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자는 치통이 정확히 어떤 치아에서 발생하는지 알기 어렵다. 각기 다른 말초 부위에서 온 감각 신경이 중추신경계에서 수렴하는 ‘폭주’ 현상 때문이다. 치통에도 단계가 있다. 찬물을 마셨을 때 이가 시리다면 초기라고 볼 수 있다. 만약 찬물을 머금었을 때 통증이 완화된다면 가장 심각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찬물 시림보다 뜨거운 물을 마셨을 때 통증이 더 위험

 

   치아의 구조는 바깥층부터 법랑질, 상아질, 치수로 구성된다. 치수는 단단한 경조직에 싸여 치아의 안쪽에 위치한 연조직으로 세포, 혈관, 신경 조직 등이 들어있다. ‘찬물에 시리다, 씹을 때 아프다, 음식물이 많이 낀다’는 증상을 주로 호소한다면 아직 초기일 가능성이 높다. 충치의 범위가 작고 치아 내의 신경인 치수에 변성이 유발되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치료를 받지 않아 충치가 진행하면 치수에 염증이 발생한다.

   경희대치과병원 보존과 오소람 교수는 “충치가 치수까지 침범하지 않았어도, 상아질의 미세한 통로를 통해 작은 세균이나 세균에서 유래된 부산물이 치수로 이동해 염증을 일으킨다”며 “치수에 심한 염증 및 변성이 일어나면 특징적으로 ‘뜨거운 물에 아프다’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또 “치수에 염증이 급성으로 나타나면 아무 자극이 없이 가만히 있어도 치아가 욱신거리면서 몹시 아프게 되고 찬물을 머금으면 오히려 통증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통증 치아 정확히 못 짚어 “통째로 검사하는 이유”

 

   환자가 치통의 원인 치아를 정확하게 가리키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 째는 치수에 고유 수용성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섬유가 분포하지 않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각기 다른 말초 부위에서 온 감각 신경이 중추신경계에서 수렴하는 ‘폭주’ 현상 때문이다. 환자는 통증이 심하다는 것만 깨닫지 어디서 시작된 건지는 식별하기 어렵다.

   위 어금니가 원인이지만 아래 어금니가 아프다고 하는 환자도 많다. 통증은 위, 아래 또는 바로 인접한 치아 3~4개의 범위에서 통째로 나타난다. 따라서 환자가 통증으로 내원하면 치과에서는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치아의 옆 치아 및 그 치아가 맞닿는 위아래 치아도 함께 검사하게 된다.

 

   ◇“통증 심하다고 반드시 충치도 심한 건 아냐”

 

   치수에 변성이 일어나지 않은 초기 충치라면 치료는 비교적 쉽다. 충치를 제거한 후 치과 재료로 원래 치아 형태로 복구한다. 충치의 범위가 넓거나 충치가 발생한 지 오래돼 치수에 변성이 일어난 경우라면 신경 치료를 시행한다. 이때 작은 어금니와 큰 어금니는 치아 전체를 감싸는 크라운 수복을 해야 한다. 앞니는 치아색 재료인 레진 충전으로 치료를 마무리할 수도 있으며, 치아 부위 손실이 크거나 배열 및 형태를 바로잡고 싶은 경우에는 역시 크라운 수복을 행한다.

   치아 통증의 정도와 충치 질환의 심각성이 반드시 비례하는 건 아니다. 간혹 충치로 인해 치수가 죽어서 치아 뿌리 주변까지 염증이 진행돼 통증을 전혀 느끼지 않는 상태에서 내원하는 환자들도 있다. 오소람 교수는“진통제 복용으로 통증이 줄어든다고 할지라도 예리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찬물에 갑자기 시린 통증을 느낀다면 빨리 치과를 찾아야 한다”며 “특히 치아와 치아 사이에 충치가 생기는 경우 입을 벌리고 거울을 봐서는 충치를 발견하기 어렵고 치과에서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치통.jpg

 


  1. No Image 02Oct
    by Valley_News
    2020/10/02 by Valley_News

    나도 모르게 탈모를 유발하는 나쁜 생활습관

  2. 29Apr
    by Valley_News
    2022/04/29 by Valley_News

    셀룰라이트 고민이라면 운동·마사지 이렇게 하자

  3.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커피, 끊을 수 없다면 이렇게 즐기자… 건강은 챙기고 카페인은 뚝

  4. No Image 01Dec
    by Valley_News
    2021/12/01 by Valley_News

    암세포 씨를 말려버리는 강력한 식품들

  5. No Image 02Nov
    by Valley_News
    2018/11/02 by Valley_News

    고장 난 해독공장 바꿔라, 간이식 수술 각광

  6. No Image 31Oct
    by Valley_News
    2020/10/31 by Valley_News

    코로나19 시대 집에서 운동할 때 가장 쉽게 저지르는 15가지 실수

  7. 06Jan
    by Valley_News
    2022/01/06 by Valley_News

    주름 만드는 나쁜 습관 3가지

  8. No Image 30Nov
    by Valley_News
    2023/11/30 by Valley_News

    토마토 주스 한 컵이 혈액 속 찌꺼기 청소한다

  9. 26Aug
    by Valley_News
    2021/08/26 by Valley_News

    중년들이 먹는 깻잎, 고추

  10. 02Aug
    by Valley_News
    2022/08/02 by Valley_News

    한 번 쓴 수건, 화장실에 걸어두면 위험한 이유

  11. No Image 07Sep
    by Valley_News
    2018/09/07 by Valley_News

    의사·한의사가 검증한 여름 보양법

  12. No Image 02Nov
    by Valley_News
    2018/11/02 by Valley_News

    당신 자녀의 엘러지 유발 음식 아세요?

  13. No Image 02Nov
    by Valley_News
    2018/11/02 by Valley_News

    전자담배, 폐 면역세포 훼손할 수 있다고 영국 연구진 밝혀

  14. 30Jan
    by Valley_News
    2023/01/30 by Valley_News

    “물은 목마를 때 마시면 된다.” 하루 8잔 마시라는 통념 뒤집어

  15. 03Apr
    by Valley_News
    2024/04/03 by Valley_News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데 기름 먹어도 될까?

  16. 01May
    by Valley_News
    2024/05/01 by Valley_News

    상하는 순간 '1급 발암물질' 생긴다는 이 음식

  17. No Image 22Feb
    by Valley_News
    2020/02/22 by Valley_News

    피로 원인 미토콘드리아 과부하 베리류 섭취가 약

  18. 28Apr
    by Valley_News
    2021/04/28 by Valley_News

    체중의 5%만 빼도 나타나는 '건강한' 신체변화 5가지

  19. No Image 29Jun
    by Valley_News
    2023/06/29 by Valley_News

    일단 끊으면 몸에 생기는 변화 총정리!!

  20. No Image 03Jan
    by Valley_News
    2019/01/03 by Valley_News

    겨울철 체온 유지하기 단백질 섭취·명상·심호흡 도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