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미주한인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중 한 사람인 송상옥 선생의 10주기에 즈음하여 유고 장편소설 『가족의 초상』이 한국에서 발간되었다.
  이 책은 고인을 기리는 후배와 제자들, 뜻을 함께하는 문학단체들이 마음을 모아 맺은 결실이어서 한결 더 고맙고 반가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지난날을 존중하는 작은 정성들이 모이고 쌓여서 아름다운 전통이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설가 송상옥은 21세 때인 195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후, 「흑색 그리스도」 등의 많은 문제작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중요한 작가로 문단의 주목을 받으며, 50여년간 꾸준한 작가생활을 했다. 작가 자신이 정리한 연보에 따르면, 발간한 소설집과 장편소설이 14권에 이른다.
  물론 이와 같은 한국문단에서의 활동도 중요하게 재평가 받아야 마땅하겠지만, 미주문단이 소설가 송상옥을 고맙고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미주한국문학에 기여한 공로 때문이다.
  1981년 미국으로 이민 온 그는 1982년 <미주한국문인협회> 창립에 앞장섰고, 초대 회장과 2대 회장을 맡아 협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어서 13대, 14대, 15대 회장으로 6년간 활동하면서 협회의 중흥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한국정부의 문예진흥기금을 받아, 일년에 한 번 나오던 회원작품집 『미주문학』을 계간으로 발간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를 계기로 <미주한국문인협회>는 미주 전역에서 가장 큰 핵심단체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이어서, 송상옥 선생은 <미주한국소설가협회> 창립을 주도했고, 고문으로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
  또한, 미주 한국일보와 중앙일보 문예작품 공모의 심사위원으로 봉사하면서 신인 작가를 발굴하고 격려하는 일에도 각별히 힘썼다. 많은 작가들이 선생의 격려를 기억하며, 전형적인 경상도 사나이답게 별로 말 없고 무뚝뚝했지만 마음은 매우 따스한 분이었다고 그리워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작가 송상옥의 작품들이다. 미주한인사회를 소재로 한 그의 작품들은 이민문학 또는 디아스포라 문학의 지평을 넓힌 것으로 평가된다. 작가 송상옥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이민’이라는 말을 극도로 싫어한다. 자신은 고국을 떠나 미국에‘잠시 머무는’상태가 자꾸‘연장’되고 있을 뿐이라고 여긴다. 물론 당연히 한국국적을 고수하고 있다.”
  말은 이렇게 하면서도 그는 미국에서 사는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을 그린 많은 작품을 썼고, 작품을 통해 이민이란 무엇이고 아메리칸 드림이란 무엇인가, 조국과 고향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통렬하게 물으며, 정체성 확립을 호소했다. 그렇게 나온 대표적인 작품집이 『소리』, 『세 도시 이야기』, 『광화문과 햄버거와 파피꽃』 등이다.
  송상옥 선생의 유고 장편소설 『가족의 초상』의 가격은 $20(송료포함), 한인타운의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구독문의는 소설가 이용우 씨 전화 (213) 249-7844

 

송상옥.JPG

 

송상옥가족의초상.jpg

 


  1. 소설가 윤금숙 씨의 수필집 <그 따뜻한 손> 한국에서 발간

    넉넉한 사랑의 눈길 담은 수필집 38편 수록 소설가 윤금숙 씨의 수필집 <그 따뜻한 손>이 한국의 해드림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1996년 수필로 등단한 이래 꾸준히 수필을 써왔지만, 24년이나 지난 이제야 펴낸 첫 수필집이다. 이 책에는 사람들을 감싸는 넉넉...
    Date2020.04.09 ByValley_News
    Read More
  2. 원로 아나운서, 수필가 위진록 선생 에세이 모음집 <오래된 출장> 출판

    생생한 육성 담긴 에세이 69편 수록 오늘날 한국의 현실, 일본과의 관계 등 예리하고 애정 어린 시선으로 진단 원로 아나운서이며 수필가인 위진록 선생이 생생한 육성이 담긴 에세이 모음집 <오래된 출장>을 한국에서 출판했다. (모노폴리 발행) 6.25 전쟁, ...
    Date2020.04.09 ByValley_News
    Read More
  3.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오스카 트로피에 담긴 의미 - 극작가 장소현

    봉준호 감독이 오스카 트로피를 들어올리고, 한국말로 수상소감을 말하는 장면은 우리를 뭉클하게 했다. 그것도 4번이나…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제92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최고상인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 등 4개 부문을...
    Date2020.02.22 ByValley_News
    Read More
  4. 소설가 송상옥 선생 10주기 맞아 유고 장편소설 『가족의 초상』 발간

    미주한인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중 한 사람인 송상옥 선생의 10주기에 즈음하여 유고 장편소설 『가족의 초상』이 한국에서 발간되었다. 이 책은 고인을 기리는 후배와 제자들, 뜻을 함께하는 문학단체들이 마음을 모아 맺은 결실이어서 한결 더 고맙고 반가...
    Date2020.01.08 ByValley_News
    Read More
  5.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영화

    세계 3대 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의 발자취를 정리해본다. 세계 3대 영화제를 생긴 순서로 꼽으면 베니스 영화제(1932), 칸 영화제(1946), 베를린 영화제(1951)이다. 세계 영화계에 알려진 한국 감독은 임권택, 박찬욱, 봉준호처럼 예술성과 상업성을...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6. 토요풍류- 밸리 지역에 한국 전통 음악 소개

    <토요풍류(대표: 한종선)>가 주최하고 원불교 밸리 교당이 후원하는 <KOREAN SOUND & RHYTHM ON SATURDAY> 공연이 오는 5월 18일 저녁 7시(리셉션 6시 15분)에 밸리 원불교 교당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밸리가 LA와 가까우면서도 상대적으로 한국의 전...
    Date2019.06.05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 커뮤니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