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의 생각은 씨앗과 같아서 그 종류에 따라서 싹이 나고 꽃이 피어납니다. 비옥한 땅에 심은 씨앗이 튼실한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이, 우리의 마음은 어떤 생각을 심었느냐에 따라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합니다. 

  씨앗을 심고 잘 돌보면, 맛있는 사과를 수확하게 됩니다. 반면 엉겅퀴 씨앗을 심으면, 가시투성이의 엉겅퀴를 얻게 되지요. 우리의 마음도 마찬가지입니다. 긍정적인 사고는 긍정적인 결과를 맺고, 반면 부정적인 사고는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소망하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굳힐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날 때부터 인생행로에 대해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습니다.

  세계적인 철학자 나폴레온 힐(Napoleon Hill, 1883년-1970년)은 버지니아주 남서쪽 산지 마을의 한 칸짜리 통나무집에서 태어났습니다. 얼마나 외딴 곳에 살았던지 열두 살 때 처음 기차를 보았을 정도입니다.

  게다가 그는 여덟 살 때 어머니를 여의었지요.

  나폴레온 힐은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아버지가 새어머니를 데려온 날을 이렇게 회고했습니다.

  “아버지는 친척들 한 분 한 분과 새어머니를 인사시켰다. 내 순서가 되자, 최대한 심술궂게 보이려고 잔득 찡그린 얼굴로 팔짱을 꽉 끼었다. 아버지는 나를 이렇게 소개하셨다.

  이 애가 내 아들 나폴레온이오. 우리 마을 최고의 악동이지. 지금도 무슨 일을 벌일까 궁리하는 중일꺼야.

  그러자 어른들이 모두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하지만 새어머니는 가만히 내 앞에 다가오더니 조용히 바라보셨다. 그리고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잘못 보셨어요. 당신. 나폴레온은 마을 최고의 악동이 아니라, 아직 자기 지혜를 제대로 발휘할 줄 모르는 영리한 소년이란 말이에요.”

  새어머니가 북돋워 준 힘에 용기를 얻어 나폴레온은 갖고 있던 총을 팔아 타자기를 샀습니다. 새어머니한테 타자를 배우면서, 자기 생각을 글로 옮기는 일에 흥미를 갖기 시작한 것입니다.

  나폴레온이 남긴 말 중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사람이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세상에 딱 한 가지밖에 없다. 바로 마음가짐이다.”

  그것은 그 자신의 경험에서 비롯된 말이었습니다.

  ‘나는 악동이다’라는 믿음을‘나는 똑똑하고 큰일을 해낼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꾸었고, 그 결과 위대한 인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는 세계 여러 나라의 왕과 대통령의 자문 역할을 했으며, 성공학 관련 저서를 통해서 수백만 독자들에게 희망과 영감을 불어넣었습니다. 그의 책 <생각하라, 그러면 부자가 되리라>는 지금까지도 베스트셀러로 전 세계에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사고는 긍정적인 결과를 맺고, 부정적인 사고는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난다. 우리가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마음가짐뿐이다.                                                -존 템플턴의 저서 중에서-


  1. <노래의 추억> 험한 세상의 다리가 되어 Bridge Over Troubled Water

    젊은 시절 자주 듣고 흥얼거리던 노래, 특히 힘들 때 위로가 되어주던 노래가 문득 생각날 때가 있다. 그런 노래를 찾아서 다시 들으면 그 시절이 아련하게 떠오르고 주마등처럼 흘러간다. 세월을 거슬러 가는 노래의 힘이다. <사이먼과 가펑클>의 대표적 명...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2. No Image

    <생각의 글> 마음가짐이 인생을 바꾼다. 세계적인 철학자 나폴레온 힐

    우리의 생각은 씨앗과 같아서 그 종류에 따라서 싹이 나고 꽃이 피어납니다. 비옥한 땅에 심은 씨앗이 튼실한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이, 우리의 마음은 어떤 생각을 심었느냐에 따라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합니다. 씨앗을 심고 잘 돌보면, 맛있는 사과...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진용 수필가-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 금언은 내가 젊었던 시절에 내 처지가 힘들고 고달플 때마다 작고하신 어머니가 자주 해 주셨던 말씀이었다. 그때는 거의 모든 집이 도토리 키재기나 마찬가지로 빈곤에 허덕였지만, 우리 집은 유독 더 가난했다...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4. <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크리스틴 장 지음/ 심효섭 그림-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다시 한 번 안아볼 수 있을까? 태어난 지 하루 만에 응급수술을 받으러 들어가는 딸아이를 수술실로 들여보내면서 내가 했던 생각이다. 그 것은 예약된 모든 수술을 미루고 서둘러야 할 만큼 생사가 걸린 수술이었다. 그 딸이 지금 내 ...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5. No Image

    < 시 > 줄넘기 - 고원 시인-

    < 줄넘기 > 하늘과 땅 사이 검은 아이 흰 아이가 왼쪽과 오른쪽 줄 끝을 돌리고 다른 애들 둘이 줄을 넘는다 하나 두울 셋하고 네엣. 아시아와 라티노 애들 차례라 같은 줄을 잡고 훨훨 휘두르면 이번엔 다른 편이 신나는 줄넘기. 다섯 여섯 열하고 스물. 서...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생각의 글>아직도 설렘이 있으신가요? -김희란-

    “연금술사”의 작가 ‘파울로 코엘료’. 큰 회사의 간부로 외형은 꽤 괜찮았지만, 정신병원에 여러 차례 입원, 급진적 성향으로 브라질 군사정권에 의한 수감 및 고문, 불안과 절망의 고비에서 자살 시도 등 젊은 시절의 헝클어진 삶에...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7. <짧은 글 긴 울림>의미 있는 날 -법정 스님의 <무소유> 중에서-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궁색한 빈털털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때 우리는 보다 홀가분한 삶을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8. No Image

    <생활의 지혜> 탈무드가 전하는 삶의 지혜 -자료제공: 이명렬 (수필가)-

    ★…사람에게 하나의 입과 두 개의 귀가 있는 것은 말하기보다 듣기를 두 배로 하라는 뜻이다. ★…결점 없는 친구를 사귀려고 하면 평생 친구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자기 아이에게 육체적 노동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약탈과 강도를 가르...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9. <세어볼 중 몰랐다> 크리스틴 장 지음/ 심효섭 그림

    출근 길, 차 안에서 먹겠다며 빵 3개를 구워 달라기에 바싹 구워서 반으로 잘라 주었더니 그걸 또 일일이 세어보고 왜 한쪽이 모자라냐고 따지는 당신! 그래 내가 한쪽 먹었소. 나를 그리 못 믿으니 나라고 안 먹고 희생할 리 있겠소.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0. No Image

    밸리의 영원한 등불 <밸리코리언뉴스> 창간 38주년 축시

    집념이 이룩한 <밸리코리언뉴스> 38년 고갯길… 메아리치는 희망, 새날의 다짐 앞에 피어난 문화, 교육, 유익한 정보들 길이 후세에 남길 업적… 우리 민족 사랑하는 집념, 땀으로 견뎌 온 긴 항해 많은 열매로 독자들 기쁘게 해주고픈 마음 밝아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1. No Image

    <생각의 글> 내 앞의 문턱을 넘어서기 -<실버시티보험 메디케어> 김희란-

    세계적인 걷기운동가“베르나르 올리비에”가 설립하고 프랑스 정부에서 후원하는“쇠이유(Seuil)” 프로그램이 있다. 소년원에 수감 중인 청소년들이 3개월 동안 산티아고 순례길 800km 포함 총 2,000km를 걸으면 석방을 허가하는 교정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2. 아름다운 사람 -글: 김영애 (이안아트컨설팅 대표) -

    반 고흐를 세계적 화가로 만든 주역 동생 테오와 아내 요한나 봉허 빈센트 반 고흐는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사랑하는 화가다. 그의 비극적 생애가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이들이 예술가는 사후에 비로소 명성을 얻는 존재라고 여긴다. 이건 모두에게 통용되는 ...
    Date2025.03.02 ByValley_News
    Read More
  13. <노래의 추억> 영화 [갈매기의 꿈] 주제가 닐 다이아몬드의 [존재(Be)]

    <존재(Be)> 닐 다이아몬드 작사, 작곡, 노래 잃어버렸어요. 색으로 물든 하늘 위 시인의 눈을 위해 구름이 드리워진 곳에서 그분을 찾아낼지도 몰라요 만약 당신이 찾고 싶다면… 거기, 어느 먼 바닷가 꿈의 날개에 실려간 그곳에서 활짝 열린 문을 통...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14. No Image

    <감동실화> 희생 없는 열매는 없다

    뉴욕 시는 맨해튼(Manhattan), 브루클린(Brooklyn), 퀸스(Queens), 브롱크스(Bronks), 스탠튼(Staten) 등 다섯 개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이중 약 400여 년 전인 1626년, 인디언에게 단돈 24달러를 주고 샀다는 맨해튼 섬은 오늘날 세계 경제의 중심지...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15. 미주 시인의 시- 나 본 듯이 보거라

    <나 본 듯이 보거라> 오문강 (시인) 대문 열고 한 발짝만 나서면 아버지가 심어주신 향나무가 오른쪽에 서 있다. ‘나 본 듯이 보거라’ 바로 옆엔 내가 심은 연산홍이 봄이면 진달래처럼 피어 향나무를 떠받들고 산다 나무를 무척 좋아하시는 아버...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16. No Image

    <좋은 시 감상> 사랑의 멀미를 이 계절엔 -조옥동 시인-

    < 사랑의 멀미를 이 계절엔 > 시인 조옥동 접힌 날개 허우적거리며 낙하하지 않으려던 첫 꿈은 나를 버린 거라고 서러움과 억울함의 땡볕을 피해 그 여름이 춥던 날 나는 솜이불 속에서 멀미를 하였지 눈물을 흘리게 하는 것은 슬픔이나 아픔이 아니었다 베푼...
    Date2024.12.31 ByValley_News
    Read More
  17. No Image

    내가 치매 초기인가 -수필가 이진용 -

    고희가 갓 지나면서 건망증이 잦아졌다. 혈압약과 당뇨약을 복용했는지 긴가민가 할 때가 가끔 있다. 그리고 아침에 잰 체온 수치가 저녁때 쯤 이면 그 도수가 얼마였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얼마전에는 마켓에서 누가 내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를 ...
    Date2024.12.31 ByValley_News
    Read More
  18. No Image

    담백한 맛 -김향미 수필가-

    요즘 텔레비젼 시청을 하다보면 음식에 관한 프로를 자주 접하게 된다. 유명한 요리사가 음식을 만들어 놓고 맛을 보게 한다.‘무슨 맛집’하며 길 찾아 나서서 음식맛을 보고 평을 하기도 한다. 그 모습을 보다가 어느 순간 내 입 안에 침이 고일 ...
    Date2024.12.01 ByValley_News
    Read More
  19. 가난아! 고마워! -글: 법천 선생-

    최근 중국 농촌의 한 가난한 여학생이 가오카오(중국판 수능)에 707점의 최고 득점으로 중국 최고 명문대인 베이징 대학의 입학 통지서를 받았다. 하지만 세간의 이목을 끈 것은 그녀의 고득점이 아닌 그녀가 써 내려간 <가난아, 고마워>라는 한 편의 글이었...
    Date2024.12.01 ByValley_News
    Read More
  20. <노래에 담긴 생각>-한일 대중문화 교류의 바람직한 사례 양희은과 사다 마사시의 <인생의 선물>

    “나란히 앉아서 아무 말 하지 않고 지는 해 함께 바라봐 줄 친구만 있다면 더 이상 다른 건 바랄 게 없어”라는 가사가 인상적인 이 노래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사다 마사시(佐田雅志)가 만든 곡에 양희은이 우리말 가사를 붙여 부른 것으로, 한...
    Date2024.12.0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