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증유의 코로나 19사태가 장기화 되면서,오랜 집콕 생활에 지쳐갈 때쯤, 폐쇄되었던 캠핑장과 등산 트레일이 개방되면서 야외활동이 조금씩 기지개를 켠다. 바이러스를 피한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집 안에만 머물 경우에 자칫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전문가들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에 기반을 둔 걷기와 등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 비대면 야외활동을 권장한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 불가피한 변화 속에 지혜로운 산행 방법은 어떠해야 할까? 첫째, 등산객이 적은 등산로를 선택한다. LA 근교 수많은 산행코스 중 가고자 하는 트레일의 Open 또는 Closed 여부와 코스 정보 등을, 인터넷으로 출발 전에 확인함이 필수이다. 둘째, 2m 이상 거리두기를 실천한다. 등산의 특징 중 하나가 호흡이 가빠지고 거친 숨을 몰아쉬게 된다. 당연히 평지와 달리 비말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마스크를 써야 하지만 급경사에서는 지속적인 착용이 쉽지 않다. 충분한 거리두기를 통해 감염의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한다. 그리고 서로 교행을 하는 등산로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몸을 돌려 서로 비켜 서주는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바람을 등지고 나란히 앉아 음식을 먹는다. 산에서 먹는 음식은 최고의 맛이다.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진다. 이럴 때는 마주앉지 말고 떨어져 나란히 앉아 대화보다는 자연의 경치를 즐긴다. 넷째, 하산 후 뒤풀이 모임은 차단한다. 음식과 술을 나누는 뒤풀이는 자연히 감염의 위험을 높이게 됨을 명심하자. 본 산악회도 많은 대원이 같이 움직이던 예전과 달리 몇 개의 소규모그룹으로 분리하고 그것도 15분씩 시간차를 두고 거리두기 산행을 하는 등 극도의 조심성을 견지하던 중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한다.

   산가브리엘 산맥의 마운틴하이 스키장 인근, 숲이 우거진 시원한 등산로와 아늑한 캠프장, 광활한 모하비 사막의 풍광 등으로 인기 있는 평균해발 6000피트의 Blue Ridge Trail을 찾은 여름 산행. 한쪽 팔에 작은 장애가 있는 한대원이 평소의 다소 더딘 산행속도 때문에 그룹에서 뒤처져 따라오다 경사진 등산로에서 미끄러져 굴러떨어진다. 혼비백산한 그가 다친 몸과 불편한 팔로는 등산로로 다시 올라갈 수가 없어 물길 따라 아래로만 내려가다 길이 막히면 돌아가기를 반복, 결국 길을 잃어버리고 만다. 이미 어두워진 깊은 산속, 물도 음식도 자켓도 없이 바위에 기대앉아 두려움과 추위에 떨며 밤을 새다, 새벽여명에 아픈 몸을 겨우 추스르며 기진맥진 산속을 헤매다 극적으로 근처 캠프장에 도착하게 되고, 막 떠나려는 마지막 캠핑 가족의 도움으로 그들의 차를 타고 밤새 실종 수색작업 중이던 Rescue 팀에 인계된다. 그리고 밤을 새워 비상대기 중이던 본 산악회 팀과 눈물의 조우를 한다.

   진한 동료애와 가족 같은 따뜻함을 함께 확인하게 됨을 감사하면서도 코로나 사태 이후의 등산 산행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 많은 숙제를 남긴 산행이었다.<*>

 

   왕복;11 마일. 등반고도; 1300 피트. 난이도; 2 (최고 5). 등급; 4 (최고 5)

가는 길; 5(N)- 14(N)-Pearblossom-138 Fwy-2Fwy(N)-Wright wood-Big pine 방문자 


  1. 코로나와 등산 Blue Ridge Trail - <밸리산악회> 김찬호 -

    미증유의 코로나 19사태가 장기화 되면서,오랜 집콕 생활에 지쳐갈 때쯤, 폐쇄되었던 캠핑장과 등산 트레일이 개방되면서 야외활동이 조금씩 기지개를 켠다. 바이러스를 피한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집 안에만 머물 경우에 자칫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전문가들 ...
    Date2020.07.25 ByValley_News
    Read More
  2. Devils Punch Bowl -<밸리산악회>김찬호 대원

    세계 최초의 히말라야 8000m 14좌 완등은 현존하는 전설의 산악인, 이탈리아의 라인홀트 매스너가 16년의 등정 끝에 1986년 완성한다. 그와 각축을 벌였던 천재 산악인 폴란드의 예지 쿠크츠카는 1987년 세계 두 번째로 14좌 등정을 성공하며 매스너가 16년간 ...
    Date2020.02.22 ByValley_News
    Read More
  3. 능선길의 전망 깊은 숲, 높은 도시, 먼 바다 Mt. Lukens -김 찬 호<밸리산악회> 대원

    1998년 5월 미국 산악인 부부, 프랜시스 아르센티에프와 남편 세르게이는 오랜 꿈이었던 에베레스트 등정에 나섰으나 날씨에 발이 묶여 캠프에서 하늘만 쳐다보길 며칠째, 그러다 5월 22일 그들은 천신만고 끝에 정상에 올랐다. 프랜시스는 미국여성으로서는 ...
    Date2020.01.08 ByValley_News
    Read More
  4. 편안한 등산로 스트로베리픽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실버산업이 갈수록 확장일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시니어 소비지출에서 건강을 위한 가전제품의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마사지 체어, 반신욕기, 승마 운동기 등, 대단히 적극적인 운동 보조기구들로 그만큼 시니어들의 건...
    Date2019.10.24 ByValley_News
    Read More
  5. 신이 빚은 대자연의 빛과 그림자 Zion Canyon. Bryce Canyon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눈앞에 전개되는 아아 황홀한 광경! 어떤 수식이 아니라 가슴이 울렁거리는 것을 어찌할 수 없습니다. 이 광경을 무엇이라 설명해야 옳을지, 발밑에는 천인의 절벽, 확 펼쳐진 눈앞에는 황색, 갈색, 회색, 청색, 주색으로 아롱진 기기괴괴한 봉우리가 ...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6. 바람이 전해주는 숲과 호수 이야기 San Gorgonio Dry Lake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
    Date2019.06.13 ByValley_News
    Read More
  7. 극한의 길에서 만나는 선계의 길 - Iron Mountain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세계적 명성의 전문 산악인들조차 혀를 내두르는, 모험심 강한 아마추어 산악인이 우리 가까이 있다. LA 에 거주하는 올해 76세의 김명준 씨. 평안남도 안주군 출생의 피난민으로, 연세대를 졸업 후 대기업에 근무하다 서른한 살에...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8. Santa anita Canyon, Hoegees Camp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엘리자벳 홀리. 히말라야 등반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그 주인공이 2018년 1월 네팔 카트만두에서 9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전세계 산악계에서 “살아있는 사료보관소” “산악계...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