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봉준호 감독이 오스카 트로피를 들어올리고, 한국말로 수상소감을 말하는 장면은 우리를 뭉클하게 했다. 그것도 4번이나…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제92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최고상인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 등 4개 부문을 휩쓴 것은 단순한 기쁨을 넘어서 세계영화사에 중요하게 기록될 획기적인 사건이다. 한국영화 100주년을 맞으며 이룬 쾌거라서 한층 의미가 깊다. 뿐만 아니라 아카데미 영화상 자체에도 큰 돌파구가 되었다.
   ▲세계를 향한 한국문화의 자신감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의미는 한국 문화의 세계무대 진출에 확실한 자신감을 심어준 점일 것이다.
   영화 <기생충>은 한국의 현실을 다룬 한국어 영화로도 세계인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92년 아카데미 영화제 역사상 처음으로 비영어권 영화가 최고상인 작품상을 받는 기록을 세웠다.
   봉준호 감독이 감독상 수상 소감으로 인용한“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라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말이 현실로 이루어진 셈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세계무대를 향하는 한국 예술가들에게는 매우 큰 격려가 되고 자신감, 자긍심을 심어주는 소중한 의미이다.
   봉준호 감독이 수상한 오스카 트로피로 한국문화의 세계화는 본격적 힘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세계 상위권으로 눈부시게 발전하는 경제에 비해 부족했던 문화의 취약성을 단숨에 메워주었다.
   한국의 다양한 문화 예술은 그동안 한류라는 이름으로 활기차게 세계로 뻗으며, 성공을 거두고 영역을 넓혀왔다. 방탄소년단을 대표로 하는 케이팝, 클래식 음악의 지휘자 정명훈, 피아니스트 조성진, 작고가 진은숙… 미술계의 백남준, 이우환 등등… 이런 성장세에 오스카 트로피가 정점을 찍은 셈이다. 이제 남은 것은 노벨문학상 정도일까…
   ▲오스카에 새로운 세계 열다.
   아카데미 영화상이 영어가 아닌 외국어로 제작된 영화에 작품상을 준 것은 92년 역사상 <기생충>이 처음이다. 이런 결정을 내리기까지 아카데미의 고민도 결코 작지 않았을 것이다. <기생충>의 작품상 수상은 아카데미의 변화를 상징하는 단면이라는 해석도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아카데미는 보수적이고 불평등한 백인들만의 잔치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백인들이 만들어온‘화이트 스토리’와 전통적 영화문법에 대한 숭배와 편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비판이었다.
   올해 아카데미상은 그런 비판을 불식시키고, 동시에 지역 영화상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적 영화상으로 거듭나기 위해, 과감하게 미래와 다양성을 선택했다. 마지막 빗장으로 여겨졌던 언어의 장벽마저 허물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이다. 이는 전 세계 영화계에 희망을 준 결정이기도 하다. 소수 언어로 영화를 만드는 나라에서도 작품만 좋다면 아카데미에 갈 수 있다는 희망이 생긴 것이다.
   이와 같은 결정은 아카데미로서는 매우 용기 있는 과감한 방향 전환이다. 이를 통해 아카데미는 명실공히 세계적인 영화상으로 거듭나는 성과를 거두었다. <기생충>의 수상은 시기가 잘 맞아떨어졌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역사와 전통의 저력
   한국 영화사 100주년을 큰 경사로 장식하게 된 것 또한 기쁜 일이다. 100년의 역사와 전통의 저력이 있었기에 오스카 무대에 설 수 있었던 것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기생충>의 수상은 한국 영화가 그동안 쌓아온 저력을 상징하는 승리이다.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한 이후 한국 영화들은 꾸준히 세계 영화제에서 꾸준히 상을 받아왔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감독도 여러 명이다. 그런가 하면 한국 영화산업 규모도 세계 5~6위권이다. 이처럼 산업적으로나 작품적으로나 무시 못 할 토대를 쌓아온 상황에서 <기생충>이 확실한 증명을 한 셈이다.
   ▲<기생충>의 놀라운 수상 기록
   영화 <기생충>이 그동안 받은 영화상만 꼽아 봐도 기록적이다.
   <기생충>은 지난해 5월 세계 최고 권위의 영화제인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받은 이래, 1년간 전세계의 영화제에서 무려 163개 트로피를 받았다.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동시에 받은 것은 1956년 델버트 맨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마티> 이후 64년 만으로, 역대 두 번째다.
   <기생충>은 오스카 역사상 외국어 영화로는 처음 작품상의 영광을 차지했는데, 한 영화가 작품상과 국제영화상을 동시에 받은 것은 처음이다. 아시아계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것도 대만 출신 리안 감독 이후 최초다.
   봉준호 감독은 아카데미 시상식 하루에만 각본상을 시작으로 국제영화상과 감독상, 최고 영예의 작품상까지 동시 수상하면서 4관왕에 올랐다. 한 사람이 하룻밤 사이에 4개의 오스카상을 거머쥔 것은 월트 디즈니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알려진다.
   ▲문화의 힘 일깨워줘
   <기생충>의 수상이 주는 또 다른 의미는 사람들에게 문화의 힘과 중요성을 일깨워준 것이다. 수상 장면을 텔레비전으로 보거나, 또는 뉴스로 접한 세계의 한국인들이 경험한 짜릿한 전율은 대단한 것이었다. 또 이로 인해 한국의 위상이 얼마나 올라갔는지… 그건 돈으로 따질 수 없을 지경이다.
   문화의 힘은 그렇게 막강하다. 그런데 그 문화는 예술가 혼자서 만드는 것이 아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숲 같은 것이다.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트로피는 그것을 일깨워 주었다. <*>봉준호 감독.jpg

 


  1.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의 저자 심활경 사모

    세 딸을 모두 신앙 안에서 이중언어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명문대생으로 키운 채스워스의 <새생명교회(담임목사 지성은)> 심활경 사모가 최근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는 책을 발간했다. 이 책에는 ‘아이 안에 잠들어 있는 거인’을 ...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2. 제11회 <고원 문학상> 최종심 결과 박경숙 소설가, 안경라 시인 공동수상

    <고원 기념사업회>(회장: 정찬열)가 주관하는 제11회 <고원 문학상> 최종심 결과 박경숙 소설가와 안경라 시인의 공동수상으로 결정되었다. 수상작은 박경숙 소설가의 <의미있는 생>, 안경라 시인의 <아직도 널 기다려>이다. 응모작들은 고원문학상 예심위원...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3. 고원 시인의 시비 고향에 건립 시정신 기리고 널리 알리기 위해

    미주 한인문단을 대표하는 이민 1세대 재미문학가이자 큰 스승이었던 고원(본명 고성원, 1925~2008) 시인의 시비(詩碑)가 고향인 충복 영동에 세워졌다. 시비는 영동의 대표 관광지인 송호리 관광지 내에 건립됐다. 재미 고원기념사업회는 지난 10월25일, 정...
    Date2022.12.01 ByValley_News
    Read More
  4. 밥 딜런의 고교시절 연애편지 경매서 약 67만 달러 낙찰

    전설적 가수이자 작곡가 밥 딜런이 고등학생 시절 여자친구에게 쓴 연애편지가 경매에서 약 67만 달러에 낙찰되어 화제를 모았다. 한국 돈으로 약 8억9000만원이다. 이 편지들을 사들인 것은‘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점’으로 불리는 포르투갈 ...
    Date2023.01.30 ByValley_News
    Read More
  5. “이민 선조에게 부끄럽지 않은 후손될 것” 청소년들의 롤모델 그린 <영웅과 전설> 발간

    각 방면의 이민 1세 영웅 11명의 이야기 수록 미주 한인이민 120주년을 맞아 한인 청소년들은 선정한 한인 1세 영웅과 전설의 이야기를 담은 책 <영웅과 전설(Heroes and Legends)>을 발간했다. 영상과 책으로 제작된 <영웅과 전설>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6. 음식으로 확인하는 엄마의 사랑

    한국계 미국인 미셸 자우너 에세이 <H마트에서 울다> <H마트에서 울다>는 한국계 미국인인 미셀 자우너의 가족, 음식, 슬픔과 사랑에 관한 강렬한 이야기를 담은 뭉클한 에세이다. 저자 미셀 자우너는 신예 록 뮤지션으로 인디 팝 밴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의 ...
    Date2023.05.31 ByValley_News
    Read More
  7. <책소개>-장소현 소설집 <그림 그림자> 발간 ‘이야기로 엮은 미술의 본디

    시인 겸 미술평론가 장소현 씨의 신간 소설집 <그림 그림자>가 한국에서 발간되었다. (<문학나무> 발행) ‘이야기로 엮은 미술의 본디’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이 책에는 오늘의 미술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과 여러 가지 근본문제들을 읽기 쉽고 재미...
    Date2023.06.29 ByValley_News
    Read More
  8. <책소개> - 오문강 원로시인이 세 번째 시집 <선생님 꽃 속에 드시다> 발간

    원로 오문강 시인이 세 번째 시집 <선생님 꽃 속에 드시다>를 펴냈다. (시산맥사 발행) 두 번째 시집을 낸지 13년에 펴낸 이 시집에는 <나 본 듯이 보거라> <우리 국어 선생님> <나성 문화재 1호> 등 39편의 신작시와 산문 1편을 4부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다....
    Date2023.06.29 ByValley_News
    Read More
  9. LA강 주제, 작가 11명의 특별기획전

    개성적 작품 통한 화가들의 자연 사랑 8월12일-9월16일, 샤토갤러리에서 LA강을 주제로 남가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작가 11명이 꾸미는 특별기획전이 오는 8월12일부터 9월16일까지, 샤토갤러리에서 열린다. <우리의 강(OUR RIVER: city floodplain)>이...
    Date2023.07.28 ByValley_News
    Read More
  10. <책소개> 재미작가 류진선 씨의 그래픽노블 : <파워 온> 한국어판 한국에서 발간

    재미작가 류진선 씨의 화제작 그래픽노블 <파워 온> 한국어판이 한길사를 통해 발간되었다. 이 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AI의 인종차별, 편향성 문제 등의 부정적 측면을 미래 AI 사용자인 청소년에게 알리는 시의적절한 내용을 담고 있어 큰 관심을 모으고...
    Date2023.07.28 ByValley_News
    Read More
  11. <책 소개>김영강 중편 소설집 <꿈꾸는 우리 가족>

    김영강 중편 소설집 <꿈꾸는 우리 가족>, 미주한인사회 무대 4편의 중편소설 수록 김영강 작가가 중편 소설집 <꿈꾸는 우리 가족>을 한국에서 발간했다. (문학나무 발행) 이 책에는 <꿈꾸는 우리 가족> <콩밭떼기 만세> <건너지 못하는 강> <침묵의 그림자> ...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12. <한글날 특집> 세계는 한글을 배우는데, 국내는 영어가 판 치는 현실

    K-문화 열풍과 함께 외국에선 오히려 한국어 배우기 붐이 일어나고 있는데, 한국 내에서는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가 날로 세력을 펼쳐가고 있다. 세계는 한글을 배우는데, 국내는 황당한 영어가 판을 치는 현실이다. 세종대왕께서 통곡하실 일이다. 육회(Six T...
    Date2023.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3. 첼리스트 이방은, 엔시노서 연주회 피아니스트 폴 핏맨과 협연

    2월 9일(토) 오후 4시, 엔시노 제일장로교회 슈만, 브람스, 세자르 프랭크 등 명곡 연주 첼리스트 이방은 씨와 피아니스트 핏맨이 협연하는 음악회가 12월 9일(토) 오후 4시 엔시노의 제일장로교회(First Presbyterian Church, Encino)에서 열린다. “코...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14. 그리스도의 크신 사랑 담은 작품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연작

    장소현 (미술평론가, 시인) 운보 김기창 화백이 그린 <예수의 생애> 연작은 성탄절이면 떠오르는 그림이다. 권순철의 <예수님 얼굴>, 김병종의 <바보예수> 등도 떠오른다. 성탄절을 맞아 이런 그림을 보면서, 나의 신앙을 되돌아본다. 우리 시대 한국의 종교...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15. <자빠져 있어도 사랑해> 지은이: 크리스틴 장, 세움북스, 2023년 10월 30일 출간

    세움북스의 크리스천 여성작가 시리즈 네 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재미있는 제목의 이 책은 메마른 일상, 생각도 사랑도 멈춘 일상에 생기를 불어넣는 이야기로 읽으며 같이 깨닫고, 살아 있다는 느낌을 얻게 되는 이야기다. 남편, 자녀, 삶과 사랑 그리고 하...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16. 곽설리 씨 첫 개인전 마련

    1월2일-16일, E2 아트 갤러리에서 <빛과 소리의 하모니> 주제 작품 30여점 전시 곽설리 씨의 첫 개인전이 1월2일부터 16일까지 <E2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다. <빛과 소리의 하모니>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최신작과 그동안 그려온 작품 중 엄선...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17. 곽설리 연작소설집 <처제집 인간풍경> 한국의 문학나무 출판사에서 발간

    곽설리 작가의 신간 연작소설집 <처제집 인간풍경>이 한국의 문학나무 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처제집 인간풍경>에는 서양의 제우스와 우리의 처용이 만나는 가상의 상징적 공간인 선술집 <처제집>을 무대로 펼쳐지는 다양한 인간풍경을 그린 연작소설 11편...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18. 박혜숙, 김성일 2인전 <형상을 넘어서> <샤토 갤러리>에서 5월18일(토)까지

    박혜숙, 김성일 작가의 2인전이 <샤토 갤러리>(관장 수 박)에서 5월18일(토)까지 열리고 있다. <형상을 넘어서(form and formless)>라는 제목의 이 전시회는 두 작가의 신작을 포함하여, 한 전시에서 보기 드문 대작들과 설치, 조각 작업 등을 선보이는 미술...
    Date2024.05.0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 커뮤니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