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폐암:  사망률 1위 폐암은 증상이 거의 없어 매우 위험한 암이다. 어느 정도 진행한 후에도 감기 비슷한 기침과 가래 외 큰 이상이 안 보인다. 따라서 진단이 매우 어렵다. 진행되면 피 섞인 가래 혹은 객혈, 숨이 찬 느낌, 가슴 통증, 쉰 목소리 등이 나타난다. 학교 급식소, 식당 등에서 장기간 요리연기에 시달린 여성도 저선량 흉부 CT 검진을 받는 게 좋다. 폐암 예방은 먼저 금연이다. 간접흡연도 피해야 한다.

   ◆ 간암: 간은 아파도 증상이 없는‘침묵의 장기’다. 암이 진행되면 오른쪽 윗배의 통증이나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 복부 팽만감, 체중 감소, 심한 피로감, 소화불량 등이 나타난다. 간경변증 환자에게 간암이 발생하면 갑자기 황달이 심해지기도 한다. 예방을 위해 B형 간염 바이러스 예방접종을 아직 안 한 사람은 꼭 해야 한다. 물론 음주도 조심해야 한다. 간이 나쁜 사람은 커피를 하루 3잔 정도 마시는 게 간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 대장암: 대장암도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 상당히 진행되면 변을 보기 힘들어지거나 횟수가 바뀌는 등 변화가 있다. 배변 후 변이 남은 듯 불편한 느낌, 선홍색이나 검 붉은색·끈적한 변을 본다. 예전보다 가늘어진 변이 나올 수 있다. 복통, 복부 팽만도 있다. 만 50세 이상은 1년마다 대변검사을 하도록 하고 이상이 나타나면 대장 내시경을 하는 것이 좋다. 예방을 위해 식사의 총 칼로리를 줄이고 채소, 과일 등 식이섬유를 많이 먹는 게 좋다. 오래 앉아 있지 말고 몸을 자주 움직여야 한다.

   ◆ 위암: 속 쓰림, 소화불량 등의 기미가 있지만 지나치기 쉽다. 조기 위암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암이 진행되면 상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식욕부진, 체중 감소,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만 40세 이상은 2년마다 위 내시경을 받아 관리하는 것이 좋다. 사망률 4위의 암이다. 예방을 위해 짠 음식과 흡연을 피하고 백합과 채소(파, 마늘, 양파 등), 신선한 과일을 자주 먹는 게 좋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 억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췌장암: 췌장은 복부 깊숙한 곳에 있어 증상을 알기 어렵다. 복통, 체중 감소, 황달 등이 나타나면 꽤 진행된 경우다. 통증은 가슴골 명치 부위가 가장 흔하나, 좌우상하 복부 어느 곳에든 올 수 있다. 허리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암이 생기면 당뇨가 생기거나 당뇨가 악화된다. 예방을 위해 금연이 필수이고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피하고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먹는 것이 좋다. 당뇨나 만성 췌장염을 지닌 사람은 꾸준히 치료를 받아 위험 요소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진행되면 통증 없는 멍울이 만져진다. 유방뿐 아니라 겨드랑이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다.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오거나 잘 낫지 않는 습진이 생길 수 있다.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유방 자가 검진에 신경 쓰고 금연과 절주,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유전성이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 알맞은 대처법을 찾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진단.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76 속 더부룩할 때 무·매실·양배추를 먹어야 하는 이유 file Valley_News 2020.02.22
75 셀룰라이트 고민이라면 운동·마사지 이렇게 하자 file Valley_News 2022.04.29
74 선크림 필수 자외선은 마스크도 흐린 날도 뚫는다 file Valley_News 2022.09.02
73 생활용품은 매일 청결 유지신경 써야 Valley_News 2023.03.29
72 생으로 먹는 채소 vs 익혀 먹는 채소 file Valley_News 2022.03.03
71 상하는 순간 '1급 발암물질' 생긴다는 이 음식 file Valley_News 2024.05.01
70 빼기 어려운 뱃살 내장지방 빼는 법 4가지 Valley_News 2020.11.23
69 봄을 맞아 겨울동안 몸속에 쌓인 독소 배출을 촉진하는 5가지 방법 Valley_News 2019.06.04
68 뱃살 빼주는 영양소 5가지 Valley_News 2021.12.01
67 백설탕 대신 벌꿀·흑설탕? ‘설탕’오해와 진실 file Valley_News 2022.02.01
66 밥에‘이것’ 한 숟가락만 넣어도… 암 예방 효과 커집니다 file Valley_News 2024.05.01
65 밤에‘이 상태’로 자는 습관… 당뇨병 위험 높인다 file Valley_News 2024.05.01
64 밤새 선풍기 틀어놓으면 몸에서 벌어지는 일 file Valley_News 2022.08.02
63 발꿈치 각질 관리 이렇게 하세요 Valley_News 2024.04.03
62 발 건강 관리법 Valley_News 2019.06.04
61 물 부족은 만병의 근원 Valley_News 2021.06.23
60 묵은 지방 빼는 새콤한 레몬 물 file Valley_News 2024.01.29
59 무조건 비싼 선크림이 정말 좋은 걸까? file Valley_News 2023.07.28
58 몸에 좋은 유익균 키우는 식품 file Valley_News 2022.10.31
57 몸에 안 좋은 음식 Top 10, 몸에 좋은 음식 Top 10 file Valley_News 2023.04.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