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프랭크 시나트라(1915-1990)를 상징하는 대표곡으로 유명한 이 노래는 지금까지도 팝송계에서 불후의 명곡으로 꼽힌다.

  성공한 영화배우이자 가수로 승승장구하던 프랭크 시나트라는 이 노래를 낼 1969년 당시에는 극심한 슬럼프를 겪고 있었다. 이혼과 영화 사업 실패 및 아버지 앤서니 시나트라의 별세 등의 악재가 겹치는 사건들로 인해 연예계를 은퇴하려는 생각까지 하고 있던 때였다. 그의 나이는 이미 노년을 바라보는 54세.

  그런 프랭크 시나트라에게 제3의 전성기를 열어준 것이 바로 이 노래였다.

  크게 히트하면서, 엘비스 프레슬리를 비롯한 수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이 노래의 원곡은 자크 르보(Jacques Revaux)와 질 티보(Gilles Thibault)가 만들고 클로드 프랑수아가 1967년에 발표한 프랑스 노래로 폴 앵카가 영어로 가사를 다시 썼다. 

  폴 앵카는 1967년 프랑스 남부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다가 이 곡을 들었다. 그리고 듣자마자 파리로 날아가 저작권을 협의했다. 폴은 2007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처음 들었을 때 곡은 좋지 않았지만 뭔가 끌리는 게 있었다. 그래서 협상하러 갔고 따로 돈을 주지는 않고 저작권만 작곡가에게 모두 주었다.”

  폴은 뉴욕으로 돌아와서 새벽 한 시에 가사를 쓰기 시작했다. 가사를 쓰면서 자신이 존경하는“프랭크라면 어떻게 말할까?”를 염두에 두고, 그가 자주 사용하는 말들을 떠올리며 썼다. 그리고 멜로디도 살짝 바꾸었다. 뉴욕에는 비가 오고 있었는데 그 느낌으로 인해 영감을 받았다. 

  가사는 죽음을 앞둔 한 남자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지나온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고백을 담고 있다. 원래 가사는 일상적 생활로 인해 사랑이 죽은 결혼생활의 끝을 맞이한 남자의 심경을 노래한 곡으로 폴의 가사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 

  다 쓰고 나자 새벽 5시가 되었고, 폴은 프랭크에게 전화를 걸어 프랭크만을 위한 특별한 곡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곡은 프랭크를 상징하는 곡이 되었지만 정작 프랭크는 이 곡을 지겨워했고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프랭크의 딸 낸시 시나트라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아빠는 이 곡이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노래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싫어했죠. 딱 달라붙어서 벗지 못하는 신발 같이 여겼어요” , 

 

   오리지널 가수이던 클로드 프랑수아는 프랑스에서 인기가수였지만, 어처구니없게도 1978년 3월 11일, 집에서 목욕하다가 깨진 전구를 엉겁결에 만지고 감전사로 39세 한창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My Way       

                              -노래: Frank Sinatra-

 

이제 끝이 가까워오네

난 내 인생의 마지막 장을 마주하고 있네

친구여, 분명히 말해둘 게 있네

내가 확신하는 내 이야기를 들려줄게

난 충만한 인생을 살았고,

갈 수 있는 모든 길을 가보았다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중요한 건

난 나만의 길을 걸었다는 것이네

 

후회라, 몇 번 있었지.

하지만 그렇게 대단한 건 아니었네

나는 내가 했어야할 일을 했고

예외 없이 끝까지 해나갔지

나는 내가 가야 할 길을 그려나갔고

그 길을 신중히 걸어왔다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나의 길을 걸어왔다는 것이네

그래, 그럴 때도 있었지

자네도 물론 알고 있을거야

감당하기 힘든 일들이 있었을 때

그 모든 일들을 겪으며, 의구심이 들기도 했지만

난 결국 해내었지

난 모든 일에 정면으로 맞섰고

당당히 버텨냈지

그리고 나의 길을 걸어갔다네

 

사랑 했고, 웃고 울기도 했다네

충만감도, 상실감도 겪었지

그런데 이제 눈물이 가라앉고 보니

이 모든 게 즐거웠다는 걸 깨달았어

내가 그 모든 걸 해냈다고 생각하니

그리고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지,

부끄러움 하나 없이 말이네

   "오, 아니, 난 아냐

   난 나만의 길로 걸어왔다네“


  1. No Image

    <이 달의 시> 먼 데서 오신 손님 -김동찬-

    부대끼며 가는 이 길에 손님 주인이 따로 있을까. 서울 출신 샘박 씨는 전통 때 한국을 방문했다. 공항에 마중 나온 친구와 곧장 망월동으로 갔다. 아직 공사 중인 비포장 길에 흙먼지가 자욱했고 공사장 인부들은 차량을 한 대씩 들여보냈다. 입구에 꽃 파는 ...
    Date2025.04.30 ByValley_News
    Read More
  2. <짧은 글 긴 여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황충상 (소설가, 동리문학원 원장) 평생을 금빛 말씀으로 후생들을 가르치며 살았음에도 죽음의 잠에 들 때는 한마디도 말한 바가 없다고 한 사람이 있다. 살탈다, 그는 깨달음의 꽃 부처가 되었다. 나는 그를 안다 하고 그의 영향력을 말하려 들면 그는 내 ...
    Date2025.04.30 ByValley_News
    Read More
  3. No Image

    <독자의 시>어버이 날을 맞으며

    <어버이 날을 맞으며> -최 유니스 밸리 거주- 길을 가는 나그네 언제나 처음 가는 길 돌이켜 지우고 싶은 시간들 있어도 결코 앞으로만 가야 한다 어린 시절 너무 고은 붉은 감 이파리 한바구니 가득 담아 간직했으나 며칠 후 누렇게 말라 바스러지고 책 사랑...
    Date2025.04.30 ByValley_News
    Read More
  4. No Image

    <노래의 추억> 프랭크 시나트라의 명곡 <My Way>

    프랭크 시나트라(1915-1990)를 상징하는 대표곡으로 유명한 이 노래는 지금까지도 팝송계에서 불후의 명곡으로 꼽힌다. 성공한 영화배우이자 가수로 승승장구하던 프랭크 시나트라는 이 노래를 낼 1969년 당시에는 극심한 슬럼프를 겪고 있었다. 이혼과 영화 ...
    Date2025.04.30 ByValley_News
    Read More
  5. <노래의 추억> 험한 세상의 다리가 되어 Bridge Over Troubled Water

    젊은 시절 자주 듣고 흥얼거리던 노래, 특히 힘들 때 위로가 되어주던 노래가 문득 생각날 때가 있다. 그런 노래를 찾아서 다시 들으면 그 시절이 아련하게 떠오르고 주마등처럼 흘러간다. 세월을 거슬러 가는 노래의 힘이다. <사이먼과 가펑클>의 대표적 명...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6. No Image

    <생각의 글> 마음가짐이 인생을 바꾼다. 세계적인 철학자 나폴레온 힐

    우리의 생각은 씨앗과 같아서 그 종류에 따라서 싹이 나고 꽃이 피어납니다. 비옥한 땅에 심은 씨앗이 튼실한 열매를 맺는 것과 같이, 우리의 마음은 어떤 생각을 심었느냐에 따라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합니다. 씨앗을 심고 잘 돌보면, 맛있는 사과...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7. No Image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진용 수필가-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이 금언은 내가 젊었던 시절에 내 처지가 힘들고 고달플 때마다 작고하신 어머니가 자주 해 주셨던 말씀이었다. 그때는 거의 모든 집이 도토리 키재기나 마찬가지로 빈곤에 허덕였지만, 우리 집은 유독 더 가난했다...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8. <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크리스틴 장 지음/ 심효섭 그림-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다시 한 번 안아볼 수 있을까? 태어난 지 하루 만에 응급수술을 받으러 들어가는 딸아이를 수술실로 들여보내면서 내가 했던 생각이다. 그 것은 예약된 모든 수술을 미루고 서둘러야 할 만큼 생사가 걸린 수술이었다. 그 딸이 지금 내 ...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9. No Image

    < 시 > 줄넘기 - 고원 시인-

    < 줄넘기 > 하늘과 땅 사이 검은 아이 흰 아이가 왼쪽과 오른쪽 줄 끝을 돌리고 다른 애들 둘이 줄을 넘는다 하나 두울 셋하고 네엣. 아시아와 라티노 애들 차례라 같은 줄을 잡고 훨훨 휘두르면 이번엔 다른 편이 신나는 줄넘기. 다섯 여섯 열하고 스물. 서...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10. No Image

    <생각의 글>아직도 설렘이 있으신가요? -김희란-

    “연금술사”의 작가 ‘파울로 코엘료’. 큰 회사의 간부로 외형은 꽤 괜찮았지만, 정신병원에 여러 차례 입원, 급진적 성향으로 브라질 군사정권에 의한 수감 및 고문, 불안과 절망의 고비에서 자살 시도 등 젊은 시절의 헝클어진 삶에...
    Date2025.03.31 ByValley_News
    Read More
  11. <짧은 글 긴 울림>의미 있는 날 -법정 스님의 <무소유> 중에서-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궁색한 빈털털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때 우리는 보다 홀가분한 삶을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2. No Image

    <생활의 지혜> 탈무드가 전하는 삶의 지혜 -자료제공: 이명렬 (수필가)-

    ★…사람에게 하나의 입과 두 개의 귀가 있는 것은 말하기보다 듣기를 두 배로 하라는 뜻이다. ★…결점 없는 친구를 사귀려고 하면 평생 친구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자기 아이에게 육체적 노동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약탈과 강도를 가르...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3. <세어볼 중 몰랐다> 크리스틴 장 지음/ 심효섭 그림

    출근 길, 차 안에서 먹겠다며 빵 3개를 구워 달라기에 바싹 구워서 반으로 잘라 주었더니 그걸 또 일일이 세어보고 왜 한쪽이 모자라냐고 따지는 당신! 그래 내가 한쪽 먹었소. 나를 그리 못 믿으니 나라고 안 먹고 희생할 리 있겠소.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4. No Image

    밸리의 영원한 등불 <밸리코리언뉴스> 창간 38주년 축시

    집념이 이룩한 <밸리코리언뉴스> 38년 고갯길… 메아리치는 희망, 새날의 다짐 앞에 피어난 문화, 교육, 유익한 정보들 길이 후세에 남길 업적… 우리 민족 사랑하는 집념, 땀으로 견뎌 온 긴 항해 많은 열매로 독자들 기쁘게 해주고픈 마음 밝아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5. No Image

    <생각의 글> 내 앞의 문턱을 넘어서기 -<실버시티보험 메디케어> 김희란-

    세계적인 걷기운동가“베르나르 올리비에”가 설립하고 프랑스 정부에서 후원하는“쇠이유(Seuil)” 프로그램이 있다. 소년원에 수감 중인 청소년들이 3개월 동안 산티아고 순례길 800km 포함 총 2,000km를 걸으면 석방을 허가하는 교정 ...
    Date2025.03.04 ByValley_News
    Read More
  16. 아름다운 사람 -글: 김영애 (이안아트컨설팅 대표) -

    반 고흐를 세계적 화가로 만든 주역 동생 테오와 아내 요한나 봉허 빈센트 반 고흐는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사랑하는 화가다. 그의 비극적 생애가 널리 알려지면서, 많은 이들이 예술가는 사후에 비로소 명성을 얻는 존재라고 여긴다. 이건 모두에게 통용되는 ...
    Date2025.03.02 ByValley_News
    Read More
  17. <노래의 추억> 영화 [갈매기의 꿈] 주제가 닐 다이아몬드의 [존재(Be)]

    <존재(Be)> 닐 다이아몬드 작사, 작곡, 노래 잃어버렸어요. 색으로 물든 하늘 위 시인의 눈을 위해 구름이 드리워진 곳에서 그분을 찾아낼지도 몰라요 만약 당신이 찾고 싶다면… 거기, 어느 먼 바닷가 꿈의 날개에 실려간 그곳에서 활짝 열린 문을 통...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18. No Image

    <감동실화> 희생 없는 열매는 없다

    뉴욕 시는 맨해튼(Manhattan), 브루클린(Brooklyn), 퀸스(Queens), 브롱크스(Bronks), 스탠튼(Staten) 등 다섯 개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이중 약 400여 년 전인 1626년, 인디언에게 단돈 24달러를 주고 샀다는 맨해튼 섬은 오늘날 세계 경제의 중심지...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19. 미주 시인의 시- 나 본 듯이 보거라

    <나 본 듯이 보거라> 오문강 (시인) 대문 열고 한 발짝만 나서면 아버지가 심어주신 향나무가 오른쪽에 서 있다. ‘나 본 듯이 보거라’ 바로 옆엔 내가 심은 연산홍이 봄이면 진달래처럼 피어 향나무를 떠받들고 산다 나무를 무척 좋아하시는 아버...
    Date2025.01.31 ByValley_News
    Read More
  20. No Image

    <좋은 시 감상> 사랑의 멀미를 이 계절엔 -조옥동 시인-

    < 사랑의 멀미를 이 계절엔 > 시인 조옥동 접힌 날개 허우적거리며 낙하하지 않으려던 첫 꿈은 나를 버린 거라고 서러움과 억울함의 땡볕을 피해 그 여름이 춥던 날 나는 솜이불 속에서 멀미를 하였지 눈물을 흘리게 하는 것은 슬픔이나 아픔이 아니었다 베푼...
    Date2024.12.3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