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평소 시청률이 꽤 높은 TV 건강프로그램이 어느 날 걷기와 등산을 주제로 방송을 했는데 시청률이 곤두박질쳤단다. 이상했다. 간판프로의 시청률이 바닥을? 하지만 바로 답을 얻었다. 그동안 녹용, 가시오가피, 차가버섯 등 몸에 좋다는 먹거리방송으로 쉽게 건강을 얻으려 한 사람들의 얄팍함이 땀을 흘리며, 몸을 고단하게 만드는 운동이 심리적으로 불편했던 것이다. 물론, 이건 한참 전의 이야기다.이즈음, 건강식품의 한계를 실감한 사람들이 몸을 움직여야 한다는 위기감에, 접근이 쉬운 등산을 선택한다. 그러나 등산이 결코 만만한 종목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등산이 운동이 아닌 노동으로 전락하며 산을 멀리하게 된다. 

   잘못된 등산법 5가지. 1. 도전정신으로 무장한다. 등산은 도전이고 극기이다 정상정복이 중요하다. 여유롭게 자연을 즐겨서는 안 된다.  2. 준비운동은 무시한다. 워밍업은 필요없고 뻣뻣하게 굳은 상태에서 바로 출발한다. 몸은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화들짝 놀라고 그 충격은 신체 각 기관에 크고 작은 무리를 준다. 3.호흡곤란을 무시한다. 중, 노년층의 호흡곤란은 자동차엔진의 과부하 현상과 같다. 심장이 터질 듯 산을 올라 심장에 다소무리가 가는 고통쯤은 감수해야 운동이 된다고 생각한다.  4. 음식조절을 무시한다. 운동은 밥심이라고 생각, 많이 먹고 술까지 곁들인다. 몸을 쉽게 지치게 만들고 저체온증과 낙상사고로 인한 골절상, 심근경색의 발생률을 높인다. 이로 인한 고혈압, 심장마비가 등산 사고사의 70%를 차지한다. 5. 배우지 않는다. 걸음은 팔자, 갈지자걸음으로 스틱은 지팡이로, 배낭은 괴나리봇짐처럼 메고 가는 이들을 많이 본다. 산행의 기술과 장비의 활용법을 익히지 않아서 망가진 자세와 몸은 무지의 결과일 뿐이다.

   Mishe Mokwa Trail은 산타모니카산맥의 주봉인 샌드스톤픽(3111ft) Exchange Peak, Boney Peak 등 높은 봉우리와 자이언캐년을 연상케 하는 용암 절벽과 기암괴석, 끝없는 태평양의 푸른 바다 전경이 장관으로 하이커들이 사계절 끊이지 않는 인기 코스이다. 트레일 헤드 파킹장에서 0.3마일 올라가면 만나는 삼거리표지판에서 오른쪽 Mishe Mokwa Trail로 들어선다. 이 길은 오래전 츄마시(Chumashi) 인디언들이 해안으로 왕래할 때 지나다니던 길목이었다고 한다. 0.5마일 Tri Peak Trail로  들어가면 희미한 안개와 서서히 물들어가는 계곡, 그리고 산에는 가을의 정취가 가득하다. 돌출암석의 독불장군 같은 투박한 모습이 정겨운 Tri Peak 정상에 올라 안개 낀 산하의 장엄함을 만끽한 후 발을 돌려 이 가뭄에도 푸르름을 유지한 채 흐드러진 야생화 무더기, 울긋불긋 물들어가는 나무숲이 도열한 Exchange Peak Trail이 참 고맙다. 그리고 그다음 Inspiration Point를 만나게 되는데 여기서 보게 되는 카타리나 섬의 전경이 환상적이나 오늘은 안개와 스모그로 그 모습을 보지 못하는 아쉬움을 뒤로 남긴 채 Boney Peak Sand Stone 정상을 향해 급경사 길을 힘차게 오른다.

   “미증유"라는 말 그대로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처음 벌어진 일을 최근 우리는 목도하고 있다. 팬데믹, 지진, 폭염,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로 발생하며 우리 삶의 방식에 근본적인 회의를 갖게 한다. 산불 시즌 11월이 오기도 전에 이미 예년의 피해, 두 배를 훌쩍 넘어섰고, 엔젤레스 국유림의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 오늘 산행 현재도  샌버나디노 산맥까지 엄청난 산불피해를 입고 있다고 하니, 그나마 안전한 해안가 트레일을 걷고 있는 발걸음이 결코 가벼울 수 없는 숙제를 우리에게 던져놓고 이렇게 세월은 무심히도 흘러간다.<*>산행1.jpg

 

산행2.jpg

 


  1. 비우고 씻어주고 채워준 산, 바다 그리고 푸르름 Point Mugu State Park, Mugu Peak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탐험가 그랜드슬램이라는 용어가 있다. 에베레스트 포함 세계 7대륙 최고봉을 등정하고 남극점과 북극점에 모두 도달해야 하는 초인적인 기록인바 현재 전 세계에 63명의 그랜드슬램 달성자가 있다. 그 초인적인 반열에 2017년 당...
    Date2019.02.04 ByValley_News
    Read More
  2. 비를 기다리는, 그래서 고마운 숲속 청량함 Tom Sloan Saddle-<밸리산악회>김찬호

    미 서부 태평양 연안 등산로인 PCT(2,663마일), 미국 중서부 5개 주에 걸쳐 록키 산맥을 따라있는 CDT(3,100마일)와 함께 미국 3대 트레일로 꼽히는 장거리 하이킹의 시초인 AT(애팔래치안 트레일 2,181마일, 3,510Km)는 미 동부 14개 주에 걸쳐 애팔래치아산...
    Date2021.10.05 ByValley_News
    Read More
  3. 비를 기다리는, 그래서 고마운 숲속 청량함 Tom Sloan Saddle-<밸리산악회>김찬호

    미 서부 태평양 연안 등산로인 PCT(2,663마일), 미국 중서부 5개 주에 걸쳐 록키 산맥을 따라있는 CDT(3,100마일)와 함께 미국 3대 트레일로 꼽히는 장거리 하이킹의 시초인 AT(애팔래치안 트레일 2,181마일, 3,510Km)는 미 동부 14개 주에 걸쳐 애팔래치아산...
    Date2021.10.05 ByValley_News
    Read More
  4. 바람이 전해주는 숲과 호수 이야기 San Gorgonio Dry Lake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
    Date2019.06.13 ByValley_News
    Read More
  5. 바다 안개와 물든 계곡에서 만나는 가을 Mishe Mokwa Trail -김찬호 <밸리산악회>대원 -

    평소 시청률이 꽤 높은 TV 건강프로그램이 어느 날 걷기와 등산을 주제로 방송을 했는데 시청률이 곤두박질쳤단다. 이상했다. 간판프로의 시청률이 바닥을? 하지만 바로 답을 얻었다. 그동안 녹용, 가시오가피, 차가버섯 등 몸에 좋다는 먹거리방송으로 쉽게 ...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6. 단풍과 낙엽 그리고 가을 이야기 Orchard Camp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산악인 백준호.일반인은 물론 산악인들 사이에서도 그의 이름은 귀에설다. 대구계명대 산악부 출신인 그의 별명은 백곰이다. 자신이 운영하던 갈비집을 언제나 산악인들로 북적이게 만들었지만 돈버는데는 재주가 없던 경영자였다. 온갖 허드렛일도 앞장서 해...
    Date2019.11.23 ByValley_News
    Read More
  7. 능선길의 전망 깊은 숲, 높은 도시, 먼 바다 Mt. Lukens -김 찬 호<밸리산악회> 대원

    1998년 5월 미국 산악인 부부, 프랜시스 아르센티에프와 남편 세르게이는 오랜 꿈이었던 에베레스트 등정에 나섰으나 날씨에 발이 묶여 캠프에서 하늘만 쳐다보길 며칠째, 그러다 5월 22일 그들은 천신만고 끝에 정상에 올랐다. 프랜시스는 미국여성으로서는 ...
    Date2020.01.08 ByValley_News
    Read More
  8. 남가주 최고의 전망 샌버나디노픽

    남가주 최고의 전망 샌버나디노픽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한청년이 빛을 잃었다. 스물 두 살, 그 푸른 나이에 눈부신 태양, 푸른 하늘, 꽃과 나무, 사랑하는 사람들, 세상 모든 것들이 그의 시야에서 사라져 버렸다. 송경태. 그는 82년 7월 군에 입대한지...
    Date2018.11.02 ByValley_News
    Read More
  9. 남가주 최고의 명산, Mt Baldy - 김 찬호 <밸리 산악회>

    남가주 최고의 명산, Mt Baldy 김 찬호 <밸리 산악회> 대원 그 명성만큼이나 산악사고 또한 빈번한곳이며 결코 쉽지 않은 곳이다. 10여회 정상을 올랐지만 갈 때마다 힘든 하루를 각오하게 하던 곳이기도. 이곳을 무려 800회 오른 원로산악인 김석두씨(78세). ...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10. 깊은 계곡, 푸른 바다, 그리고 비상 Santa Yenez Canyon, Eagle Rock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요절한 가수 김광석의 노래 중에“어느 60대 노부부이야기”가 있다. 정감있는 곡과 애잔한 가사로 듣는 이의 심금을 울리는 명곡이다. 근데 이 노래가사를 뜯어보면 나이 60에 인생이 허무하게 끝나는 것 같아 마음이 언짢았는데, 이 노래의 작곡...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11. 극한의 길에서 만나는 선계의 길 - Iron Mountain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세계적 명성의 전문 산악인들조차 혀를 내두르는, 모험심 강한 아마추어 산악인이 우리 가까이 있다. LA 에 거주하는 올해 76세의 김명준 씨. 평안남도 안주군 출생의 피난민으로, 연세대를 졸업 후 대기업에 근무하다 서른한 살에...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12. 그 바람 또한 그대로였다 Mt. Waterman -<밸리산악회>김 찬 호 대원-

    살아있는 전설, 이탈리아의 등반가 “라인홀트 메스너"가 1978년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무산소로 등정한 이후, 무산소 여부는 산악인들의 등반을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로 자리매김했다. 고산 등반 최대의 난적인 산소 결핍은 기구를 통해 해결하면 ...
    Date2021.06.23 ByValley_News
    Read More
  13. 광활한 모하비사막과 파인트리 시원한 능선길 Troop Peak과 Mt Burnham

    광활한 모하비사막과 파인트리 시원한 능선길 Troop Peak과 Mt Burnham 김찬호 <밸리 산악회> 대원 산악계의 오랜 논쟁이 있다. 등정주의와 등로주의를 둘러싼 입장이 그것이다. 등정주의는 주로 정상 정복에 중요한 의미를 두는 반면 등로주의는 알파인스타일...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14. 고산준령의 웅혼함 Mt, Baldy West Route -<밸리산악회> 김찬호대원-

    해발 8000m의 세계. 그곳은 죽음의 지대라 불린다. 산소가 지상의 ⅓로 한걸음 내딛으려면 두세 번은 숨을 몰아쉬어야 한다. 1953년 낭가파르바트(8126m)를 단독 초등한 “헤르만 불"은 하산이 늦어져 8000m 지점에서 벼랑에 기대어 밤을 새고 난 뒤, 28...
    Date2021.01.04 ByValley_News
    Read More
  15. 계곡 물소리에 온전히 나를씻고 Millard Canyon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한국에 한창 유행 중인 레저 문화 중에 "글램핑"이 있다. 글래머러스(Glamorous)와 캠핑(Camping)의 합성어로, 일반적인 캠핑에 필요한 침낭, 텐트, 매트리스, 조리 기구 등을 구입하지 않고, 무겁게 운반할 필요 없이, 자연 속으로 가지 않고도 도심 가까운 ...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16. 강과 계곡의 조화가 주는 즐거움 Bridge to Nowhere-East Fork

    강과 계곡의 조화가 주는 즐거움 Bridge to Nowhere-East Fork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여기 한 사람이 있다. 인류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길고 험한 길을 혼자서 끝에서 다른 한쪽 끝까지, 살기위해 걸었다. 프랑스의 걷기운동가 베르나르 올리비에. 터키...
    Date2018.09.07 ByValley_News
    Read More
  17. Strawberry Peak -<밸리산악회> 김찬호-

    최근 넷플릭스에서 시청한 히말라야에 관한 다큐멘터리에서 에베레스트 상업 등반의 심각한 현실이 조금은 충격적이었다. 4~5월 하계 등반이 시작되면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는 수백 개의 텐트가 생겨나 하나의 타운을 이룬다. 전 세계에서 온 수백 명의 등...
    Date2022.12.01 ByValley_News
    Read More
  18. Santa anita Canyon, Hoegees Camp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엘리자벳 홀리. 히말라야 등반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그 주인공이 2018년 1월 네팔 카트만두에서 9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전세계 산악계에서 “살아있는 사료보관소” “산악계...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19. Sanjacinto Peak -<밸리산악회> 김찬호 대원-

    출 생 시 탯줄이 목을 감아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되면서 뇌성마비와 전신마비를 갖게 된 '릭 호이트' . 병원에서는 보호시설에 보내야 한다고 했지만, 아버지‘릭 호이트'는 아빠와 눈 맞추던 아기의 초롱한 눈빛을 보고 집에서 키우기로 결...
    Date2023.06.29 ByValley_News
    Read More
  20. San Gorgonio Dry Lake -<밸리산악회>김찬호-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중...
    Date2022.06.02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