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LA에 거주하는 아마추어 산악인 76세의 김명준 씨. 연세대를 졸업 후, 대기업에 근무하다 서른한 살에 미국으로 이민, 갖은 고생 끝에 의류 사업가로 크게 성공한다. 여기까지가 인생 1막이라면 50세가 넘어 시작한 인생 2막은 모험과 도전으로 점철된다. 사업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LA 근교 산을 찾으면서 빠지기 시작한 등산이 차츰 그 반경이 확대된다. 아프리카 킬리만자로부터 시작, 에베레스트 등정을 끝으로 세븐서미츠(7대륙 최고봉 등정)를 완수했고 2003년부터는 북극과 남극 마라톤을 포함해 세계 8대륙의 대표적 마라톤들을 모두 완주했다. 7대륙   최고봉 등정자가 동시에 8대륙 마라톤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것은 그가 세계 최초이다.   

   2006년 10월 세계 기네스 협회로부터 7대륙 최고봉 등정 세계 최고령자 공인기록을 받을 당시, 그의 나이 만 63세였다. 세계 각지를 찾아다니며 고산 등정, 마라톤에 빠져있으면서도 그의 사업체는 잘 운영되고 있고 1남 3녀 자녀들 또한 교수, 의사, 판사 등으로 훌륭히 성장하였으니 성공적인 그의 삶은 얼마나 축복받은 인생일까. 그러나 그가 목숨을 걸고 살아오며 흘린 피와 땀을 안다면 단순히 축복만으로 평하기에는 그의 의지와 내공이 너무 대단하다. -----이상이 2019년 4월 필자의 산행칼럼이다. 

   유서 깊은 제127회 보스턴마라톤대회가 지난 4월17일 열렸다. 100개국 이상에서 온 3만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는데 신청만 하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LA 마라톤과 달리 보스턴 마라톤은 메이저대회에서 인정한 엄격한 기록을 충족해야 출전할 수 있다. 이 대회 연령별 마라톤 80세 이상 부문에서 김명준씨(80세)가  우승한 것이다. 그의 도전과 모험은 그 끝이 어디일까. “도전할 목표가 있는 인생이 아름답다.’ 그의 좌우명이다. 삶의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에 접어든 팔순. 세상 뒷전으로 밀려나는 나이임에도, 여전히 산을 오르고 마라톤을 즐기며 늘 푸른 청춘으로 살아가는 김명준 씨는, 우리의 나태함에 경종을 울리며 세상의 편견을 깨고 있다. 우리의 이웃, 김명준 씨의 안녕을 기원한다.

  Gabrielino Trail은 44.8 마일에 걸쳐 엔젤리스 국유림(Angeles National Forest) 중심부를 통과하는 트레일로 1970년 미국 최초의 NRT( National Recreation Trail) 로 선정된 미국 최고의 트레일 중 하나로 LA 타임즈 선정 남가주 Best 10 하이킹코스로도 꼽히는 곳이다. 동쪽 끝은 Mt  Wilson 트레일 기점인 챈트리플랫 (Chantry Flat)에서 New Comb Pass, Spruce Grove, Red Box, Switch Picnic, Oak Wilde Campground를 거쳐 서쪽 기점인 Altadena의 Windsor Ave 트레일 헤드 파킹랏까지의 제법 긴 트레일인데 도심 속 깊은 숲과 숲을 관통하는 Arroyo Seco 강과 계곡의 경치가 멋진 곳인데 2009년의 대화재인 스테이션 산불로 엔젤리스 국유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때 트레일이 폐쇄되었다가 산림청, 자원 봉사자, REI 등 후원자들의 헌신적인 노력 봉사 덕에 2018년 8월 트레일이 재개방되었다. 총 등반고도 6700 피트의 쉽지 않은 트레일이나 오늘의 목적지인 Oak Wilde Camp장까지는 등반고도 650피트의 아주 평탄한 코스이다. 주차장에서 왼쪽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기술개발연구소 건물인 JPL을 끼고 포장도로를 걸어가는 우리 곁으로 산악자전거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가브리엘리노 트레일 표지판에서 오크와일드 캠프장까지 4.7마일 거리를 확인하고 아로요세코 강을 따라 구불구불하면서도 평탄한 길이 이어진다. 다리를 지나 Lower Brown Mt Rd 가 있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들어서고 2마일 여 지점 Gould Mesa Camp Ground까지  녹음이 짙어지는 숲의 찬 공기를 깊이 호흡하며 발걸음에 속도를 높인다. 스테이션 산불 후 15년, 거의 완벽히 회복된 자연의 회복력에 감탄과 감사의 마음이 미소와 함께 피어 오른다. Gould Mesa Camp장을 지나 삼거리에서 오른쪽 길로 그리고 Nino Picnic Area 지나 직진한다. 3마일 지점에서 만나는 목재 다리 건너 다시 직진한다. 오리나무, 버드나무, 단풍나무, Oak Tree의 숲이 번갈아 이어지고 지난 2, 3월의 폭우로 엄청난 수량의 Arryo Seco 강물이 계곡을 휘저으며 내달린다.    

   등산화를 벗어 맨발로 개울을 건너고 짐검다리를 만들고 돌고 돌아 개울을 건넌 게 여덟 개인지 아홉 개인지 기어코 회원 한 분이 미끄러져 물에 빠지고

말았다. 다행히 사고로 이어지진 않았고 상황을 수습 후, 아쉽지만 발길을 돌리기로 결정한다.<*>

 

산행_1.jpg

 

산행_2.jpg

 


  1. Fox Mountain -<밸리산악회> 김찬호-

    팬데믹의 혼란 중에 또 하나의 큰 별이 졌다. 영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산악인 "더그 스콧"이 2020년 12월 79세를 일기로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20세기 등반사에 획을 긋는 모험과 고산 거벽 등반에 평생을 바쳐왔다. 히말라야 8,000m급 14좌 완...
    Date2022.02.01 ByValley_News
    Read More
  2. 비를 기다리는, 그래서 고마운 숲속 청량함 Tom Sloan Saddle-<밸리산악회>김찬호

    미 서부 태평양 연안 등산로인 PCT(2,663마일), 미국 중서부 5개 주에 걸쳐 록키 산맥을 따라있는 CDT(3,100마일)와 함께 미국 3대 트레일로 꼽히는 장거리 하이킹의 시초인 AT(애팔래치안 트레일 2,181마일, 3,510Km)는 미 동부 14개 주에 걸쳐 애팔래치아산...
    Date2021.10.05 ByValley_News
    Read More
  3. Strawberry Peak -<밸리산악회> 김찬호-

    최근 넷플릭스에서 시청한 히말라야에 관한 다큐멘터리에서 에베레스트 상업 등반의 심각한 현실이 조금은 충격적이었다. 4~5월 하계 등반이 시작되면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는 수백 개의 텐트가 생겨나 하나의 타운을 이룬다. 전 세계에서 온 수백 명의 등...
    Date2022.12.01 ByValley_News
    Read More
  4. 아찔한 능선 위 세상일은 잊고서 Mt. Baldy -<밸리산악회> 김찬호 대원-

    시에라네바다 산맥은 캘리포니아 중부에서 남북으로 400마일에 걸쳐 뻗어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산맥 중 하나다. 요세미티와 세코이야, 킹스캐년 지역을 웨스턴 시에라, 위트니 론파인, 빅파인, 비숖, 맘모스가 있는 지역은 이스턴 시에라라고 부르는데 그 최...
    Date2023.11.07 ByValley_News
    Read More
  5. Sanjacinto Peak -<밸리산악회> 김찬호 대원-

    출 생 시 탯줄이 목을 감아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되면서 뇌성마비와 전신마비를 갖게 된 '릭 호이트' . 병원에서는 보호시설에 보내야 한다고 했지만, 아버지‘릭 호이트'는 아빠와 눈 맞추던 아기의 초롱한 눈빛을 보고 집에서 키우기로 결...
    Date2023.06.29 ByValley_News
    Read More
  6. Inspiration Point -<밸리산악회> 김찬호-

    마라톤을 완주(42.195 km)한다는 건 인간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그 극한의 상황을 장시간 견뎌야 하는 고문에 가까운 종목이기에 풀코스를 완주해본 일반인은 별로 없는 게 사실이다. 한번 산행에 평균 2파운드 체중 감소를 겪는데 마라톤 풀코스 완주 ...
    Date2023.01.30 ByValley_News
    Read More
  7. Mt. Baden Powell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접촉을 꺼리는 분위기 탓에 각종 모임과 실내운동이 제한을 받으면서, 그 대안으로 등산에 초보 입문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음을 산행할 때마다 실감한다. 그러나 의욕적으로 시작은 하였으나 등산 장비와 기본 지식 등의 준...
    Date2021.07.24 ByValley_News
    Read More
  8. 고산준령의 웅혼함 Mt, Baldy West Route -<밸리산악회> 김찬호대원-

    해발 8000m의 세계. 그곳은 죽음의 지대라 불린다. 산소가 지상의 ⅓로 한걸음 내딛으려면 두세 번은 숨을 몰아쉬어야 한다. 1953년 낭가파르바트(8126m)를 단독 초등한 “헤르만 불"은 하산이 늦어져 8000m 지점에서 벼랑에 기대어 밤을 새고 난 뒤, 28...
    Date2021.01.04 ByValley_News
    Read More
  9. San Gorgonio Dry Lake -<밸리산악회>김찬호-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중...
    Date2022.06.02 ByValley_News
    Read More
  10. Mt. Islip Via Crystal Lake -<밸리산익회> 김찬호-

    산악인 또는 모험가들이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가슴 뛰는 곳들이 있다. 히말라야, 알프스, 파타고니아, PCT, 산티아고 순례길 등, 그리고 또 빠지지 않는 의외의 장소가 있다. 알래스카의 데날리 산(Denali. 6,194m) 이다. 많은 이들이 맥킨리 산으로 기억하는...
    Date2022.09.02 ByValley_News
    Read More
  11. Kelly Camp -<밸리산악회> 김찬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웨일즈의 최고봉을 24시간 안에 등정하는, 영국 산악인들의 통과의례, 3 피크 챌린지를 한국의 산하에 반한 영국인 탐험가, 제임스 후퍼가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당일 산행 등정으로 지난해 최초 시도하고 성공하면서 한국산악계에 신...
    Date2022.06.30 ByValley_News
    Read More
  12. Josephin Peak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한국 산악계에 큰 족적을 남긴 박영석 대장(1963~2011). 그의 카리스마와 친화력으로 많은 후배가 그를 따랐고 소위 박영석 사단에 합류하는 것을 열망하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 산악계에 박영석 사단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본인도 2011년 히말라...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13. Hanninger Flats -<밸리산악회> 김찬호 대원-

    뼈암의 일종인 골육종으로 18세에 한쪽 다리를 절단하고도, 농구를 하고 지속적으로 달리기를 하던 청년 “테리 폭스". 어느 날 그는 아무도 생각할 수 없는 엄청난 도전을 결심한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은 캐나다 대륙을 가로지르는 대륙횡단 마라톤...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4. Hasting Peak -<밸리산악회>김 찬 호 -

    히 말라야 8,000m의 산소농도는 평지의 1/3로 제자리에서 숨 쉬는 것만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죽음의 지대라고 불린다. 지금은 장비가 발달하고 등반 루트가 개척되면서 수많은 상업 등반대가 히말라야 등정에 나서지만, 장비가 미비했던 1990년대 이전에...
    Date2022.03.03 ByValley_News
    Read More
  15. MT. Hawkins -<밸리산악회> 김 찬 호 -

    한 남자가 있다. 15세 때 난독증 판정을 받고 학업을 포기하게 된 그는 엘리트 군인을 양성하는 영국 공수 특전단에 지원, 5번의 불합격 끝에 입대에 성공하나 언어장애로 인해 진급할 수 없다는 현실에 낙담, 12년의 군 생활을 정리하고 1997년 제대를 선택한...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16. 비를 기다리는, 그래서 고마운 숲속 청량함 Tom Sloan Saddle-<밸리산악회>김찬호

    미 서부 태평양 연안 등산로인 PCT(2,663마일), 미국 중서부 5개 주에 걸쳐 록키 산맥을 따라있는 CDT(3,100마일)와 함께 미국 3대 트레일로 꼽히는 장거리 하이킹의 시초인 AT(애팔래치안 트레일 2,181마일, 3,510Km)는 미 동부 14개 주에 걸쳐 애팔래치아산...
    Date2021.10.05 ByValley_News
    Read More
  17. Mt, Lukens - <밸리산악회> 김찬호 대원-

    경남 울산 울주군에서 열리는 국제 산악영화제가 있다. 2015년 시작하여 올해까지 7회째 진행되어 해마다 40여 개국 200여 편의 산과 사람, 자연과 환경 관련 다큐, 영화들이 상영되는데 2021년 초청작인 로체(Lhotse)를 우연히 보고 느꼈던 감동이 아직도 생...
    Date2022.12.30 ByValley_News
    Read More
  18. 채널 아일랜드 산타크루즈 - <밸리산악회>김 찬 호 대원-

    섬이 주는 가장 큰 매력은 무엇일까? 번잡한 도심의 일상에서 벗어나 잠시나마 일탈감을 주는 자유로움이 아닐까.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넌다는 것만으로도 해방감을 느끼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소설의 내용은 잊었어도 그 제목은 지금도 강렬히 기억한다. 삶이 ...
    Date2024.05.01 ByValley_News
    Read More
  19. Ontario Peak -<밸리산악회> 김찬호대원-

    오랫동안 이 칼럼을 쓰며 찾아본 산악인, 탐험가 중 유독 마음이 끌리는 한 남자가 있다. 금세기의 걸출한 모험가를 꼽는다면 빠지지 않는 인물, 타고난 방랑가이자 모험가인 ‘우에무라 나오미'가 바로 그다. 1941년 일본에서 태어난 그는 메이지대...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20. Placerita Canyon - <밸리산악회> 김 찬 호 대원-

    설악산 대청봉도 못 오른 채 에베레스트, 북극을 먼저 갔고 그래서 언젠간 겨울 설악산 폭풍 설 속에서 슬리핑백을 뒤집어쓰고 비박을 하고 싶었는데, 그걸 못 한 게 한으로 남았다는 재미있는 비유로 듣는 이들을 즐겁게 했던, 전 대한 산악연맹 회장이자, ...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