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주 오래전의 일이다. 내가 처음 미국에 와서 새로 생긴 한인 신문사에서 일할 때였으니까 아주 옛날 일이다. 

  그때, 내가 일하던 신문사는 큰 길가에 있었다. 그 동네에는 건들거리는 흑인들이 많았고, 조심하지 않으면 큰 코 다친다는 친절한 가르침을 무수히 들었었다. 

  미국 온지 얼마 안 돼 어리버리하는 나는 잔뜩 겁에 질려 긴장하고 있었다. 흑인만 보면 금방이라도 달려들 것 같은 강박관념에 시달리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의 일이었다.

  마감시간에 쫓겨 기사를 쓴답시고 낑낑거리고 있는데, 커다란 흑인 한 명이 사무실로 불쑥 들어왔다. 무척이나 우락부락 험상궂은 녀석이었다. 물론 잔뜩 긴장하였다. 놈이 권총이라도 꺼내면 어쩌나…. 마침 다른 직원들은 점심 먹으러들 나가고, 사무실에는 두세 명밖에 없었으므로 더욱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가뜩이나 작은 몸을 더 작게 잔뜩 옹크리고 눈알만 재빨리 굴렸다.

  헌데! 녀석은 희번덕하는 눈길로 주위를 휘이 둘러보더니, 느닷없이 씨익 웃었다. 새까만 얼굴에 새하얀 이빨만이 커다랗게 번득였다. 그리고는 체구에 걸맞지 않는 소프라노로 소리쳤다.

 “춘자야, 연탄 갈아라!

  나, 똥투천 쿠멍탄, 이히히힛…

  안녕 끼시오!” 

  그리고는 부끄러움 타는 국민학생처럼 서둘러 나가버렸다. 그것 참, 어안이 벙벙했다. 

  제 딴에는 한글간판을 보는 순간 반갑고, 한국에 두고 온 애인 춘자 생각이 나서 들어온 모양이었다.

  어쨌거나 “춘자야, 연탄 갈아라!”는 대히트였다. “안녕 끼시오”는 더욱 재미있었다. 그 녀석이 한 말 모두가 한편의 시(詩)라는 엉뚱한 생각이 들 지경이었다. 안녕 끼시요라니! 끼긴 뭘 껴?

  그 날은 참 요상한 날이었다.

  한참을 지나니, 이번에는 노랑머리 파랑눈의 풋내기가 한 명 들어왔다. 갓 스물이나 되었을까 말까 한 애숭이었다. 어쩌면 고등학생 같기도 했다. 엿장수 목판 같은 것을 하나 메고 있었다.

  놈은 유창한 우리말로 “안녕하십니까?”라고 깍듯이 인사를 하더니,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우리의 소원은 똥일, 꾸메도 소원은 똥일, 이 모쑴 빠쪄서 또옹일…”

  발음은 라면발처럼 꼬부랑꼬부랑했지만, 어쨌거나 아주 진지한 소원을 담아 2절까지 엄숙하게 불렀다. 마치 자기의 진정한 소원이 한반도 통일이라는 듯한 독립투사 같은 비장한 얼굴이었다.

  그리고는 목판을 활짝 열더니 땅콩을 팔기 시작했다. 심하게 표현하자면, 한국 버스 간의 앵벌이 소년이나 똑같은 풍경인 셈이다.

  까짓것, 꽤 비싸기는 했지만 사줬다. ‘이놈아, 똥일이 아니고 통일이다, 통일, 토오옹이일’ 그렇게 투덜거리며 사줬다.

  자기는 “달(MOON)선생네 똥일교에서 나왔노라”고 했다. 그렇게 땅콩을 팔러다니면 통일이 되느냐고 물었더니, 자기는 그렇게 믿는다고 자신있게 대답했다. 그러면 통일과 땅콩이 도대체 무슨 관계냐고 물었더니, 그런 건 어려워서 잘 모르겠노라고 어깨를 으쓱하고 만다.

  허허, 세상 참… 무심코 땅콩 껍질을 까보았더니 얄궂게도 한반도 형상인데, 아래 위로 땅콩알이 하나씩 붉은 껍질을 뒤집어쓰고 앉아 있었다. 아하, 과연 통일과 땅콩은 밀접한 관계가 있구나 그런 초현실적인 깨달음이 들었다. 참으로 묘한 느낌이었다.

  그날 연이어 일어났던 두 가지 자그마한 일을 오래도록 기억한다. 그리고 자꾸 되씹게 된다. 거기서 나는, 흑인이라고 무조건 겁먹지 말 일이며, 백인이라고 공연히 주눅 들지 말라는 땅콩알 만한 교훈을 얻어냈다. 

  그 교훈은 그 이후 이 미국이라는 바람 찬 벌판에서 황량한 삶을 헤쳐가는 동안 내게는 제법 큰 힘이 되었다.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그토록 자랑하여 마지않는 우리 배달겨레가 이 황당스러운 인종의 용광로 속에서 현명하게 살아가는 길은 과연 무엇일까를 곰곰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문제는 근거 없는 고정관념이다. 걸핏하면, 억울하게 인종차별을 당한다고 투덜대는 우리가 거침없이 그리고 당연한 듯이 사용하는 낱말들… 깜둥이, 깜씨, 연탄, 멕짱, 짱깨, 짱골라, 쪽발이, 왜놈, 양키… 춘자가 연탄 갈 듯 우리의 고정관념부터 시원하게 갈아엎어야겠다는 생각…

  “춘자야, 연탄 갈아라! 안녕 끼시욧, 이히히힛!!” <*>


  1. <짧은 소설> 춘자야, 연탄 갈아라!

    아주 오래전의 일이다. 내가 처음 미국에 와서 새로 생긴 한인 신문사에서 일할 때였으니까 아주 옛날 일이다. 그때, 내가 일하던 신문사는 큰 길가에 있었다. 그 동네에는 건들거리는 흑인들이 많았고, 조심하지 않으면 큰 코 다친다는 친절한 가르침을 무수...
    Date2024.06.04 ByValley_News
    Read More
  2. 통일을 염원하는 시(詩)

    <편집자의 말> 6월이 되면 저도 모르게 한국전쟁의 기억과 통일을 떠올리게 됩니다. 제가 삼팔따라지의 자식이라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한반도는 아직도 전쟁이 끝나지 않은 휴전상태인데다가, 세계 여기저기서 전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라서 ...
    Date2024.06.04 ByValley_News
    Read More
  3. 가정의 행복을 위해서…

    <편집자의 말> 5월은 <가정의 달>, 사랑과 감사의 달입니다. 5월에는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부의 날, 성년의 날, 스승의 날 등 가정과 관련한 날들이 있고, 무엇보다도 어머니의 큰 사랑과 은혜에 감사하는 어머니날이 있습니다. 한편, 5월15일은 유엔이 정한...
    Date2024.05.01 ByValley_News
    Read More
  4. 아들의 죄를 대신 갚은 아버지

    <편집자의 말> “왜 이민 왔느냐?”라는 질문에 가장 많은 대답은‘자녀 교육을 위해서’일 것입니다. 하지만… 자녀 교육이 희망처럼 그렇게 쉽게 되는 것은 아니지요. 이민가정의 자녀교육 이야기를 모으면 엄청난 책이 될 겁니...
    Date2024.04.03 ByValley_News
    Read More
  5. 아이들은 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성장한다. -손흥민 선수의 아버지 손웅정 감독 어록-

    <편집자의 말> 손흥민 선수는 더 설명이 필요 없는 대한민국의 자랑입니다. 그 뒤에는 탁월한‘축구 홈스쿨링’으로 오늘날의 손흥민을 키워낸 아버지 손웅정 SON 축구아카데미 감독이 있습니다. 손흥민은“나의 축구는 온전히 아버지의 작품&...
    Date2024.03.01 ByValley_News
    Read More
  6. 따스한 위로의 말 -자료 정리: 장소현 (시인, 극작가-)

    <광화문글판>은 서울 광화문광장 부근의 교보생명 사옥에 내걸린 대형 글판이다. 1991년부터 시작되었고 매년 계절마다 총 네 차례씩 문구를 변경한다. 윤동주, 고은, 정호승, 도종환, 김용택, 공자, 헤르만 헤세 등 동서양의 현인과 시인들의 작품 한 글귀를...
    Date2024.01.29 ByValley_News
    Read More
  7. <역설적 십계명‘그래도’> 켄트 M. 키스

    2024년 희망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4년은 푸른 용(靑龍)의 해랍니다. 여러분 모두 그렇게 푸르고 힘차시기를 빕니다. 새해의 모든 날들이 평화롭고, 사랑으로 가득하기를 빕니다. 세상이 어지러울수록 그런 바램이 한층 더 간절해집니다. 참 어지럽게 돌아...
    Date2023.12.29 ByValley_News
    Read More
  8. 크리스마스 선물 --오 헨리 (O. Henry) 1862년~1910년--

    <편집자의 말> 한 해의 결실을 마무리하는 계절, 여러분의 올해 열매는 얼마나 실하신지요? 사랑의 계절을 맞으며, 오 헨리의 명작 <크리스마스 선물>을 다시 읽습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서, 작품 이름이나 대충의 줄거리를 아는 분은 꽤 있지만, 전문을 ...
    Date2023.11.30 ByValley_News
    Read More
  9. 우리 삶의 길잡이, 도산의 말씀들

    <편집자의 말> 매해 11월 9일은 <도산 안창호의 날>입니다. 캘리포니아주 의회가 도산 안창호(1878∼1938)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선생의 생일인 11월 9일을 가주 기념일로 지난 2018년 8월에 선포했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그날을 무심하게 그냥 지나...
    Date2023.11.06 ByValley_News
    Read More
  10. 우리 모두의 영광된 미래를 향해서! 찰리 채플린의 <위대한 독재자> 연설문

    <편집자의 말> 10월은 문화의 달입니다. 한국의 10월 달력은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노인의 날, 체육의 날, 경찰의 날, 유엔의 날, 독도의 날 등등 법정 기념일로 빼곡합니다. 임산부의 날(10월10일)이라는 것도 있고, 10월5일은 <세계 한인의 날>로 정...
    Date2023.10.02 ByValley_News
    Read More
  11. 인공지능 시대, 경쟁 아닌 상생으로!

    <편집자의 말> “늘어나는 로봇들이 국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인간에게 반항하거나 인간의 일자리를 훔치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 7월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 최초의 <인간-로봇 기자간담회>에서 나온 자신을 만든 제작자에게...
    Date2023.08.31 ByValley_News
    Read More
  12. 한국과 일본 문화교류의 어제와 오늘

    <편집자의 말> 8월15일은 광복절, 빛(光明)을 되찾은(復)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36년에 걸친 일본 식민지의 어둠에서 빛을 다시 찾았다는 날… 그리고 78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대한민국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일본을 따라잡고 드디어는 추월...
    Date2023.07.28 ByValley_News
    Read More
  13. 미국의 초심을 되돌아본다.

    <편집자의 말> 7월4일은 미국독립기념일입니다. 미국의 나라 생일인 셈이죠. 그냥 노는 날이 아닙니다. 미국 독립선언서 읽어보셨나요? 토머스 제퍼슨이 쓴 독립선언서에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건국 이념이 담겨있습니다. 부끄러운 고백입니다만, 저는 아직까...
    Date2023.06.29 ByValley_News
    Read More
  14. 5월은 사랑과 감사의 달

    5월은 사랑과 감사의 달입니다. 신록의 달, 계절의 여왕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무엇보다도 어머니의 큰 사랑과 은혜에 감사하는 어머니날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5월에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부의 날, 성년의 날, 스승의 날 등 가족과 관련한 날들이 많아...
    Date2023.04.26 ByValley_News
    Read More
  15. 먼저 자신에게 감사하는 삶

    4월의 노래 박 목월 (1916-1978) 목련 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구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부노라 아 멀리 떠나와 이름 없는 항구에서 배를 타노라 돌아온 4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 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눈물 어린 무지개 계절아? 목...
    Date2023.03.29 ByValley_News
    Read More
  16. 웃음은 전염된다. 웃읍시다.

    <편집자의 새해 인사> “올해는 웃을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 새해를 맞으며 내가 받은 연하장의 덕담 중 가장 인상적인 문구였습니다. 속 시원하게 통쾌한 웃음을 웃어본 것이 언제였던가?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웃음이 아닐까요? 지난...
    Date2023.02.26 ByValley_News
    Read More
  17. 착한 이웃들, 아름다운 세상 가수 조용필의 감동적 실화

    <편집자의 새해 인사> 우리의 간절한 소망과는 달리 세상은 갈수록 각박하고 살벌해지고 있습니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지요. 신문이나 텔레비전 등이 전하는 소식들은 우리를 암담하게 합니다. 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아름다운 사람들, 착한 이웃들이 있습니다...
    Date2023.01.30 ByValley_News
    Read More
  18. 어머니에게 편지를 씁시다.

    <편집자의 새해 인사> 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지으세요! 새해의 모든 날들이 건강, 행복, 기쁨, 보람, 웃음으로 가득하시기를 빕니다. 새해는 토끼의 해랍니다. 자고로 토끼는 지혜로운 동물로 여겨졌지요. 판소리 <별주부전>의 꾀돌이 토끼...
    Date2022.12.30 ByValley_News
    Read More
  19. 재외동포청에 거는 기대

    <편집자의 말> 또 한 해를 보내는 세월의 고개마루턱에 섰습니다. 고개마루에 서서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니 꼬불꼬불 울퉁불퉁 험하네요. 고국인 한국에서는 어처구니없는 참사가 국민 모두를 슬프게 했습니다. 국가란 무엇인가, 안전한 나라란 없는 것일까 라...
    Date2022.12.01 ByValley_News
    Read More
  20. 회사 지분 4조원 전액 사회에 기부한 이본 쉬나드 <파타고니아> 회장

    <편집자의 말> 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착한 사람들 덕에 그나마 세상이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그런 사람은 아주 드물고 귀하지요. 그래서, 어쩌다가 그런 사람을 만나면 반갑기 그지없고, 조금이라도 본받고 싶어집니다. 그런 분의 이야기를 글로 ...
    Date2022.10.31 ByValley_News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