 김장...
    Date2019.11.23 ByValley_News
    Read More
  15. 시래기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시래기는 우리나라 소중한 식재료 중 하나이다. 설날이 지나고 대보름이 오면 우리나라 9가지 대보름 나물 중 꼭 들어가는 나물이 바로 시래기이다. 그리고 긴 우리의 역사와 눈물을 함께 한 시래기...왠지 가슴이 아려지는 이름이다. 백 년을 살고 가신 우리...
    Date2019.02.04 ByValley_News
    Read More
  16. 여름철 시원한 국수

    여름철 시원한 국수 박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나라는 사계가 뚜렷한 나라이다. 그리고 바뀌는 계절마다 자연을 통해 각기 다른 식재료를 구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계절에 따라 요리들이 많이 풍성하고 다양하게 발달되었다. 한반도의 ...
    Date2018.09.08 ByValley_News
    Read More
  17. 궁중 떡갈비 -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음력 8월 추석이 지나고 추수가 끝날 무렴 시집간 딸과 친정엄마가 양가집 중간에서 만나는 풍습을 반보기라 한다. 조선시대 엄격한 전통사회에서는 며느리의 외출은 생각조차 하기 힘든 일이였다. 때문에 한가위 명절의 풍요로움 덕으로 양가의 중간지점에서...
    Date2019.10.24 ByValley_News
    Read More
  18. 가을밥상

    가을밥상 박 정희 요리 연구가 <앞치마쿠킹클래스> 우리나라의 가을, 계절 자체가 밥상이다. 산. 들. 바다 어디를 가든지 지천에 놓인 식재료들은 엄마의 손에 들어오면 요술처럼 반찬으로 변해 상 위로 올라온다. 그리고... 참 맛나다. 분주한 가을 부엌을 들...
    Date2018.11.02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