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년층은 산행 시 사소한 충돌이나 넘어짐도 주의해야 한다. 가을을 만끽하려고 단풍놀이를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가을 산행 전 부상 위험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가을 산은 큰 일교차 탓에 등산로가 젖어 있는 경우가 많다. 미끄럼 사고나 낙상 등 부상이 생기기 쉽다. 실제 산림청에 따르면, 전체 산악 안전사고 중 32%가 가을(9~12월)에 발생했다. 가을철 산행에 특히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넘어진 후 허리통증 있다면 척추압박골절 의심
   ​산행 중 미끄러지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 낙상사고로 많이 생기는 질환 중 하나가 척추압박골절이다. ​외부 충격으로 척추뼈가 찌그러지거나 부서지듯 주저앉는 질환을 말한다. 골절 부위를 눌렀을 때 해당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다른 척추질환과 달리 다리로 내려오는 통증은 없으나 허리와 등 주변부에 특정한 부위에 통증이 느껴진다. 척추압박골절은 평소 골다공증이 있는 이들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 골밀도가 낮은 노년층이나 폐경기 이후 여성들은 산행시 사소한 충돌이나 넘어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골다공증 심하다면 치료받은 뒤 나서야
   척추압박골절은 골다공증이 환자에게 특히 잘 생긴다. 이를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이라고 한다.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은 60~70대에서 잘 생기는데, 발생한 줄도 모르고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참는 환자가 많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이 생기면 재골절률이 2~10배까지 증가하므로 최대한 골절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는 기침 후나 가벼운 낙상에도 위험할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과 치료 후 산행에 나선다.
   ◇통증 방치하지 말고 조기 진단받아야
   넘어져도 일시적인 단순 근육통이나 타박상으로 여기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통증이 가슴, 아랫배, 엉덩이까지 뻗어 나갈 수 있다. 골절 부위 이외의 척추도 약해져 연쇄적인 골절이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산행에서 넘어진 후, 허리·옆구리·엉덩이 쪽 통증이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즉시 병원에 가보자. 산행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산할 때는 걸음걸이를 넓게 하거나 뛰어서 빠르게 내려가는 등의 큰 움직임은 피하는 게 좋다. 산을 오르내릴 때 나뭇가지를 잡지 말고 등산 전용 지팡이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 No Image 24Oct
    by Valley_News
    2019/10/24 by Valley_News

    무릎관절염 치료 시 근육 운동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2. 01Feb
    by Valley_News
    2022/02/01 by Valley_News

    쉽고 좋은 건강 비법 몇 가지

  3. 02Aug
    by Valley_News
    2022/08/02 by Valley_News

    밤새 선풍기 틀어놓으면 몸에서 벌어지는 일

  4.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커피, 끊을 수 없다면 이렇게 즐기자… 건강은 챙기고 카페인은 뚝

  5. 01Feb
    by Valley_News
    2022/02/01 by Valley_News

    백설탕 대신 벌꿀·흑설탕? ‘설탕’오해와 진실

  6. 30Jan
    by Valley_News
    2023/01/30 by Valley_News

    “물은 목마를 때 마시면 된다.” 하루 8잔 마시라는 통념 뒤집어

  7. 28Jul
    by Valley_News
    2023/07/28 by Valley_News

    뜨거운 여름 날씨에는 수분 보충이 필수

  8.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데 기름 먹어도 될까?

  9. 29Apr
    by Valley_News
    2022/04/29 by Valley_News

    코로나 다음 팬데믹 주범은 '모기'?

  10. 24Jul
    by Valley_News
    2021/07/24 by Valley_News

    아침 메뉴의 식사대용품

  11. 28Apr
    by Valley_News
    2021/04/28 by Valley_News

    체중의 5%만 빼도 나타나는 '건강한' 신체변화 5가지

  12. No Image 01Feb
    by Valley_News
    2021/02/01 by Valley_News

    내 몸속 '코로나 방어막' 구축… 비타민D·아연에 주목하라

  13. 29Apr
    by Valley_News
    2022/04/29 by Valley_News

    셀룰라이트 고민이라면 운동·마사지 이렇게 하자

  14. 02Aug
    by Valley_News
    2022/08/02 by Valley_News

    한 번 쓴 수건, 화장실에 걸어두면 위험한 이유

  15. No Image 24Oct
    by Valley_News
    2019/10/24 by Valley_News

    단풍놀이 가을산행 간다면… 부상 주의하세요

  16. 03Mar
    by Valley_News
    2022/03/03 by Valley_News

    '이 음료'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에 독

  17. No Image 02Oct
    by Valley_News
    2020/10/02 by Valley_News

    나도 모르게 탈모를 유발하는 나쁜 생활습관

  18. No Image 30Nov
    by Valley_News
    2023/11/30 by Valley_News

    혈관성 치매 줄이는 습관은?

  19.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발꿈치 각질 관리 이렇게 하세요

  20. 01May
    by Valley_News
    2024/05/01 by Valley_News

    상하는 순간 '1급 발암물질' 생긴다는 이 음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