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요즈음의  Seller’s Market에서는 얼마에 Offer 가격을 써내고, Down Payment는 얼마만큼 해야 하는지 결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좋은 위치에 관리가 잘되어 있고 Remodeling이 잘 되어 있어서 바이어의 마음을 끌 만한 좋은 매물이 마켓에 나오면 불과 일주일 안에 수십 개의 오퍼가 들어오는 게 요즈음 현실입니다. 

   당연히 Seller는 다운이 많고 가격이 높은 Offer를 골라서 선택하게 됩니다. 매물도 부족하고 좋은 매물이 제한된 상황에서 자금력이 충분한 바이어는 Over Asking Price에 대한 거부감이 전혀 없습니다. 렌트도 오르고 이미 인플레이션이 마켓에 반영된 것을 감지한 바이어는 그러한 상황에 빠르게 적응해 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바이어가 계약 시 조건으로 제시할 수 있는 몇 가지 기본적인 Contingency 사항들, 예를 들면 Loan Contingency, Appraisal Contingency 들조차도 없애야만 Seller가 Offer를 Accept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Zillow나 Redfin 같은 ONLINE PORTAL이 마켓을 주도하면서 가격 경쟁을 더욱 부추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셀러든 바이어든 ONLINE을 통해서 너무나 신속하고 편리하게 매물 정보와 판매 동향에 접근하다 보니 심리적 압박을 더 받게 되고 그런 경향이 마켓의 흐름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충분한 Down Payment가 있고 자금 여력이 충분하다면 몰라도, Tight 하게 Down Payment를 준비해야 하는 Buyer라면 일정 부분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한 위험 중 하나는 바로 Appraisal Gap입니다. Appraisal Gap은 판매가격과 감정가격 간에 발생한 차액을 의미합니다.

   감정가는 Lender가 지정하는 전문 감정사가 해당 지역의 최근 판매 기록과 해당 주택의 상태를 기초로 해서 적정한 가치를 산정한 가격을 말합니다. 바이어와 셀러 간에 계약한 가격에 합당한 감정가가 나오면 다행이지만, 만약에 너무 높은 가격을 Offer 해서 감정가가 실제 계약된 판매가격보다 낮게 나오면 그 차액만큼 Appraisal Gap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리스팅 가격이 $900,000이었는데 Over Asking으로 결국 판매 계약이 $1,000,000으로 결정된 경우에 만약 Appraisal price가 $920,000으로 나오게 되면 결국 $1,000,000와 $920,000의 차액 $80,000의 Appraisal Gap이 발생하고 Lender는 감정가 기준만큼만 Loan을 해주기 때문에 그 차액 $80,000을 Buyer가 Closing이 현금으로 추가 지불해야 합니다.

   다행히 Down Payment가 충분하고 승인된 수입이 충분하다면 문제가 없지만, Down Payment가 충분하지 않고 수입도 충분하지 않으면 Loan structure를 조정해서 Appraisal Gap을 해결할 방법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요즈음처럼 강한 Seller’s Market에서는 Appraisal Gap으로 인해서 Loan을 진행하다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사전에 예상되는 문제를 잘 검토해서 전략적인 준비를 하지 않으면 설사 원하는 매물을 찾아서 계약했어도 마지막 Funding에 문제가 생겨서 딜이 깨질 수도 있습니다.

   처음 Pre-approve 받고 나서 최종적으로 딜이 Closing 될 때까지 각 중요한 순간마다 어떻게 대처해야 문제없이 Funding과 Closing이 되는지를 미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준비하고 진행하는 게 현명합니다.<*>

   Email: coh@nexamortgage.com

   Website: www.cohmortgageteam.com

주택융자.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9 장기 요양 (1) Long Term Care - 이하정(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6.04
128 장기 요양 (2) Long Term Care - 이하정(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6.04
127 현명한 자녀교육과 대학 입시준비 하기 (1) - 이하정(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6.05
126 현명한 자녀교육과 대학 입시준비 하기 (2) - 이하정(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6.13
125 나의 생명보험과 은퇴투자플랜의 분석과 점검 - 이하정 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7.12
124 안전하고 유익한 연금플랜 알아보기 - 이하정 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19.09.06
123 비상금의 중요성 - 이하정 재정설계사 - Valley_News 2020.04.09
122 후회 없는 재정관리와 건강한 삶 - 이하정 재정설계사 - Valley_News 2020.06.24
121 인생을 행복하고 멋지게 살 수 있는 공식 -이하정 재정설계사 - Valley_News 2020.06.24
120 원금을 보장받으면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까? <김혜린APIISCo Financial Group> Valley_News 2020.08.25
119 자산/유산 상속 계획에 대한 6가지 잘못된 상식- <헤르멘스 법률 그룹>준심 변호사 Valley_News 2020.10.02
118 황금의 은퇴 기간을 위한 2가지 조건들 -이하정 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20.10.02
117 주택구입, 사업 투자, 재정 비상, 은퇴 보조수입 - <APIISCo Financial Group> 김혜린수석 부사장- Valley_News 2020.10.02
116 유언장 -준 심 <헤르멘스 법률 그룹> 한인 담당 변호사- Valley_News 2020.10.31
115 생명보험을 이용한 은퇴자금 준비 방법 -이하정 재정설계사- Valley_News 2020.10.31
114 은퇴자금관리 Q & A -김혜린 <APIISCo Financial Group> 수석 부사장- Valley_News 2020.10.31
113 유산 상속 계획이 잘못되었거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헤르멘스 법률 그룹> 한인 담당 변호사 준 심- Valley_News 2020.11.23
112 자산 사용 장기간호보험 - <APIISCo Financial Group> 수석 부사장 김혜린- Valley_News 2020.11.23
111 품격 있는 노후와 투자 이야기 -이하정 재정설계사 - Valley_News 2020.11.23
110 유산상속이나 신탁재산에 대한 법적 분쟁을 막는 4가지 방법 -<헤르멘스 법률 그룹>준심 변호사- Valley_News 2021.01.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