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발은 물리적 자극을 많이 받고 수분이 부족해 하얀 각질이 쉽게 일어난다. 특히 발꿈치 각질을 그대로 방치하면, △발꿈치 염좌 △건초염 △발괴사증 △혈관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 관리와 발 건강 유지를 통해 발뒤꿈치 각질을 예방해야 한다. 그렇다면, 발꿈치 각질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많은 사람이 물에 불리거나 버퍼 또는 거친 사포로 갈아내기, 손톱으로 뜯거나 손톱깎이 혹은 칼로 제거하기 등의 방법으로 발에 생긴 각질을 없애고자 한다. 그러나 손톱이나 손톱깎이, 칼, 가위 등을 사용해 각질을 잘라내면 문제가 없는 피부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세균에 감염될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또한 이미 두꺼워진 각질을 무리하게 제거하면 더 두꺼운 각질이 생기고, 이것이 반복되면 발꿈치는 점점 딱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방법으로 발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꿈치 각질을 제거할 때는 한 번에 무리해서 각질을 벗겨내려고 해서는 안 되며, 가볍게 여러 번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각질층이 조금 두꺼운 경우라면 발을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완전히 말린 후 풋 버퍼나 각질 제거기 등 다양한 전용 도구를 이용해 각질을 가볍게 제거한다. 각질 제거 전 알코올 스와프를 사용해 깨끗하게 소독하는 것도 좋다.

   발 각질을 제거한 후에는 발을 보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발 각질을 제거하면 발의 피부가 민감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습 크림을 통해 발의 수분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보습 크림이 없다면 코코넛오일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코코넛오일은 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보호하는데 좋은 보습제이다. 

   평소 틈틈이 풋 케어를 하면 각질층이 두꺼워질 새 없이 매끈한 발을 유지할 수 있다. 보습 관리와 함께 혈액 순환을 돕는 발 마사지도 각질 관리에 도움 된다. 발가락 사이사이 움푹 파인 곳과 발바닥 중간에 움푹 팡니 곳, 복사뼈 주변을 꾹꾹 누르고 발가락 끝부터 발목 바로 위까지 주물러 마사지하면 된다.

   발 각질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신발을 선택해야 한다. 발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꽉 끼는 신발은 각질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발 사이즈에 맞는 크기의 신발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통기성이 있는 신발을 골라야 한다. 통기성이 좋은 신발은 적절한 공기 순환이 가능하여 발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발꿈치 관리.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50 찬바람에 피부 장벽 '바스락', 유산균으로 지키자 Valley_News 2021.01.04
149 찬물보다 뜨거운 물 마셨을 때 치통 있다면 file Valley_News 2023.08.31
148 찌개 끓일 때‘거품’ 걷어내시나요? file Valley_News 2023.03.29
147 중년들이 먹는 깻잎, 고추 file Valley_News 2021.08.26
146 중년 이후 수면은 7시간이 가장 바람직 Valley_News 2022.06.02
145 준비 안 된 산행에 관절 '골골' 콜라겐으로 달래볼까 Valley_News 2022.03.31
144 주름을 만드는 나쁜 습관 Valley_News 2018.09.07
143 주름 만드는 나쁜 습관 3가지 file Valley_News 2022.01.06
142 제철 해산물 바지락 빈혈과 정력에 좋아 file Valley_News 2022.03.31
141 전자담배, 폐 면역세포 훼손할 수 있다고 영국 연구진 밝혀 Valley_News 2018.11.02
140 전신 건강 해치는 치주질환, 생활 속 예방법 3가지 Valley_News 2020.01.27
139 저염식이‘필요한’ 사람 vs 저염식이‘위험한’ 사람 file Valley_News 2019.02.04
138 장시간 앉아서 일하면 뇌 혈류 감소 뇌 건강도 나빠질 수 있다 Valley_News 2018.11.02
137 잠잠했던 감기 돌아왔다… 콜록·훌쩍 늘어난 이유 file Valley_News 2022.10.31
136 잘못 알려진 통증의 오해 Valley_News 2018.09.07
135 자꾸 단 음식이 생각난다? 단백질 부족 신호 Valley_News 2022.09.27
134 자궁 용종 -박해영산부인과원장- Valley_News 2023.02.26
133 입 다물고 코로만 숨 쉬면 기억력 1.5배 좋아지고 알츠하이머 예방에도 도움 된다 Valley_News 2019.01.03
132 일어나자마자 이불 정돈… 피부 건강엔 '독'인 이유 file Valley_News 2024.03.01
131 일상 속‘식초’활용법 file Valley_News 2022.06.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