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1세기를 들어오면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있다면 그 단어는 아마도 지구촌이라는 단어일 것입니다. 이 단어는 커뮤니케이션 학자였던 마샬 맥루한 (Herbert Marshall Mcluhan)이 그의 책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라는 책에서 지구촌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 이유는 산업과 정보와 통신과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이전과 같이 친척과 부족으로만 구성된 기본 단위의 촌락사회가 아니라 그 촌락이 전 지구로 확장되어 온 인류가 쉽게 왕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세상으로 마치 세계인이 한 마을처럼 됐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러고 보면 오늘날, 이 지구촌 사회를 이미도 많은 사람들은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에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때에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학습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런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서로 오해하며 잘못 받아들일 때가 빈번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특별히 한인 이민자로 타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한인 1세와 2세의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물론 언어의 장벽으로 갈등과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시적 관점을 넘어 거시적 관점으로 보게 되면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자라며 교육을 받으며 생활하면서  사고방식과 행동의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네덜란드의 사회심리학자 헤이르트 호프스테더 (Geert Hofstede)는 40개의 국가를 대상으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해서 연구 했습니다. 그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북아메리카 혹은 유럽의 서양의 국가들은 개인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동남아시아 혹은 아시아 쪽의 동양의 국가들은 집단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데이터가 분석이 되었습니다. 이런 문화의 차이를 두고 미시간 대학교 심리학과 석좌 교수인 리처드 니스벳은 그의 책 "생각의 지도"에서 동양과 서양의 생각의 차이를 분석했습니다. 서양인은 사물을 바라볼 때 개체를 독립적인 맥락 속에서 보고 이해하는 반면에 동양인은 사물을 바라볼 때 개체를 관계적 맥락 속에서 바라보며 이해한다 라고 연구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예를 들어 2008년도에 EBS 다큐멘터리에서 방영된 <동과 서>에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동양인과 서양인에게‘원숭이’,‘판다’,‘바나나’라는 단어를 제시하며 두 개를 묶어보라고 한 것이었습니다. 놀랍게도 실험 속에서 동양인 그룹과 서양인 그룹이 서로 다르게 반응하게 됨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 서양인은 원숭이와 판다로 묶었고 동양인은 원숭이와 바나나로 묶었습니다. 그 이유는 서양인은 개체를 독립적으로 바라봐 동물들로 묶었다면 동양인은 개체를 관계적으로 바라보며 원숭이가 바나나를 좋아하기 때문에 묶었다라고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서양인과 동양인의 생각의 차이가 다름을 보여줍니다.

   이런 관점 속에서, 서양문화와 동양문화에서 느끼는 수치심의 작용 또한 다름을 보여 줍니다. 명예와 수치 문화 안에서 사역이라는 책을 쓴 제이슨 조지스 (Jayson Georges)에 따르면 그는 서양과 동양에서 수치심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수치심은 개인의 내면적인 감정에 집중되어 더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입니다. 동양의 수치심은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평가와 공동체의 평판에 기인하는 공공적이고 공통적이다.”그런 서양인은 수치심을 느낄 때 개체와 속성을 독립적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개인의 내면적인 감정에 집중됨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양인은 관계적인 측면 속에서 수치심을 느낄 때 순환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때문에 동양인은 어떤 사건이 있을 때 서양인보다 훨씬 더 많은 인간관계를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수치심을 느낄 때 관계적 맥락 속에서 해석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양인은 개체를 분리해서 독립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개인이 수치심을 느끼면 한 개인의 존재에서 머무르게 되지만 동양인은 한 개인이 수치심을 느낄 때 자신의 존재뿐만 아니라 나의 가족, 친구, 친척, 회사 등등 나와 연결된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일까 하는 걱정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어떤 한 개인이 불명예를 느끼거나 수치를 느낄 때 자신의 수치의 파급효과를 감당하지 못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를 쉽사리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동양 문화권인 한국문화가 느끼는 수치심의 무게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관계적 맥락 속에서 많은 인간관계를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우리는“우리"라는 단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나, 너라는 단어보다 우리 아빠, 우리 엄마, 우리 회사, 우리 집이라는 단어에 익숙하며 많이 사용합니다. 더 나아가 한국인이 갖는 의식구조 속에서 체면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그런 체면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비추어지는 한 개인의 평가를 말합니다. 그만큼 한국문화가 관계적 측면 속에서 사회가 형성되고 집단적인 성격이 강함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동, 서양의 사고방식을 통한 수치심의 이해가 나에게 주는 유익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내가 살아가고 있는 문화 속에서 나를 포함해 나와 함께 사람에 대한 이해와 수치심에 대한 대처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 않음을 보게 됩니다.

 

참고자료:

Jayson Georges and Mark D. Baker, Ministering in Honor-Shame Cultures: Bibl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Essentials, (Downer Grove, IL: IVP Academic, 2016), 119-20.

Kim, Seokin. “Minimizing the Effects of Shame in Korean American Churches.” DMin diss., Biola University, 2021.

Romina Da Costa and Anne M. Spear, “Beyond the Standard: Geert Hofstede’s Widely Influential Cultural Dimensions Framework Has Some Limitations,” TD Magazine, January 31, 2020.

Richard Nisbett,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 and Why, Published April 5th 2004 by Free Press.

 

  1. ‘호감’(likable)과‘사랑’(loving)의 차이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이제 다음 달이면 벌써 성탄의 계절이 다가오네요. 사랑으로 행복하고 따스한 시간 되시기를 소망합니다. 이 사랑의 계절에 여러분들과 함께 ‘호감(likable) VS 사랑(loving)’의 차이에 대한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호감과 사랑’은...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2. 배가 아프지 않아 행복합니다!-<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박재희의 <3분 고전>에 송나라 때(960-1279) 학자 ‘정이’의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정이’는 누구나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불행일 수 있다며 인간의 세 가지 불행을 지적합니다. 인용하면, 첫 번째 불행은“소...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3. 지는 해, 떠오르는 해 - <밸리 주하나교회> 오정택목사

    얼마 전 벤추라에 있는 바닷가에서 하늘을 붉게 물들인 석양을 보았습니다. 저무는 한 해의 길목에서 석양을 바라보니 참 아름답고 마음은 뭉클했습니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이렇게 저무는구나... 석양을 보고 돌아오는 길은 어두웠지만 내일이면 또 다시 ...
    Date2020.01.08 ByValley_News
    Read More
  4. 고난의 디딤돌-<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

    2-3개월이면 끝날 줄 알았던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몸과 마음이 지쳐가고 경제적 어려움은 더 커져가고 있습니다. 코로나뿐만이 아니라 육신의 질고, 정신적인 불안, 경제적인 곤궁, 관계의 불화, 신앙의 문제 등등 고난을 대할 때 그 이유를 파악하기...
    Date2020.07.25 ByValley_News
    Read More
  5. 동양문화와 서양문화는 수치심을 어떻게 느낄까요?-<나성북부교회>김석인 목사 -

    21세기를 들어오면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있다면 그 단어는 아마도 지구촌이라는 단어일 것입니다. 이 단어는 커뮤니케이션 학자였던 마샬 맥루한 (Herbert Marshall Mcluhan)이 그의 책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라는 책에서 지구촌이라는 단어...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6. 행복한 관계의 비결: 서로 사랑, 서로 복종-<은혜와평강교회>곽덕근 목사-

    구두쇠로 소문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식당에서 밥을 한 그릇만 시켰다. 그런데 할아버지가 식사를 하는 동안 할머니는 옆에서 물끄러미 구경만 하고 있었다. 이상하게 여긴 주인이 물었다. "할머니는 왜 식사 안 하세요" "응, 영감이 다 먹으면 틀니 빌려서 ...
    Date2021.05.25 ByValley_News
    Read More
  7. ‘팬데믹 바쁜 일상 속에 성경적 기도 생활하는 방법’-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밸리코리언뉴스’애독자 여러분들께 예수님이 하늘의 평안과 구원의 은혜 주시기를 원합니다! 일 년 넘게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터널을 지나며, 더욱 정금같이 정련되어 아름다운 신앙으로 나아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그런 반면, 거품이 ...
    Date2021.04.28 ByValley_News
    Read More
  8. 좋은 선택 - <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

    경제 정상화 속도가 빨라져서 L. A. 카운티는 7. 4(독립기념일)를 경제 재가동의 D-day로 정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경제와 건강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동이 자유롭고 경제 재가동이 되면 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9. 평안히 주무시고 계십니까? (시편 3:1-8)-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1. 요즘 구독자 여러분들의 잠자리는 어떠십니까? 평안히 잘 주무시고 계시는지요? 시편 3편의 말씀을 보면, 하나님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힘들고 어려운 상황 속에 있을지라도 평온함 속에 잠자리에 들게 된다고 기록합니다. “내가 누워 자고 깨었으니 ...
    Date2020.07.25 ByValley_News
    Read More
  10. 교회는 공공의 적인가? - <만남의교회> 이정현 목사 -

    요사이 한국에서는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국가적인 위기의식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일부 보수기독교 단체와 S 교회가 전염병 확산의 중심에 있다는 것이 새삼 놀랍고 부끄러울 뿐입니다. 저는 지난 2월 코로나19 확산의 진원지로 신천지가 공개되...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11. 기도의 자리로 부르시는 여호와 -<웨스트힐장로교회> 오명찬 목사-

    1. 사랑하는 <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의 그 가정과 일터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평안이 임하기를 축복 드립니다. 2. 목회자들에게 월요일은 고단하고 지친 몸에 잠시 쉼을 줄 수 있는 감사한 날입니다. 3. 지난 토요일도 주일 설교 준비로, 한...
    Date2020.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2. 수치심의 시작, 성경 이야기-<나성북부교회>김석인 목사 -

    지금까지 우리는 한 개인이 수치심에 사로잡히게 될 때 그것이 가져다주는 고통이 얼마나 큰지 살펴보았습니다. 여기에 성경은 아주 일찍이 수치심의 시작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곳은 다름 아닌 창세기입니다. 창세기는 인간이 창조된 후 수치심의 시작을 ...
    Date2022.04.29 ByValley_News
    Read More
  13. 식탁위에 올라온 손... -<사랑의 동산교회>김원기 목사 =

    함께 식사를 한다는 것은 식구라는 의미의 출발입니다. 그래서 식사 자리는 가장 편안하고 즐거운 자리이며, 그날의 식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기대감을 갖게 됩니다. 예수님이 고난을 앞두고 제자들과 함께 식사하는 자리에서 오늘날 교회들이 행하는 성만찬...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14. 시냇가에 옮겨 심기우기 -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

    1. 사랑하는‘밸리코리언뉴스’애독자 여러분, 혹시‘아카시아 (아까시)’ 나무를 기억하십니까? 어렸을 적 우리 동네에 큰 아카시아 나무가 있었습니다. 놀 거리가 적었던 그 당시, 동네 아이들과 아카시아 나무 잎을 하나씩 따서 왼손...
    Date2020.06.24 ByValley_News
    Read More
  15. 성령(엘리에셀)으로 인한 영광- <밸리주하나교회> 이태훈 목사 -

    성경을 읽을 때 저는 큰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많은 상상력을 가지고 더 재밌게 읽으려고 합니다. 구약성경에 많은 이야기들이 있는데,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이야기는 아브라함의 종인 엘리에셀의 이야기입니다. 여기에서 공식이 등장하는...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16. 부흥 - (3) 갈릴리호수 ① - 남성천목사 <제일성결교회>

    [부흥]이란 주제로 말씀을 나누고 있습니다. 지난 3월과 4월에는 부흥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성경의 장소, ‘에덴동산’ 을 통해 부흥에 대한 지혜를 나누었습니다. 5월과 6월에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가나안을 통해 주님께서 말씀...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17. 거리두기 & 거리 좁히기 -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목사-

    1. 코로나19의 먹구름이 걷히고 우리의 일상이 정상화될 때까지, 맑고 밝은 시편(Psalms)의 주옥같은 말씀을‘밸리 코리언 뉴스’구독자들과 함께 나누면서, 어렵고 힘든 이 시간들 가운데 여러분들과 함께 하늘로부터 부어지는 새 힘과 지혜와 능...
    Date2020.04.24 ByValley_News
    Read More
  18. 저기 웃고 있는 사람!-<밸리주하나교회>오정택 목사 -

    코로나 펜데믹으로 보낸 지난 1년은 웃고 즐거운 시간이기보다는 우울하고 답답한 시간이었다. 절망에 빠진 수많은 사람들, 심지어는 갑작스런 질고와 죽음으로 이별을 하고 슬퍼해야 했던 이웃들... 마스크를 쓰고 거리를 두고 엉거주춤한 모습으로 보낸 시...
    Date2021.02.25 ByValley_News
    Read More
  19. 창동 할머니 토스트 -<웨스트힐장로교회>오명찬 담임목사-

    ‘밸리코리언뉴스’ 애독자 여러분들께 하나님의 사랑과 기쁨이 마음에 부어지기를 축복합니다! 얼마 전, 지인이 보라고 보내준 ‘창동 할머니 토스트’라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우연히 보았습니다. 저도 한국에 있을 때 도봉구 창동에...
    Date2021.03.29 ByValley_News
    Read More
  20. 넓혀주시는 여호와 말씀: 시편 4:1-8 - <웨스트힐장로교회> 오명찬 목사 -

    1. 이민자로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를 힘들고 지치게 하는 사람들은 우리와 잘 모르는 멀리 있는 사람들이라기보다 오히려 우리 주변에서 가까이 지내던 사람들일 때가 많습니다. 2. 시편 4 편 6 절 말씀에서도 “여러 사람의 말이 우리에게 선을 ...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