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랫동안 선풍기를 밤새 틀고 자면 호흡기, 피부 건강이 나빠지고 소화 불량을 겪을 수 있다. 밀폐된 공간에서 선풍기를 틀고 자면 죽는다는 건 낭설이다. 이제 믿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말이 생겨난 배경은 있다. 밤새 선풍기를 틀고 자는 습관은 건강에 나쁘기 때문이다.

   ◇호흡기 알레르기

   밤새 선풍기를 틀고 자면 호흡기 질환이 생기거나 악화할 수 있다. 선풍기 바람은 상대적으로 차고 건조하다. 낮 동안 실외 온도에 적응했다가 밤새 선풍기 바람에 노출되면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면역력이 떨어진다. 이런 상태에서 선풍기 바람을 타고 실내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목이 붓는 것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겪을 수 있다. 애초에 호흡기가 안 좋았거나 천식를 앓던 사람은 급성 호흡곤란까지 겪을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잦은 환기와 함께 타이머를 맞추고 회전 모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 평소 방에 먼지가 없도록 관리하는 건 기본이다.

   ◇피부 건조

   건조한 바람이 피부에 좋을 리 없다. 선풍기 바람은 호흡기와 비슷한 방식으로 피부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일단 선풍기 바람을 쐬면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 자체의 수분을 빼앗긴다. 수분 대신 유분이 많아지면 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이때 선풍기 바람을 타고 미세먼지 등 실내 오염물질이 피부에 도달한다. 입자가 작은 것들은 모낭을 침투한 뒤 피부 내부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피부장벽이 손상돼 가려움증과 건조증을 겪을 수 있다. 아토피를 앓던 사람은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악화하기도 한다. 아침에 일어났는데 전과 달리 피부가 뻣뻣하고 당기는 것 같다면 선풍기를 의심해볼 수 있다.

   ◇소화 불량

   선풍기 바람으로는 저체온증을 겪을 수 없다. 심부온도인 직장 체온이 35도 미만으로 떨어지려면 7도 이하의 환경에 장기간 노출돼야 한다. 선풍기는 물론 에어컨도 만들어낼 수 없는 온도다. 다만 피부, 근육 등의 온도는 낮출 수 있다. 우리 몸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류량이 줄어들어 장기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위는 특히 외부환경에 취약하다. 복부가 차가운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면 혈류량이 줄어들어 위의 운동 기능이 저하되고 소화효소 분비량이 줄어들 수 있다. 선풍기를 틀더라도 복부에는 이불을 덮어줘야 하는 까닭이다.<*>

선풍기.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3 우유랑 같이 먹으면 독이 되는 의외의 음식 5가지 file Valley_News 2024.06.04
192 ‘면역의 핵심’ 장 건강 지키는 6가지 수칙 file Valley_News 2024.06.04
191 피로감 높이는 체내 독소… ‘이것’ 먹으면 몸 가뿐 file Valley_News 2024.06.04
190 고혈압·빈혈 있는 사람에게 좋은 톳 file Valley_News 2024.01.29
189 "샤워 중 소변보기" 물 절약 효과? Valley_News 2022.12.30
188 운동 끝난 뒤 ‘스트레칭’의 놀라운 효과 file Valley_News 2023.01.30
187 살 찐 반려동물… 다이어트 시키는 법 file Valley_News 2023.11.06
186 충분한 휴식으로 감기, 코비드 퇴치하기 file Valley_News 2023.01.30
185 암세포 증식, 성장 유발하는 못된 단백질 찾았다 file Valley_News 2022.12.30
184 근력 부족하다면, 집에서‘이것’만 해도 근육 생겨 Valley_News 2023.01.30
183 자꾸 단 음식이 생각난다? 단백질 부족 신호 Valley_News 2022.09.27
182 혈액 순환 돕고 염증 낮추는 음식 file Valley_News 2023.01.30
181 팥죽… 다이어트에도 도움된다고? file Valley_News 2023.12.29
180 나이드니 더 간지러운 피부, '이것' 바꿔보세요 file Valley_News 2023.12.29
179 올여름 유독 지친다면 '이 음료' 마셔보세요 file Valley_News 2022.08.02
178 잠잠했던 감기 돌아왔다… 콜록·훌쩍 늘어난 이유 file Valley_News 2022.10.31
177 일 년 내내 면역력 높이는 음식 11가지 file Valley_News 2022.09.27
176 하루에도 수 시간 몸에 닿는 유해균 덩어리? file Valley_News 2023.04.26
175 아침에 일어났는데 너무 피곤하다면? 잠자기 전 수면을 망치는 습관 Valley_News 2022.12.01
174 암에 걸린다고? 휴대폰‘보관 금지’ 8곳 file Valley_News 2023.01.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