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가르마를 오랫동안 한 방향으로만 한다.

   나에게 최적의 가르마 방향과 비율을 찾아 오랫동안 한 방향으로 가르마를 고수해왔다면 주의하셔야 한다. 가르마를 탄 부분의 두피가 자외선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탈모를 유발할 수 있으니 가르마는 6개월 또는 1년에 한 번씩 방향을 바꿔주는 것이 좋다.

 

   2. 젖은 머리를 오랫동안 방치한다.

   젖은 머리 그대로 출근하거나 숙면을 취한다면 안 된다. 젖은 머리를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세균이 번식해 염증과 냄새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탈모로도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비를 맞았거나 머리를 감고 난 후에 머리가 젖었다면 바로바로 말려야 한다. 

 

   3. 머리를 말릴 때 뜨거운 바람으로 말린다.

   머리를 말릴 때 뜨거운 바람으로 말리면 유수분 균형이 무너져 각질이 생길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두피를 건조하게 만드는 지름길이다. 

   머리를 말릴 때는 뜨거운 바람보다는 미지근하거나 찬 바람으로 말리는 것이 좋으며 두피와 드라이기는 10~30cm 정도 거리를 두고 말리는 것이 좋다.

 

   4. 두피 청결을 게을리한다.

   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 두피 청결은 필수이다. 하루 동안 쌓인 각종 노폐물은 두피에 자극을 줘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

   머리는 아침보다는 외출 후, 저녁에 탈모 전용 샴푸를 이용해 깨끗하게 감는 것이 좋으며 머리가 젖은 상태로 잠들지 않도록 꼼꼼하게 말려준다.

 

   5, 유전적 요인을 무시한다.

   부모가 모두 탈모가 있으면 자녀에게도 80% 정도의 확률로 유전될 정도로 가족력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전 가능성이 있다면 더욱더 신경 써야 한다. 특히 요즘은 20~30대의 젊은 층에서도 심상치 않게 탈모가 일어나고 있어 심각한 콤플렉스가 되기도 한다. 평소 생활습관에 좀 더 관심을 두고, 탈모가 의심될 경우 더 늦기 전에 병원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다.

 

   6. 폄이나 염색을 자주한다.

   잦은 염색과 펌 등으로 두피에 자극을 주거나 모발이 약해지는 것도 탈모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두피에 직접적으로 자극을 주는 독한 염색을 자주 할 경우 탈모를 피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7. 영양이 불균형한 식사를 한다.

   편식, 무리한 다이어트 등으로 영양이 불균형해질 경우에도 두피에 양질의 단백질과 미네랄 등 각종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모발과 모근이 약해져 쉽게 끊어지거나 탈모가 진행될 수 있다.

   또 콜레스테롤은 탈모 유전자를 자극하기 때문에 인스턴트로 때우는 식습관이 있다면 고치는 것이 좋다. 건강한 모근과 탈모 예방을 위해서는 서리태, 해조류, 흑임자, 견과류 채소 등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0 오늘 아침‘소변 색 ’ 확인했나요? Valley_News 2020.02.22
109 연령별 필수 영양체 추천 file Valley_News 2023.03.29
108 여성에게 좋은 매생이 file Valley_News 2023.11.06
107 여름 대표 과일 수박, 이런 효능이? file Valley_News 2022.06.30
106 어느 의사의 역설적 건강 조언 Valley_News 2023.04.26
105 양파·마늘 '이렇게' 먹으면 영양 흡수 Valley_News 2021.06.23
104 암에 걸린다고? 휴대폰‘보관 금지’ 8곳 file Valley_News 2023.01.30
103 암세포 증식, 성장 유발하는 못된 단백질 찾았다 file Valley_News 2022.12.30
102 암세포 씨를 말려버리는 강력한 식품들 Valley_News 2021.12.01
101 알고 먹으면 더 좋은 보약‘쌀’ file Valley_News 2022.02.01
100 아침에 일어났는데 너무 피곤하다면? 잠자기 전 수면을 망치는 습관 Valley_News 2022.12.01
99 아침식사, 줄여야 할 음식 vs 건강에 좋은 음식 file Valley_News 2023.02.26
98 아침 메뉴의 식사대용품 file Valley_News 2021.07.24
97 심혈관질환 의심 증상 5가지 감기 아닌데도 기침? Valley_News 2019.11.23
96 신이 내린 선물 놀라운 양배추 효능 file Valley_News 2020.01.08
95 식초를 집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file Valley_News 2020.10.31
94 식이섬유의 배신, 장(腸) 안 좋은 사람 조심해야 file Valley_News 2019.10.24
93 시끄러운 소음에 많이 노출될수록 심뇌혈관질환 위험 높아진다 Valley_News 2019.02.04
92 쉽고 좋은 건강 비법 몇 가지 file Valley_News 2022.02.01
91 손톱건강과 치료법 Valley_News 2019.09.0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