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1월 3일에 치러지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관련 뉴스가 쏟아집니다만, 기사를 읽다 보면 조금은 생소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선거인단, 우편투표, 투표억압 같은 것들이죠.

   한국과 똑같은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미국 선거제도는 약간 독특한 면이 있습니다. 한국과는 조금 다른 미국의 선거제도를 허프포스트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① 선거인단 (Electoral College)

② 우편투표 (Mail-in Voting)

③ 투표억압 (Voter Suppression)

   선거인단(Electoral College) : 

   유권자들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 게 아니라고? 

   미국의 대통령선거는 일종의 간접선거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독재정권의 체육관 선거...를 떠올리시면 곤란합니다. 미국 유권자들이 선거일에 투표소에 가서 지지 후보를 찍는 것을 일반투표(popular vote)라고 합니다. 여기까지는 한국에서 투표를 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죠.

   그런데 미국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당사자는 바로 선거인단(electoral college)입니다. 50개주와 워싱턴DC를 대표하는 선거인단들이 투표를 해서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겁니다.

   엄밀히 말하면 유권자들은 대통령-부통령 후보에게 직접 표를 주는 게 아니라 ‘저는 ㅇㅇ당의 대통령-부통령 후보를 찍겠습니다!’라고 약속한 이 지역의 선거인단에게 표를 주는 겁니다. 이렇게 선출된 선거인단은 나중에 주별로 따로 만나서 자신이 찍겠다고 약속한 후보에게 표를 주게 되죠.   

   이때 흥미로운 점은 메인주와 네브래스카주를 뺀 나머지 지역에서는 승자독식(Winner-take-all)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는 부분입니다. 승자독식이 뭐냐고요? 1표 차이로 이기건 1만 표 차이로 이기건, 이기기만 하면‘장땡’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민주당 후보와 공화당 후보가 캘리포니아주에서 각각 51%와 49%를 얻었다면, 캘리포니아주에 배정된 선거인단(55명)의 표는 모두 민주당 후보에게 갑니다. 공화당 후보가 득표한 49%는 아무리 아까워도 사표가 되는 셈이죠.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전체 득표수(일반투표, 기억하시죠?)는 훨씬 많은데 선거인단에서 밀려서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벌어집니다. 2016년의 사례가 그렇습니다

   당시 힐러리 클린턴(민주당) 후보는 전국적으로 286만표를 더 얻었지만 주요 경합 지역에서 패배해 그 지역의 선거인단을 몽땅 도널드 트럼프(공화당) 후보에게 내줘야 했습니다. 결과는 선거인단 306명 대 232명, 클린턴의 패배였죠. 

승자독식 제도는 경합주(Swing States)의 중요성을 키운 요인이기도 합니다.

   잠깐, 경합주가 뭔데?

   경합주는 한 마디로 부동층이 많은 지역입니다. 한국으로 치면 수도권이 이와 비슷합니다. 영어로는‘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 또는 ‘배틀그라운드 스테이트(Battleground State)’라고 하며,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게 아니라 선거 때마다 다른 정당 후보에게 표를 주는 주를 뜻합니다. 

   대다수 주가 선거인단 승자독식 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특정 정당이 우세한 주에서는 굳이 힘을 들여서 선거운동을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과반 득표가 거의 확실한 주라면 어차피 그 주의 선거인단을 독차지할 게 뻔하니까요. (반대로 뭘 어떻게 해도 과반 득표가 불가능해보이면 그 주의 선거인단은 어차피 한 명도 가져오지 못할 테니 포기하게 되겠죠.)

   반면 특정 지지정당이 없는 주에서는 얘기가 조금 달라집니다. 특정 정당에 쏠리는 현상이 없으니 후보들은 열띤 선거운동을 벌이게 됩니다.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높이려면 그 주에서 한 표라도 더 얻어서 그 주에 걸려있는 선거인단을 몽땅 가져와야 하니까요.

   경합주는 선거 때마다 조금씩 바뀝니다. 인구 구성 변화 등에 따라 점점 공화당 쪽으로 돌아서거나(레드 스테이트) 민주당 쪽으로 쏠리는 주(블루 스테이트)가 생기면 더 이상 경합주로 분류하지 않죠.

   2020년 대선의 경우, 보통 플로리다,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이 ‘빅4’ 경합주로 꼽힙니다. 그밖에도 애리조나, 노스캐롤라이나 등도 경합주로 분류됩니다.

   대선 승리를 위한‘매직넘버’ 270 

   미국 대선을 다루는 언론보도에서‘매직넘버’가 어쩌니 저쩌니 하는 얘기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매직넘버도 미국 대선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매직넘버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선거인단 얘기로 돌아가보죠.

   선거인단은 연방 상원의원(2명 x 50개주 = 100명)과 하원의원(435명)의 의석수를 합한 것에 워싱턴DC 몫 3명을 더해 총 538명으로 구성됩니다.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이 중 과반인 270명 이상의 선거인단을 확보해야 하고요. ‘매직넘버’라는 별칭은 270이 대선 승리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숫자라는 뜻에서 붙었습니다.

   선거인단은 모든 주에 기본적으로 2명(상원의원 의석수)이 배정되고, 나머지는 (하원 의석수 분배와 마찬가지로) 인구에 따라 배분됩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은 선거인단(55명)이 배정되어 있고, 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텍사스주에는 38명의 선거인단이 있습니다. 인구가 적은 알래스카나 델라웨어주 같은 곳에는 3명씩만 배정되어 있고요. 물론 정기 인구조사에서 인구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선거인단수도 달라지게 되죠.

   선거인단 숫자를 기준으로 미국 지도를 다시 그려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캘리포니아주 크기가...) 

1920px-ElectoralCollege2020.svg.png

 

   그냥 국민들이 직접 뽑으면 안 됨...? 

   미국 선거인단 제도는 복잡한 데다가 언뜻 비민주적으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국민들의 의사가 제대로 대표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이 제도에도 나름의 역사적 배경이 있습니다. 선거인단 제도가 만들어진 배경을 이해하려면 미국 건국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영국에서 독립한 직후, ‘미국 건국 멤버’인 13개주 대표들은 필라델피아에 모여서 회의를 합니다. 헌법도 만들고, 정부를 어떻게 만들 건지 논의했죠. (1787년 필라델피아 제헌회의)

   대통령을 어떻게 뽑을 것인지도 논의 주제 중 하나였습니다. 이 때 크게 두 가지 의견이 대립했습니다.

   의회가 대통령을 뽑게 하자! 

   반론 : 의회를 어떻게 믿어? 정치인들이 뒷거래를 하면 누가 책임질 건데?! 그리고 그건 민주주의가 아님. 언데모크라틱!

   대통령은 국민들이 뽑아야지! 

   반론 : 후보들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도 쉽지 않을 텐데 국민들이 잘 선택할 수 있을까? 그냥 같은 고향 사람을 찍어줄지도 모르고... 

   선거인단 제도는 일종의 절충안으로 나온 방안입니다. 간접선거와 직접선거의 요소를 섞은 거죠.

   그동안 선거인단 제도를 고쳐보자는 논의가 없었던 건 아니지만, 지금까지 크게 바뀌지 않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이 제도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단순 다수 득표로 당선자를 결정하면 인구가 많은 주가 선거를 좌지우지하게 될 거다!′ 

   높은 자율권을 갖는 여러 주(州)가 모여서 미국이라는 하나의 나라를 이루고 있는 만큼(aka. 연방주의), 각 주의 권리를 보호하고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예를 들어 인구가 가장 많은 캘리포니아주(3900만명)와 가장 적은 와이오밍주(57만명)를 비교해보죠. 캘리포니아의 인구는 와이오밍주보다 70배나 더 많지만 선거인단수는 18배 밖에 차이가 안 납니다.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좀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어쩌면 이런 방식이 ‘미국식 민주주의’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선거인단이 자기 마음대로 투표하는 경우도 있다던데?

   대선 결과는 유권자들의 투표(일반투표) 결과가 집계되는 순간 이미 확정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각 주의 선거인단이 나중에 따로 모여서 투표로 대통령을 뽑기는 하지만, 일반투표 결과에 따라서 표를 던지는 의례적 절차일 뿐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선거인단이 다른 마음을 먹는 경우도 드물지만 종종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고 미리 약속했는데, 막상 선거인단 투표를 할 때는 공화당 후보에게 표를 주는 거죠. 

   이런 일이 그리 흔하지는 않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선거인단은 (후보자와 마찬가지로) 각 정당에 의해 선정됩니다. 그 정당의 당원인 경우도 많고요. 예를 들어 민주당에 의해 지명됐고, 민주당 후보 지지자들에게서 표를 받은 선거인단이 공화당 후보에게 표를 준다는 건 쉽게 상상하기 어렵겠죠?

   그런데도 가끔 이런 일이 벌어지긴 합니다. ‘신의 없는 선거인(Faithless elector)’이라는 용어가 바로 이런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중요한 건, 그동안 신의 없는 선거인이 선거 결과를 뒤집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는 점입니다.

   30개주에서는 아예 법으로 이런 ‘배신’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무효표로 처리하거나 선거인을 교체해버리는 거죠. 

   참고로 미국에서 대선이 58번 치러지는 동안 총 165명이 약속했던 것과 다른 후보에게 표를 던졌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전체 선거인단 투표수가 2만3000표가 넘는다고 하니, 그만큼 드물었다는 뜻입니다.<*>

** 출처 허프포스트


  1. 조나단 김 씨, 알바트로스(Double Eagle)의 영예

    지난 11월 16일 놀우드 컨트리클럽에서 밸리에 거주하는 조나단 김 씨가 16번 에서 알바트로스(Double Eagle)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알 바트로스는 PGA 프로도 일생에 한 번 할까 말까 한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함께 경기를 펼친 테드 김 씨와 유만선 ...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2. <유희자 국악, 무용연구소> 김치 데이 행사 초청 연주

    <유희자 국악, 무용연구소>는 Buena Park에 위치한 Source Mall에서 11월 21일(토)에 열린 김치 데이 행사에서 멋진 공연을 펼쳤다. 유희자(가야금), 김지형(단소와 소금), 김성희(장고) 씨가 꾸민 무대에서는 민요인 아리랑, 도라지, 야월 삼경, 창부 타령과...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COVID-19의 장기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구호 기금 마련

    지역 주민 여러분께, 2020년 한해는 정말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순식간에, 혹은 더디게 흘러간 한해였습니다. 1년 전처럼 북적거리는 연말을 보낼 수는 없겠지만, 각자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소소한 행복을 찾으려 노력하며 ‘뉴 노멀 시대’를 맞을...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4. 미국 대선 선거제도의 모든 것

    11월 3일에 치러지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관련 뉴스가 쏟아집니다만, 기사를 읽다 보면 조금은 생소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선거인단, 우편투표, 투표억압 같은 것들이죠. 한국과 똑같은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미국 선거제도는 약간 독특한 면이 있습...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5. <밸리대한노인회>밸리 지역 노인들을 위한 나눔 행사 성황리에 마쳐

    <밸리대한노인회>(회장 김용)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을 겪고 있는 밸리 지역 노인들을 위해 지난 10월 17일 (토요일) 나눔 행사를 개최하였다. LA시로부터 기금을 받아 치러진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진행되었는데 ...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6. <샌퍼난도밸리한인회>최병성장로후원 독거노인에게 사랑의 나눔실천

    <샌퍼난도밸리 한인회>(회장 이종구)는 지난 10월 1일 추석을 맞이하여 샌퍼난도밸리 지역의 독거노인에게 사랑의 나눔을 실천하였다. 이번 나눔은 최병성(Winston Choe) 장로의 후원으로 진행되었으며, 채스워스 노인 아파트 80명, 콜롬버스 노인 아파트 30...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7. No Image

    가주 실업수당 사기 EDD 데빗 카드 지급동결

    캘리포니아주는 실업 수당 사기로 의심되는 35만개의 실업 수당 데빗 카드를 동결시켰다. EDD는 한 주소로 복수의 실업 수당 신청이 이뤄진 케이스 등 의혹을 불러일으키는 실업 수당 청구 케이스들을 중점으로 총 35만개의 EDD 데빗 카드를 동결시켰다고 밝...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8. No Image

    지역사회 홈리스 문제 해결방안

    지역 주민 여러분께, 요즘 공원 근처나, 길거리에서 생활하는 노숙자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LA시 노숙자 서비스국(LAHSA)의 집계에 따르면 LA 카운티의 노숙자 수는 6만6,433명, LA시는 4만 1,290명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12.7%, 16%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9. No Image

    ‘코로나 안전 업소’ 인증서 발급해준다

    LA카운티가 비즈니스 업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안전 수칙 준수 인증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LA 카운티공공보건국(CDPH)은 지난달 10일부터 지역 비즈니스 업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안전 프로토콜을 교육한 뒤, 이수한 곳에인증서를 발급한다고 밝혔다. ...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0. No Image

    LAX 무인 공항열차 ‘피블 무버’ 공사 착착

    LA 국제공항(LAX) 시설 현대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고 있는 무인 공항열차‘피플 무버(People Mover)’공사가 첫 구간의 콘크리트 공사를 마치는 등 착착 진행되고 있다. 오는 2023년에 완공될 LAX 피플 무버 공항열차는 총 2.25마일 길이에...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1. No Image

    캘리포니아 드림 위기 산불에 고물가로 갈수록 생활 팍팍

    캘리포니아 드림이 위기를 맞고 있다. 쾌적한 날씨와 좋은 주거 여건으로 상징되는 캘리포니아 드림이 코로나19 확산 사태에다 최악의 산불 대란까지 겹치며 흔들리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WP는 이날 캘리포니아의 실상을 다룬 특집 기사에서...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2. No Image

    “한인 권익 신장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_ 존 이 LA시 12지구 시의원

    지역 주민 여러분께, 오는 11월 3일에는 대통령과 일부 주요 선출직을 뽑는 중요한 선거가 있습니다. 연방하원 39지구 영 김 후보, 48지구 미셸 박 스틸 후보, 캘리포니아주 상원 37지구 데이브 민 후보, 68지구 최석호 의원, LA시 10지구 그레이스 유 후보 ...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3. No Image

    김영숙 사범, 세계무술고수총연맹 <올해를 빛낸 10인>으로 선정돼

    김영숙 사범(월드 태권도장)이 세계무술고수총연맹(총재 권호열)이 선정한 <올해를 빛낸 10인>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차지했다. 권오열 총재는“2018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전 세계의 무술 9단 이상 고수들을 대상으로 실력과 덕망을 겸...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4. No Image

    <밸리대한노인회> 밸리 지역 노인들을 위한 나눔 행사

    <밸리대한노인회>(회장 김용)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을 겪고 있는 밸리 지역 노인들을 위해 나눔 행사를 한다. LA시로부터 기금을 받아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10월 17일(토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이며 안전을 기하기 위해 D...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5. <유희자 국악 무용 연구소> 유스 한국 문화 클럽(YKCC) 봉사 활동

    지난 8월 2일 <유스 한국 문화 클럽>(Youth Korean Culture Club)(원장 유희자) 줌(zoom)을 통하여 새 임원진 모임을 화상으로 가졌다. 밸리에 위치해 있는 <유희자 국악 무용 연구소>는 문하생중 중 고등 학생을 중심으로 2013년에 결성되어 지난 7년간 LA C...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16. No Image

    2020년 센서스 인구조사에 지역 사회의 응답 촉구

    지난 8월 24일 - 전국의 중국, 필리핀, 일본, 한국 그리고 베트남계 지도자들은 모두 동참하여, 아직 인구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가구를 대상으로 2020년 센서스 인구조사에 참여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하였다. 지역사회 지도자들은 8월 24일...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17. No Image

    2차 현금지원 1차때와 동일 확실, 성년자녀 확대 가능성

    코로나 구호 패키지에서 2차 현금지원은 1차 때와 같은 사람들에게 1200달러씩 8월말에는 지급될 것으로 확실시 되고 있을 뿐 아니라 1차 때 제외됐던 성년 부양자녀들까지 포함되는 확대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반면 연방실업수당은 연말까지 연장하되 주당 6...
    Date2020.07.25 ByValley_News
    Read More
  18. 존 이 시의원 스몰 비즈니스 구제 프로그램 관련 기자회견

    지난 4월부터 비영리 단체인 '더 채인지 리액션'(The Change Reaction)의 후원을 받아 진행 중이었던 무이자 대출 프로그램, 'Small Business Relief Program'이 LA시의 다른 지역구로 확대된다. 존 이 시의원은 지난 14일 노스리지에 위치한...
    Date2020.07.25 ByValley_News
    Read More
  19. No Image

    코로나특집-7월호

    <주점·네일살롱 등 모든 업종 오픈 거리두기·마스크 착용 스킨케어, 와이너리도> ‘자택 대기령’ 완화 조치에도 영업제한이 풀리지 않았던 LA 카운티의 주점과 네일 살롱, 스킨케어 업소 등이 영업 오픈이 허용됐다. 영업 금지가 시...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20. No Image

    코로나특집 -6월호

    <가주, 리테일 매장 영업 허용>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지난 18일 주내 지역별 경제활동 재개 기준을 대폭 완화하면서 조만간 일발소와 미용실 등 대면 접촉 서비스 업소들과 무 관중 스포츠 행사 등에 대해서도 재개를 허용할 방침을 밝혔다. 뉴섬 주...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
{ 커뮤니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