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등산 중 종종 마주치는 사람들이 있다. 산을 가볍고 빠르게 달려가는 사람들. 걷기에도 힘들고 버거운 산을 힘차게 뛰어가는 그들을 보면, 왠지 다칠 것 같아 위험해 보이기도 하고 또  한편, 나도 한번 뛰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은연중 들기도 한다. Trail Running 인구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마라톤처럼 잘 포장된 길이 아닌 산길, 둘레길, 해안, 사막 등 자연의 트레일을 달리는 아웃도어 스포츠로 그 수요와 공급은 트레일 문화가 발달한 미국과 유럽을 필두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까지, 폭발적으로 그 외연을 넓혀가고 있는바, 나이 때문에 도전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그 격렬한 활동성에  대한 두려움에 포기해 버리는 게 보통 사람들이라면, 마라토너 이무웅(80세) 씨는 여든을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트레일 러닝을 멈추지 않는다. 젊은 시절 테니스를 즐기던 그가 손가락을 다쳐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자 생각해  낸 것이 달리기였다. 집 근처 학교 운동장에서 연습을 하다가 첫 공식 대회에 참석한 게 1998년 춘천 마라톤대회. 10km 단축 부문을 완주했을 때 그의 나이 56세. 그때부터 그의 험난한 마라톤 여정이 인생 2막의 전부가 되었다. 마라톤  클럽에 가입하여 체계적인 훈련을 받고 60세가 넘어 처음 풀코스를 완주했을 때는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았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 풀코스가 싱겁게 느껴져 100km 울트라 마라톤에 출전하게 되고,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참가하게 된 세계 4대 사막 마라톤대회에서 그랜드슬램(사하라, 고비, 칠레 아타카마, 남극)을 달성하는 등 지금까지 20여 차례 지구촌 극지 마라톤을 섭렵했다. 사막 마라톤은 식량과 침낭, 비상약 등 약 12kg의 배낭을 짊어지고 250km를 6박 7일간 달리는 극한 마라톤이다. 몇 년 전,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250km 산악 마라톤대회에서는 참가자 중 최고령인 그의 완주를 세계 각국의 모든 선수들이 기립박수로 축하해 주는 기쁨을 맛보기도 했다. 그런 그가 코로나19 탓에, 2년 넘게 해외에 나가지 못하고 절치부심하던 차에 드디어 2022년 6월, 유럽 조지아에서 열리는 6박 7일 250km 트레일 러닝대회에 참가를 위해 현지로 출발한다. 그리고, 공식 확인은 거기까지. 그 이후의 후속보도나 근황은 어디서도 찾을 수가 없다. 도전 실패는 더 이상 뉴스거리가 되지 않는 현실이 서글프다. 80세 이무웅 씨. 끝나지 않은 그의 도전에 존경과 함께 안녕을 기원한다.

         

   Missiopn Peak은 샌퍼난도 밸리 지역과 산타클라리타 주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산인데도 엔젤레스포리스트 여타 산들에 비해 높이가 낮고 작으며 지역 확장성의 한계로, 타지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다. 그라나다힐 북쪽 O’Melveny Park에서 오르는 South Routh 와 뉴홀시티 East Canyon에서 오르는 North Routh 가 있다. O’Melveny Park에서 오르는 South Routh 는 주말마다 공원파킹장에는 가벼운 차림의 인근 주민들의 차량으로 가득하다. 밸리 전지역과 멀리 다운타운을 바라보며 걷는 트레일은 왕복 5.5마일로 길지 않으나 거친 급경사로가 있고 공원을 벗어나면 그늘이 없어 더운 날씨 산행은 피하는 게 좋으나 산과 구릉에 야생화와 유채꽃이 제법 남아있는 요즘 아침 산행에는 꽤 인기있는 곳이다. 오늘 산행하는 North Routh는 트레일을 감싼 수령이 오래된 Oak Tree 가득한 시원한 숲과 푸른 초원, 노란 파피꽃, 보라색 야생화가 무더기무더기 발걸음을 잡던 야트막한 구릉 지대가 연달아 이어지며, 청량한 공기, 촉촉한 흙길 등산로가 한국의 야산같이 친근한 정겨움을 안겨준다. 주차장에서 왼쪽 개울을 끼고 들어선 등산로 초입과, 1마일여 가는 동안 4월의 잦은 폭우로 곳곳에 패인 웅덩이, 떨어진 낙석, 뿌리 드러내고 넘어진 고목 등으로, 일부 망가진 등산로가 있으나 산행에 지장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5월 들어 상승한 기온으로, 고산들의 녹은 눈이 돌발 산사태로 이어질 수 있어 아직 많은 등산로가 개방되지 않아 선택지가 많지 않은 현재, 산악회 공식 산행지로 처음 찾은 Mission Peak North Routh는 기대 이상의 만족감으로 다음을 기약하게 한다.<*>

 

산행_1.jpg

 

산행_2.jpg

 

 


  1. San Gorgonio Dry Lake -<밸리산악회>김찬호-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중...
    Date2022.06.02 ByValley_News
    Read More
  2. Mt Pacifico Via Three Points –PCT -<밸리산악회>김 찬 호 -

    위대한 등반가 중에서도 우뚝 서 있는 두 거인이 있다. 살아있는 전설이며 히말라야 8,000m급 14좌 최초 완등자인 이탈리아의 “라인홀트 매스너"와 두 번째 완등자인 폴란드의 "예지 쿠쿠츠카". 라인홀트 매스너는 1970년 낭가파르바트에서 시작, 1986년...
    Date2022.03.31 ByValley_News
    Read More
  3. Hasting Peak -<밸리산악회>김 찬 호 -

    히 말라야 8,000m의 산소농도는 평지의 1/3로 제자리에서 숨 쉬는 것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죽음의 지대라고 불린다. 지금은 장비가 발달하고 등반 루트가 개척되면서 수많은 상업 등반대가 히말라야 등정에 나서지만, 장비가 미비했던 1990년대 이전에...
    Date2022.03.03 ByValley_News
    Read More
  4. Fox Mountain -<밸리산악회> 김찬호-

    팬데믹의 혼란 중에 또 하나의 큰 별이 졌다. 영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산악인 "더그 스콧"이 2020년 12월 79세를 일기로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20세기 등반사에 획을 긋는 모험과 고산 거벽 등반에 평생을 바쳐왔다. 히말라야 8,000m급 14좌 완...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5. 산타모니카 백본트레일-<밸리산악회>김찬호-

    미대륙을 종단하는 3대 장거리 트레일인 서부의 PCT(2650마일), 중부의 AT(2181마일), 동부의 CDT(3100마일)를 모두 완주한 초인적인 6명의 한국인 트리플크라우너. 그들의 후일담을 들어보면 한국에선 경험하지 못한, 미국만의 감동적인 선진 하이킹 문화체험...
    Date2022.01.06 ByValley_News
    Read More
  6. Mt. Pinos -<밸리산악회>김찬호 대원-

    치명적인 사고를 겪고도 다시 산을 오르는, 등산 병에 빠진 이들의 사고회로는 정말 불가사의다. 불굴의 산악인 김홍빈 씨(55세). 1991년 북미 최고봉 맥킨리 등정에 나섰다가 조난을 당하고 죽음 직전에서 구조되나 동상으로 10개 손가락을 모두 잃는다. 귀...
    Date2021.08.26 ByValley_News
    Read More
  7. Mt. Baden Powell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접촉을 꺼리는 분위기 탓에 각종 모임과 실내운동이 제한을 받으면서, 그 대안으로 등산에 초보 입문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음을 산행할 때마다 실감한다. 그러나 의욕적으로 시작은 하였으나 등산 장비와 기본 지식 등의 준...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8. 그 바람 또한 그대로였다 Mt. Waterman -<밸리산악회>김 찬 호 대원-

    살아있는 전설, 이탈리아의 등반가 “라인홀트 메스너"가 1978년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무산소로 등정한 이후, 무산소 여부는 산악인들의 등반을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로 자리매김했다. 고산 등반 최대의 난적인 산소 결핍은 기구를 통해 해결하면 ...
    Date2021.06.23 ByValley_News
    Read More
  9. Colby Canyon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미증유의 코로나 사태로 전 지구인이 힘들어할 때, 친구의 꿈을 이뤄주려고 아름다운 도전에 나선 청년이 있다. 그리스의 울트라마라톤선수 “마리오스 지아누크”(28세). 그는 두바이의 알마르모움 사막횡단 270Km를 완주하고, 남극 150Km 마라톤...
    Date2021.05.25 ByValley_News
    Read More
  10. 고산준령의 웅혼함 Mt, Baldy West Route -<밸리산악회> 김찬호대원-

    해발 8000m의 세계. 그곳은 죽음의 지대라 불린다. 산소가 지상의 ⅓로 한걸음 내딛으려면 두세 번은 숨을 몰아쉬어야 한다. 1953년 낭가파르바트(8126m)를 단독 초등한 “헤르만 불"은 하산이 늦어져 8000m 지점에서 벼랑에 기대어 밤을 새고 난 뒤, 28...
    Date2021.01.04 ByValley_News
    Read More
  11. 깊은 계곡, 푸른 바다, 그리고 비상 Santa Yenez Canyon, Eagle Rock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요절한 가수 김광석의 노래 중에“어느 60대 노부부이야기”가 있다. 정감있는 곡과 애잔한 가사로 듣는 이의 심금을 울리는 명곡이다. 근데 이 노래가사를 뜯어보면 나이 60에 인생이 허무하게 끝나는 것 같아 마음이 언짢았는데, 이 노래의 작곡...
    Date2020.11.23 ByValley_News
    Read More
  12. 바다 안개와 물든 계곡에서 만나는 가을 Mishe Mokwa Trail -김찬호 <밸리산악회>대원 -

    평소 시청률이 꽤 높은 TV 건강프로그램이 어느 날 걷기와 등산을 주제로 방송을 했는데 시청률이 곤두박질쳤단다. 이상했다. 간판프로의 시청률이 바닥을? 하지만 바로 답을 얻었다. 그동안 녹용, 가시오가피, 차가버섯 등 몸에 좋다는 먹거리방송으로 쉽게 ...
    Date2020.10.31 ByValley_News
    Read More
  13. 숲과 암벽의 조화가 만든 운치있는 계곡. Millard Canyon - <밸리산악회>김찬호-

    매년 천여 명의 등반객이 찾는 에베레스트 산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등반 성수기에는 30여 개의 그룹이 5,300m 베이스캠프에서 두 달 정도 머무는 데 그들이 쓰고 버린 각종 식량의 포장지와 플라스틱 물병, 찢어진 텐트와 산소통 같은 등산 장비와 ...
    Date2020.08.25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