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에라네바다 산맥은 캘리포니아 중부에서 남북으로 400마일에 걸쳐 뻗어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산맥 중 하나다. 요세미티와 세코이야, 킹스캐년 지역을 웨스턴 시에라, 위트니 론파인, 빅파인, 비숖, 맘모스가 있는 지역은 이스턴 시에라라고 부르는데 그 최고봉이 알래스카 제외 미 본토에서 가장 높은 Mt. Whitney(14,505 Ft. 4421m) 이다. 위트니산을 가기 위한 첫 번째 관문이 입산 허가를 받는 것인데 환경, 자연보호를 위해 하루 입산 허가는 160, 1박 이상 백패킹은 60명이 정원이다. 매년 2월부터 3월까지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는데 Open 하는 순간 전 세계에서 신청이 쇄도하고 순식간에 추첨과 당첨이 결정된다. 수년 전 23일 일정으로 다녀온 필자의 위트니 등정 길은 감동과 고행이 교차한 등반이었지만, 지금 같으면 한층 치열해진 경쟁으로 퍼밋 받기도 그렇거니와 솔직히 고행길에 대한 두려움(왕복 22마일, 등반고도 6,130피트, 최고 난이도)으로 망설여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65세에 등산을 시작하여 66세에 위트니산 첫 등정을 한 이후 90세까지 매년 한 차례씩 총 24번 위트니산을 오른 할머니가 있다.

Grandma Whitney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훌다 크룩스”(Hulda Crooks)가 그 주인공. 그녀는 위트니 산만 오른 게 아니다. 장거리 산행에 불리한 153cm의 단신인 그녀는 시에라네바다의 4,000m가 넘는 97개의 봉우리를 올랐으며 91세에는 일본 최고봉인 후지산(3,995m) 등정까지 거뜬히 마친다. 그녀의 경이적인 도전에 캘리포니아 주의회는 1991년 위트니산 근처의 한 봉우리를 그녀의 이름을 따서 Crooks Peak 로 명명하고 위트니 산자락 한 곳에 그녀의 동상까지 세워 존경과 경의를 표했다. 1997101세로 캘리포니아 로마린다에서 세상을 떠난 훌다크룩스. 미소를 지으며 눈을 감은 그녀의 마지막 모습이 더없이 평화로웠다고 전해진다. “당신이 태어났을 때 당신은 울었지만, 주위 모든 사람은 미소 지었습니다. 당신이 세상을 떠날 때 주위 모든 사람이 울고 있더라도 당신은 미소를 지으십시오.”라고 김수환 추기경님의 말씀이다.

 

210번 프리웨이를 동쪽으로 달리면서 왼쪽을 보면 제법 높은 산들이 연속되는 산줄기가 샌 가브리엘 산맥(San Gabriel Mts)이다. 그중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가, LA 카운티에서 가장 높은, 흔히 마운틴 발디라고 알려져 있는 Mt, San Antonio이다. 발디산은 동서남북 각기 다른 등산 루트가 있는데 어느 코스이든 쉬운 곳은 없다. 그중 East RouteBaldy Bowl의 겨울 설산을 직벽 하이킹하는 전문 산악인들과 스키를 즐기는 스키어들이 이용하는 스키 리프트(사계절 운행, 온라인 예약)를 타고 7,800피트 Baldy Notch에서 내려 정상에 올라 평소 제일 많이 이용하던 사우스루트로 내려와 Manker Flat으로 돌아오는 게 오늘의 산행이다. 멋진 레스토랑이 있는 Baldy Notch에서 리프트를 내려 배낭과 등산화를 조인 후 표지판 방향 북쪽 Devils Backbone Trail 쪽으로 걸음을 내디딘다. 조금 걷다 보면 만나는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간다. 정상까지 3.2마일, 거리는 짧으나 해발고도 9,000~10,000피트에서 마일당 800피트 정도의 경사로는 결코 만만치 않다. 그리고 만나는 Devils Backbone 구간. 좁은 능선길 좌우 양쪽이 아찔하게 함몰된 계곡이 펼쳐져 바람이라도 부는 날이면 정말 조심해야 하는 코스이다. 2마일 정도에서 백본 트레일이 끝나고 정상까지 나무가 없는 지그재그의 가파른 등산로가 이어진다. 그리고 만나는 정상 표지판 위에 발을 올리면, 거친 숨소리와 함께 느끼는, 다른 산들과는 남다른 뿌듯한 성취감을 만끽한다.

 

높이; 10,064피트. 왕복; 8마일. 등반고도; 2,300피트. 난이도; 3(최고 5). 등급; 4(최고 5)

 

 

 

.파킹랏- Ski Lift 분 정도 오르면- Manker Flat- 3마일 지점2삼거리에서 왼쪽- 마일 가면2에서 - Village터널 지나고- 나오면 라이턴- Mt Baldy Dr 첫길에서 라이턴- 에서 내려 커브로 돌고 레프턴; 210(E)- Base Line가는 길

 

산행_발디.jpg

 

 


  1. 능선길의 전망 깊은 숲, 높은 도시, 먼 바다 Mt. Lukens -김 찬 호<밸리산악회> 대원

    1998년 5월 미국 산악인 부부, 프랜시스 아르센티에프와 남편 세르게이는 오랜 꿈이었던 에베레스트 등정에 나섰으나 날씨에 발이 묶여 캠프에서 하늘만 쳐다보길 며칠째, 그러다 5월 22일 그들은 천신만고 끝에 정상에 올랐다. 프랜시스는 미국여성으로서는 ...
    Date2020.01.08 ByValley_News
    Read More
  2. 편안한 등산로 스트로베리픽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실버산업이 갈수록 확장일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시니어 소비지출에서 건강을 위한 가전제품의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마사지 체어, 반신욕기, 승마 운동기 등, 대단히 적극적인 운동 보조기구들로 그만큼 시니어들의 건...
    Date2019.10.24 ByValley_News
    Read More
  3. 신이 빚은 대자연의 빛과 그림자 Zion Canyon. Bryce Canyon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눈앞에 전개되는 아아 황홀한 광경! 어떤 수식이 아니라 가슴이 울렁거리는 것을 어찌할 수 없습니다. 이 광경을 무엇이라 설명해야 옳을지, 발밑에는 천인의 절벽, 확 펼쳐진 눈앞에는 황색, 갈색, 회색, 청색, 주색으로 아롱진 기기괴괴한 봉우리가 ...
    Date2019.07.12 ByValley_News
    Read More
  4. 바람이 전해주는 숲과 호수 이야기 San Gorgonio Dry Lake - 김 찬 호 <밸리산악회>

    에베레스트에는 정상을 향한 등반 루트가 20개가량 된다. 히말라야 고봉들의 전체 등반 루트역시 셀 수 조차 없이 많은 건 당연한데 그 많은 루트 중, 에베레스트 남서벽, 로체 남벽, 안나푸르나 남벽, 이 세 곳이 가장 어려운 3대 난벽이라고 불리운다. 그 ...
    Date2019.06.13 ByValley_News
    Read More
  5. 극한의 길에서 만나는 선계의 길 - Iron Mountain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세계적 명성의 전문 산악인들조차 혀를 내두르는, 모험심 강한 아마추어 산악인이 우리 가까이 있다. LA 에 거주하는 올해 76세의 김명준 씨. 평안남도 안주군 출생의 피난민으로, 연세대를 졸업 후 대기업에 근무하다 서른한 살에...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6. Santa anita Canyon, Hoegees Camp

    김 찬 호 <밸리산악회> 대원 엘리자벳 홀리. 히말라야 등반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그 주인공이 2018년 1월 네팔 카트만두에서 9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전세계 산악계에서 “살아있는 사료보관소” “산악계...
    Date2019.06.04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